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법과 동행을/💕불교자료실

육조 혜능선사의 돈황본 단경 24

by 혜명(해인)스님 2018. 7. 2.


-24.불행(佛行)-
    또 한 스님이 있었는데 법달이라 하였다. 항상 법화경을 외워 칠년이 되었으나 마음이 미혹하여 바른 법의 당처를 알지 못하더니 와서 물었다. 경에 대한 의심이 있습니다. 큰스님의 지혜가 넓고 크시오니 의심을 풀어주시기 바랍니다.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법달아 법은 제법 통달하였으나 너의 마음은 통달하지 못하였구나. 경 자체에는 의심이 없거늘 너의 마음이 스스로 의심하고 있다. 네 마음이 스스로 삿되면서 바른 법을 구하는구나. 나의 마음 바른 정(定)이 곧 경전을 지니고 읽는 것이다. 나는 한평생 동안 문자를 모른다. 너는 법화경을 가지고 와서 나를 마주하여 한편(一遍)을 읽으라. 내가 들으면 곧 알 것이니라." 법달이 경을 가지고 와서 대사를 마주하여 한편을 읽었다. 육조스님께서 듣고 곧 부처님의 뜻을 아셨고 이내 법달을 위하여 법화경을 설명하시었다. 육조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법달아, 법화경에는 많은 말이 없다. 일곱 권이 모두 비유와 인연이니라. 부처님께서 널리 삼승을 말씀하심은 다만 세상의 근기가 둔한 사람을 위함이다. 경 가운데 분명히 '다른 승(乘)이 있지 아니하고 오로지 한 불승(佛乘) 뿐이라'고 하셨느니라.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법달아, 너는 일불승을 듣고서 이 불승을 구하여 너의 자성을 미혹하게 하자 말라. 경 가운데서 어느 곳이 일불승인지를 너에게 말하리라. 경에 말씀하기를 모든 부처님. 세존께서는 오직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 때문에 세상에 나타나셨다.'고 하셨다. [이상의 열여섯 자는 바른 법이다.] 이 법을 어떻게 알며 이 법을 어떻게 닦을 것인가? 너는 나의 말을 들으라. 사람의 마음이 생각을 하지 않으면 본래의 근원이 비고 고요하여 삿된 견해를 떠난다. 밖으로 미혹하면 모양에 집착하고 안으로 미혹하면 공(空)에 집착한다. 모양에서 모양을 떠나고 공에서 공을 떠나는 것이 곧 미혹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법을 깨달아 한 생각에 마음이 열리면 세상에 나타나는 것이니라. 마음에 무엇을 여는가. 부처님의 지견을 여는 것이다. 부처님은 깨달음이니라. 네 문으로 나뉘나니, 깨달음의 지견을 여는 것과 깨달음의 지견을 보이는 것과 깨달음의 지견을 깨침과 깨달음의 지견에 들어가는 것이니라. 열고(開) 보이고(示) 깨닫고(悟) 들어감(入)은 한 곳으로부터 들어가는 것이다. 곧 깨달음의 지견으로 자기의 본래 성품을 보는 것이 곧 세상에 나오는 것이니라."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법달아, 나는 모든 세상 사람들이 스스로 언제나 마음자리로 부처님의 지견을 열고 중생의 지견을 열지 않기를 항상 바라노라. 세상 사람의 마음이 삿되면 어리석고 미혹하여 악을 지어 스스로 중생의 지견을 열나니, 중생들의 마음이 발라서 지혜를 일으켜 관조하면 스스로 부처님의 지견을 여나니, 중생의 지견을 열지 말고 부처님의 지견을 열면 곧 세상에 나오는 것이니라."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법달아, 이것이 [법화경의 일승법이다. 아래로 내려가면서 삼승을 나눈 것은 미혹한 사람을 위한 까닭이니, 너는 오직 일승불만을 의지하라.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법달아, 마음으로 행하면 법화경을 굴리고 마음으로 행하지 않으면 법화경에 굴리게 되나니, 마음이 바르면 법화경을 굴리고 마음이 삿되면 법화경에 굴리게 되느니라. 부처님의 지견을 열면 법화경을 굴리고 중생의 지견을 열면 법화경에 굴리게 되느니라.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힘써 법대로 수행하면 이것이 곧 경을 굴리는 것이니라. 법달은 한번 듣고 그 말끝에 크게 깨달아 눈물을 흘리고 슬피 울면서 스스로 말하였다. 큰스님이시여, 실로 지금까지 법화경을 굴리지 못하였습니다. 칠년을 법화경에 굴리어 왔습니다. 지금부터는 법화경을 굴려서 생각 생각마다 부처님의 행을 수행하겠습니다.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부처님 행이 곧 부처이니라. 그때 듣는 사람으로서 깨치지 않은 이가 없었다. *수행불행(修行佛行 부처님 행을 수행한다)…….깨친 뒤에는 부처님 행을 수행한다고 하였다. 돈오견성(頓悟見性)이 성불이어서 <금강경 제 8분 육조해의에 '행동불행 천리불행(行同佛行踐履佛行)'이라고 하였고, 또한 <제12분>에는 '상수불행(常修佛行)'이라고 말씀하셨다. 수행불행을 대승사본에는 '원수불행(願修佛行)', 흥성사본에는 방수불행(方修佛行)이라 하였고, 유통본(流通本)에는 모두 누락되었으나, 돈황, 대승, 흥성의 세 고본(古本)에 실려 있으므로 상관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