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법과 동행을/💕불교자료실

참다운 종교인 불교의 개념 정의

by 혜명(해인)스님 2018. 6. 28.


卍-참다운 종교인 불교의 개념 정의-卍
    장엄겁이라 하는 과거의 겁에 비바시불, 시기불, 비사부불이라고 하는 세분의 부처님과 현겁이라고 하는 현겁에 구루손불, 구나함모니불, 가섭불, 석가모니불 이 네 부처님께서는 불교의 의미에 대해서 똑같은 말을 하는데 이를 칠불통게(七佛通偈)라고 합니다.

    칠불통게의 내용을 보면

    諸惡莫作 하고
    衆善奉行 하라
    自淨其義 하면
    是諸佛敎이니라.

    곧 "모든 악을 짓지 말고,
    뭇 선을 받들어 행하라,
    스스로 그 뜻이 청정하면
    이것이 곧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이니라."

    이러한 가르침을 믿고[信], 이해하고[解], 실천하고[行], 증득하는[證] 것을 불교의 수행이라 합니다.

    불교는 석가교가 아닙니다.
    불교에 있어서 석가가 차지하고 있는 인격은 다른 종교의 그것과 비교해서 보았을 때 큰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다. 석가모니라고 하는 분은 결코 하늘에서 떨어지거나 땅에서 솟아나신 분이 아닙니다. 우리들과 마찬가지로 평범한 인격을 누리고 사시다가 가신 분이십니다.

    다만 평범속에는 이 세상의 어떤 사람도 이룩할 수 없었던 가장 완벽한 인간을 구현했다는 것이 우리들과 다를 따름입니다. 간혹 불교를 이야기하시는 분들 중에서 부처님에 관한 거룩함만을 강조한 나머지 그 분의 인격적인 발자취를 소홀히 하는 경향이 없지 않습니다. 그것은 결코 올바른 불자의 태도라고 볼 수 없습니다.

    불교는 인간의 품성을 가장높이 승화시킨 종교이며 "인식과 설득"이라는 정신의 힘에 의해 세계의 곳곳에 전해졌습니다. 불교는 시대와 환경을 초월하여 적용되는 보편적 진리를 가르켜 '다르마(dharma)'라고 불렀습니다. 이 다르마를 깨달은 사람을 가리켜 '눈을 뜨신분(Suppa-Buddha)'이라고 하며, 그 가르침을 '붓다의 가르침'이라고 합니다.

    붓다 석가모니는 자신을 가리켜 神이 아닌 '다르마의 실천자','길을 가리켜 보이는 자'라고 했습니다. 불교의 가르침, 즉 붓다 그 자신의 정신과 사상조차도 과거의 여러 붓다가 깨달은 진실을 발견했을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붓다의 가르침은 어떤 특정한 교권이나 도그마(dogma : 독단)를 형성하지 않았으며 역사적 단계, 인종, 지역간의 차이를 넘어서 인류의 보편적 예지에 적응하는 유연성과 합리성을 갖고 있습니다.

    불교는 체험의 행법(行法)입니다. 즉 우리의 삶에서 획득되는 다양한 체험에 대한 반성적인 해석에서 출발하여 더 높은 존재의 법칙을 모색하는 운동이 바로 불교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자신의 불교체험을 반성하고 심화 시켜서 우리의 삶에 맞는 옷을 입혀 나가야 합니다. 우리의 실존적인 안목(眼目)에서 체득되는 불교이해가 아닌 간접적이고 추상적인 불교이해가 불교를 어렵고 지난(至難)한 관념체계로 만들어 버리는 것입니다.

    러시아의 불교학자 체르바스키는 "불교는 클레싸(Klesa, 번뇌)를 점차 소멸시켜 나가는 과정(process)과 그 결과에서 오는 생(生)의 정화(淨化)가 바로 불교교리의 궁극적인 목표이며 이 목표를 위하여 생을 요소로 분류하고 그것들의 기능과 관계를 탐구하는 것이다."라고 정의 내리고 있습니다.

    불교는 고(苦)의 원인을 업(業)과 번뇌로 보며 업과 번뇌는 마음을 어지럽히는 격정이며 이것은 아집에서 비롯됩니다. 아집은 존재의 제 요소[諸法]를 불변의 실체로 보고 이에 집착하는 것이다. 붓다는 이것을 인간의 근원적인 무지, 무명(無明)이라고 불렀다. 무명이란 환상(幻想), 자기기만(Self-deception), 이성의 허깨비(the ghost of reason)에 집착하는 상태이며 인간이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규모의 심리적, 물리적에너지를 헛되게 낭비해야 하는데 이것은 바로 우리의 삶이 고통받는 원인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전 인류적 탐욕과 투쟁을 증가시키고 있는 것입니다.

    불교는 철학적 입장에서는 관념적으로 전도된 사람들과 지적(知的)으로 현혹된 사람들에게 자기 통찰의 메세지를 전달하고 있으며, 종교적으로는 과열된 욕망과 불안으로 고통받는 현대인을 위한 정신적 안정의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심리적으로 자제력이 부족한 사람들을 위한 마음의 수행을 강조합니다.

    불교는 본질적으로 자기탐구의 행법(行法)입니다. 그리고 이 자기탐구의 행법은 실천적입니다. 불교는 삶의 진실을 우리가 함몰되어 있는 몽환(夢幻)의 세계와 철저히 구별하고 지양하는 비판적 행동의 원리를 갖고 있습니다. 이 원리의 핵심은 바로 깨달음이며 인간의 이성(理性)을 추상화시키는 사변적 논의를 목표로 하지 않는다. 깨달음을 추구하는 방법은 직관[禪]과 분석적 통찰[敎]이며 미리 어떠한 결론에 도달하는 도그마틱(domatic)한 결론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우리의 모든 번뇌와 그릇된 행위들은 바로 우리의 감각적 착오와 인식의 오류에서 비롯됩니다.

    특히 상품주의 문병의 비인간화 현상은 인간의 영성(靈性)을 크게 왜곡하거나 손상시키고 있습니다. 따라서 선은 마음의 수행을 바탕으로 전인격적(全人格的)인 지혜를 수련하는 인류의 대표적인 영지(靈智)로서 이미 세계에서 널리 수행되고 있다. 또한 선의 사상은 오늘날 영화, 미술, 음악, 문학, 과학, 철학등의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기도 합니다.

    아힘사(ahimsa, 비폭력)란 불교의 영원한 규범입니다.
    불교는 다른 생명의 존중에서 더 나아가 봉사와 정열적인 헌신[慈悲]을 강조합니다. 불교에서 자비와 비폭력의 정신을 그토록 강조하는 것은 단순히 종교적 박애 때문만은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불교의 생명관(生命觀)과 관계가 있습니다.

    즉 모든 생명체는 그 자신의 생태적인, 영성적(靈性的)인 발전을 위한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생명 그 자체가 생존의 우주적인 해방을 위한 공동(共同)의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존중되어야 한다는 불교적인 자각(自覺)때문에 비폭력의 정신이 그토록 강조되는 것입니다. 그것은 인류가 지켜야 할 영원한 법칙입니다.

    종교가 인생의 주술적(呪術的)인 면을 부정하기 위해서는 세간적 현실의 가치에서의 완전한 이탈, 또는 정신적인 측면의 완전한 성숙이 이루어지지 않고는 불가능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가장 고원(高遠)한 불교사상도 일반 민중의 일반적인 믿음의 내용이라고 할 수 있는 주술적 신앙을 고수하고 이 양자의 가치를 통합하려는 시도가 필요했던 것이다.(우리가 항상 수지독송하는 반야심경에서 그 예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인간은 누구나 평등합니다. 法은 누구에게나 열려있습니다.
    부처님 당시의 사성계급 제도에 있어서도 인간의 네가지 종족이나 계급은 그 사람의 혈통이나 신분으로서 차별되는 것이 아니라고 분명하게 말씀하시며 인간은 누구나 다 평등하다고 하십니다. 사람의 높고 낮음, 존귀하거나 비천함은 그 사람의 행위에 따라 결정된다고 가르치셨습니다.

    계급에 따라 혹은 남녀의 성별에 따라,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배운 자와 못 배운 자 그 누구에게나 차별이 없습니다. 눈 있는 자 와서 보고 귀 있는 자 들으라고 말씀하시듯 만인에게 평등하게 시설(施說)되어 있습니다.

     

    '🙏불법과 동행을 > 💕불교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교란 무엇인가  (0) 2018.06.28
    불교의 정의   (0) 2018.06.28
    종교(宗敎)의 의미  (0) 2018.06.28
    기본교리(基本敎理)란 무엇인가?  (0) 2018.06.28
    예불문  (0) 2018.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