卍-어떻게 믿을 것인가-卍
즉, 신심의 내용이 삼귀의임을 밝혔다. 그렇다면 삼귀의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귀의는 돌아가 의지한다는 말로 나의 본성에 돌아가 의지함을 말하며, 목숨 바쳐 귀의한다는 의미로 귀명이라고 한다. 귀명이라는 두 글자는 능히 귀의하는 모습이다. 능히 귀의하는 모습이란 공경하고 순종하는 뜻이 있어 귀의라 하고, 그 방향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뜻이 있어 귀의라고 한다. 命은 목숨의 근원으로 모든 기관을 총체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한 몸의 요긴한 것으로는 오직 목숨이 主이기에 모든 생명체가 소중히 여기는 것으로 이보다 앞설 것이 없다. 이 둘도 없는 목숨을 가지고 가장 존귀하신 분을 받들어 신심의 지극함을 나타내기에 귀명이라고 한 것이다. 또한 귀명이란 근원으로 돌아간다(還源)는 의미가 있다. 그 까닭은 중생의 육근이 일심(一心)으로부터 일어나지만, 그 근원을 등지고 육진(六塵)으로 분주히 흩어지는데, 이제 목숨을 들어 육정(六情)을 모두 수습하여 그 근본 일심의 근원으로 되돌아가게 함으로 귀명이라고 하는 것이다. 돌아가는바 일심이란 곧 삼보이기 때문이다. <대승기승론소별기 제1권> 삼귀의의 바른 뜻을 알고 진심으로 삼보에 귀의하는 것은 불자 됨의 가장 중요한 관문이다. "부처님만이 우리의 귀의처요, 부처님의 말씀만이 우리를 진리로 이끌 수 있으며 부처님의 교단만이 우리의 의지처임을 나는 확신합니다. 따라서 이외의 다른 것에 의지하지 않겠습니다. 오직 불 법 승 삼보에 의지하여 진리의 길에 나아가겠습니다. 목숨 바쳐 귀의하나이다."하고 간절히 서원해야 한다. 이것이 있어야만 수행도 있고 깨달음도 있는 것이다. 원효스님은 어떻게 믿을 것인가에 대해 네 가지로 제시하셨다. 어떻게 하는 것이 신심이며, 어떻게 하는 것이 수행인가? 대략 말하자면 신심에 네 가지가 있다. 어떤 것이 네 가지인가 하면, 첫째는 근본을 믿는 것이니, 소위 진여법을 즐겨 생각하기 때문이요, 둘째는 부처에게 한량없는 공덕이 있다고 믿어서 항상 부처를 가까이 하고 공양하고 공경하여 선근을 일으켜 일체지(一切智)를 구하려고 생각하기 때문이며, 셋째는 법에 큰 이익이 있음을 믿어서, 항상 모든 바라밀을 수행할 것을 생각하기 때문이요, 넷째는 사문이 바르게 수행하여 자리이타할 것을 믿어서 항상 모든 보살들을 즐겨 친근히 하여 여실한 수행을 배우려고 하기 때문이다. <대승기신론소별기 제6권> 첫째, 근본을 믿는다는 것은 삼라만상의 모든 현상은 진여의 발현임을 믿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성불이라는 목표가 정해진다. 왜냐하면 내가 비록 중생이지만 내 마음을 떠나 부처가 따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실을 떠나 궁구해야할 본질이 따로 있지 않다. 다만 내가 그것을 믿고 깨닫기만 한다면 현실에서 바로 부처가 되고 불국토를 이룬다는 확신을 갖는 것이다. 근본을 믿음으로써 비로소 대승의 보리심을 발할 수 있으며 모든 수행과 공덕을 일체중생에게 회향할 수 있다. 이러한 믿음이 아니고서는 성불을 이루는 보리심을 낼 수 없으며 부처의 공덕을 갖출 수 없다. 따라서 근본을 믿는 것은 신심의 핵심이며, 수행의 가장 핵심적인 사항이다. 그러나 근본을 모르고서는 이러한 믿음을 내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먼저 대승경전을 통해 우리의 근본을 이해하고 열심히 참구하여 어렴풋하게나마 본성을 보았을 때 비로소 근본을 믿는 굳은 신심이 자리 잡는 것이며 이 믿음의 힘으로 본격적인 수행이 가능한 것이다. 둘째, 부처님에 대한 믿음으로 항상 부처님을 가까이하고 공양하고 공경하며 부처님과 같이 일체지를 구하고자 생각한다. 셋째, 부처님의 가르침을 믿고 항상 수행할 것을 잊지 않는 것이다. 넷째, 승가에 대한 믿음으로 항상 선지식을 친근하고 여실한 수행을 배우려고 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르게 믿는 자의 모습이다. |
'🙏불법과 동행을 > 💕불교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르고 사는 인생 (0) | 2018.06.29 |
---|---|
깨달음의 진리 (0) | 2018.06.29 |
무엇을 믿을 것인가 (0) | 2018.06.29 |
보리심은 어떻게 해서 생기는 것일까 ? (0) | 2018.06.29 |
보리심 (0) | 2018.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