🙏불법과 동행을/💕법문의도량 지극한 도는 말 아닌 일념 속에 있다. 혜명(해인)스님 2020. 4. 24. 11:07 귀로 듣고 눈으로 본다고 하지만 눈을 감아도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니 보는 놈이 눈이 아니고 듣는 놈이 귀가 아닙니다. 그러면 보고 듣는 이놈은 누구입니까. 누구긴요, 마음이지요. 그 마음이 어떻게 생겼는가를 일념으로 찾아 들어가는 것을 참선이라고 합니다. 이곳에 이렇게 큰 도량이 문을 열고 법화산림의 법석이 마련되어 여러분이 모인 것을 보니 여러분 모두가 부처님으로 보입니다. 법화경에서 설하고 있는 말씀도 여러분이 곧 부처라는 점입니다. 너도 부처고 나도 부처입니다. 그것이 법화경의 내용입니다. 즉신성불(卽身成佛)이라. 즉 이 몸이 부처라는 말입니다. 법화경에서는 ‘너희도 성불할 수 있다’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믿고 이해하고 행하면 부처의 길을 간다고 했습니다. 법화경의 정확한 명칭은 묘법연화경입니다. 이곳에 오기위해 기차를 타고 오면서 보니 곳곳에 꽃이 만발했더군요. 이것이야 말로 있는 그대로 실상이요, 참으로 묘한 법입니다. 땅 속에서 다 같은 물을 먹고 다 같은 햇빛을 받아 자랐는데도 어떤 것은 빨간 꽃이 되고 어떤 것은 노란 꽃이 되는 이것이 참으로 묘한 것입니다.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렇게 묘한 이치에 비유해 경 이름을 지은 것이 묘법연화경입니다. 부처님께서는 일생동안 여러 경전을 설하셨는데, 처음에는 분별심에 관해 설하신 아함경을, 다음으로는 연기법을 설하신 방등경, 그 다음엔 반야경을 설하셨습니다. 그리고 일체가 유심이라는 화엄경을 설하셨는데, 그 내용이 너무 어려워 이해하는 이가 적었습니다. 그래서 다시 설한 것이 이 법화경입니다. 제법종본래 상자적멸상 諸法從本來 常自寂滅相 불자행도이 내세득작불 佛者行道已 來世得作佛 법화경의 가르침은 이 안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곧 부처라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중생이 그것을 믿지 않고 행하지 않으니, 옷자락에 보물을 담아 두고도 찾지 못하는 이에 비유하거나 병을 잘 고치는 의사가 자식에게 약 먹이는 방법에 비유하는 등, 다양한 비유를 통해 그 이치를 설명하고 계신 것입니다. 여러분께서 이 법화경을 다 읽으면 좋겠지만 이렇게 바쁜 시대에 법화경을 언제 다 읽겠습니까. 그렇다면 ‘나무실상묘법연화경’만 일념으로 독송을 해도 좋을 것입니다. 제법종본래. 모든 법이 본래 적멸하니 한 법이 난 바도 없고 멸한 적도 없다. 여러분은 모두가 부처입니다. 모두 불성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 불성을 갖고 있는데 왜 부처가 아닙니까. 부처의 행동을 하지 않고 부처의 말씀을 하지 않으면서, 엉뚱한 행동을 하니 부처가 아니고 중생입니다. 부처와 중생은 같이 있습니다. 남을 미워하는 말이든 칭찬하는 말이든 다 같은 곳에서 나오는 법입니다. 이것이 둘입니까, 하나입니까. 하나도 아니고 둘도 아닙니다. 상자적멸상이라. 나지도 않고 멸하지 않는 그 마음자리. 그 자리는 멸하지도 않고 나지도 않는 불생불멸자리입니다. 불자행도이 내세득작불이라. 지금 여러분이 행하는 그대로가 부처를 행하는 것입니다. 내세가 죽은 후를 이야기하는 것이 아닙니다. 내가 자성을 갖고 있을 때, 이 불성을 갖고 있을 때, 이 세상에서 극락을 살 수 있는 것이고, 이 좋은 생각으로 가야 극락세계에 태어날 수 있는 것입니다. 이 생각을 그대로 갖고 가는데 나쁜 생각 갖고 있다면 극락세계에 태어나겠습니까. -옹산 스님- 출처:- 월천사 정광님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