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체의 만물이 끊임없이 생멸변화(生滅變化)하여 한순간도 동일한 상태에 머물러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범어(梵語)로는 아니탸(Anitya), 팔리어 아니짜(Anicca)로 인도 힌두교사상의 집약서인 『우파니샤드(Upaniṣad)』에서 강조되었던 상주설(常住說)의 반대개념으로서 현상계를 시간적으로 파악한 불교의 근간을 이루는 개념이다.
무상(無常)이란 만물은 항상 변하며, 영원한 실체로 존속하는 것(常住)은 아무것도 없다는 뜻에서, 만물의 실상을 표현한 것이다.
그러나 무상이라는 것이 불규칙적인 변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존재는 서로 관련을 맺는 관계성 안에서만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며, 결코 그것만으로는 존재할 수 없다는 사실을 연기설(緣起說)로써 천명하고 있다. 즉, 인(因)과 연(緣)이 서로 결합하여 생겨난 모든 현상은 무상의 법칙을 따르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상관은 단순한 비관적(悲觀的)· 허무적(虛無的)인 덧없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무상하기 때문에 항상 변화가 있고,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인간은 자유나 명예에 집착하는 탐욕을 버려야 함을 깨닫게 되며, 귀중한 생명을 방일(放逸)하게 사용하는 일 없이 정진(精進)하고 노력(努力)하려는 적극적인 생활과 연결된다. 이것이 불교가 가르친 무상의 참뜻이다.
무상에는 염념무상(念念無常)과 상속무상(相續無常)의 두 종류가 있다.
염념무상은 찰나 사이에도 생주이멸(生住異滅)하는 4상(相)이 있어 잠시도 정지하지 않는 것을 지칭하고, 상속무상은 사람의 목숨과 같이 만물이 일정 기간에 걸쳐서 생주이멸 하는 변화를 말한다.
또 무상을 체득하는 느낌과 빠름은 흔히 말에 비유되는데, 이를 사마유(四馬喩)라고 하여 특히 우리나라 선종에서 많이 인용하였다.
사마유란?
첫째, 채찍의 그림자만 보고도 놀라는 말은 다른 마을에 누가 죽었다는 말만 듣고 놀라는 사람과 같고,
둘째, 채찍이 털에 닿고야 놀라는 말은 자기 마을에 죽은 사람이 있음을 보고 놀라는 사람이며,
셋째, 채찍을 살갗에 맞고야 놀라는 말은 자기의 친척이 죽은 것을 보고 놀라는 사람이며,
넷째, 채찍에 맞아 뼈에 사무치도록 아파야만 놀라는 말은 자기가 병들어 앓고야 비로소 놀라는 사람과 같다고 한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무아(無我)와 연기법(緣起法)에 따라 순간순간 변하는 인연아(因緣我)로 이뤄진 세상이다.
이 무상을 상징하는 가장 대표적인 표현은 생자필멸(生者必滅)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사전 등 참고
출처: 글쓴이: 🙏향상일로
https://cafe.daum.net/seojinam/ddoD/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