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법과 동행을/💕불교자료실

심우도

by 혜명(해인)스님 2018. 6. 28.



卍-심우도-卍
    본성을 찾아 수행하는 단계를 동자(童子)나 스님이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해서 묘사한 불교 선종화(禪宗畵) 이다.

    본래 도교의 팔우도(八牛圖)에서 유래된 것으로 12세기 중엽 중국 송나라 때 곽암선사(廓庵禪師)가 2장면을 추가하여 십우도(十牛圖)를 그렸다. 도교의 팔우도는 무(無)에서 그림이 끝나므로 진정한 진리라고 보기 어렵다고 생각하고 이 그림을 그렸다고 한다. 청거(淸居)선사가 처음 그렸다는 설도 있으나 확실치 않다.

    모두 10개의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소는 인간의 본성에, 동자나 스님은 불도(佛道)의 수행자에 비유된다. 중국에서는 소 대신 말을 등장시킨 십마도(十馬圖)가, 티베트에서는 코끼리를 등장시킨 십상도(十象圖)가 전해진다.

    한국에는 송(宋)나라 때 제작된 곽암본과 보명(普明)본이 전해져 2가지가 조선시대까지 함께 그려졌는데 현재는 보명본보다 곽암본이 널리 그려진다. 곽암본과 보명본은 용어와 화면 형식이 달라서 곽암본은 처음부터 마지막 단계까지 원상(圓相) 안에 그림을 그리는데 보명본은 10번째 그림에만 원상을 그린다.

    곽암본을 기초로 한 십우도 장면의 용어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심우(尋牛) ② 견적(見跡)

    동자승이 소를 찾고 있는 장면이다. 자신의 본성을 잊고 찾아헤매는 것은 불도 수행의 입문을 일컫는다. 동자승이 소의 발자국을 발견하고 그것을 따라간다. 수행자는 꾸준히 노력하다 보면 본성의 발자취를 느끼기 시작한다는 뜻이다.
    ③ 견우(見牛) ④ 득우(得牛)

    동자승이 소의 뒷모습이나 소의 꼬리를 발견한다. 수행자가 사물의 근원을 보기 시작하여 견성(見性)에 가까웠음을 뜻한다. 동자승이 드디어 소의 꼬리를 잡아 막 고삐를 건 모습이다. 수행자가 자신의 마음에 있는 불성(佛性)을 꿰뚫어보는 견성의 단계에 이르렀음을 뜻한다.
    ⑤ 목우(牧友) ⑥ 기우귀가(騎牛歸家)

    동자승이 소에 코뚜레를 뚫어 길들이며 끌고 가는 모습이다. 얻은 본성을 고행과 수행으로 길들여서 삼독의 때를 지우는 단계로 소도 점점 흰색으로 변화된다. 흰소에 올라탄 동자승이 피리를 불며 집으로 돌아오고 있다. 더 이상 아무런 장애가 없는 자유로운 무애의 단계로 더할 나위없이 즐거운 때이다.
    ⑦ 망우재인(忘牛在人) ⑧ 인우구망(人牛俱忘)

    소는 없고 동자승만 앉아 있다. 소는 단지 방편일 뿐 고향에 돌아온 후에는 모두 잊어야 한다. 소도 사람도 실체가 없는 모두 공(空)임을 깨닫는다는 뜻으로 텅빈 원상만 그려져 있다.
    ⑨ 반본환원(返本還源) ⑩ 입전수수

    강은 잔잔히 흐르고 꽃은 붉게 피어 있는 산수풍경만이 그려져 있다. 있는 그대로의 세계를 깨닫는다는 것으로 이는 우주를 아무런 번뇌 없이 참된 경지로서 바라보는 것을 뜻한다. 지팡이에 도포를 두른 행각승의 모습이나 목동이 포대화상(布袋和尙)과 마주한 모습으로 그려진다. 육도중생의 골목에 들어가 손을 드리운다는 뜻으로 중생제도를 위해 속세로 나아감을 뜻한다.

    보명본의 십우도는 10개의 장면이 거의 유사하나 용어가 다르다.

    보명본의 용어는 ①미목(未牧), ②초조(初調), ③수제(受制), ④회수(廻首), ⑤순복(馴伏), ⑥무애(無碍), ⑦주운(住運), ⑧상망(相忘), ⑨독조(獨照), ⑩쌍민(雙泯) 이다.

    중국의 이숭(李嵩), 일본의 슈분[周文] 등의 《십우도》가 있으며 한국에는 송광사를 비롯한 사찰에 벽화로 남아 있다.


    '🙏불법과 동행을 > 💕불교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교리(基本敎理)란 무엇인가?  (0) 2018.06.28
    예불문  (0) 2018.06.28
    중도   (0) 2018.06.28
    해와 행  (0) 2018.06.28
    업설  (0) 2018.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