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舍衛國)에 있는 기수급고독원(紙樹給孤獨園)에서 큰 비구(比丘)들 1250명과 함께 계셨다. 그 때 세존(世存)께서 식사 때(食時)가 되자 가사(架娑)를 수하시고(입으시고) 바리때(발우)를 가지시고 사위성(舍衛城)으로 들어가시어, 그 성(城) 안에서 밥을 비실(乞食)적에 차례로 빌어, 빌기를 마치시고는 본래 계시던 곳(거처)으로 돌아오셔서 진지를 잡수시고 나서 가사와 바리때를 거두시고, 발을 씻으시고는 자리를 펴고 앉으셨다. 이 때 장로(長老) 수보리(須菩提)가 대중 가운데 있다가 일어나서 옷을 벗어 오른 어깨에 벗어 매고 오른 무릎을 땅에 꿇고 합장(合掌)하고 공경하며 부처님께 사뢰었다. 『희유(稀有)하십니다. 세존(世存)이시여, 여래(如來)께서는 모든 보살(菩薩)들을 잘 염려하여 보호해 주시고(護念) 보살들을 잘 당부하여 위촉해 주십니다(善付囑). 세존이시여, 선남자나 선여인(善男子·善女人)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뇩多羅三먁三菩提)의 마음을 내고는 어떻게 머물러야 되며 어떻게 그 마음을 항복시키오리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갸륵하도다. 참으로 좋은 말이다. 수보리야, 네 말과 같이 여래께서는 모든 보살들을 잘 염려하여 보호하시고 보살들을 잘 당부하여 위촉해 주시느니라. 자세히 들으라. 너를 위해 말해 주리라. 선남자·선녀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고는, 응당 이렇게 머물러 있어야 하며 이렇게 그 마음을 항복시켜야 되느니라.』 『예, 세존(世存)이시여, 자세히(즐거이) 듣고자 소원 하옵니다.』 부처님이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모든 보살마하살(菩薩摩訶薩)이 응당 이렇게 그 마음을 항복시켜야 되나니, 이른바 세상에 있는 온갖 중생(衆生)의 무리인 난생(卵生)·태생(胎生)·습생(濕生)·화생(化生)의 사생(四生)과 유색·무색(有色無色:형상이 있고, 없는가),유상·무상(有想無想:생각이 있고, 없는 것), 비유상·비무상(非有想 非無想)을 내가 모두 제도하여 무여열반(無餘涅槃)에 들도록 제도 할 것이다. 이렇게 한량없고 끝없는 중생을 제도했으나 실제로는 한 중생도 제도를 받은 이가 없느니라. 무슨 까닭이겠는가, 수보리야, 만일 어떤 보살이 아상(我相)·인상(人相)·중생상(衆生相)·수자상(壽者相)이 있으면 이는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니라.』 『또 수보리야, 보살은 온갖 법(法)에 대하여 마땅히 머물러 있는 생각이 없이 보시(布施)를 해야 하나니, 이른바 색(色 :모양)에 머물지 않고 보시할 것이며, 성(聲)·향(香)·미(味)·촉(觸)·법(法)에도 머무르지 않고 보시해야 하느니라. 수보리야, 보살은 응당 이렇게 보시를 행하여 모양(相)에 머물지 않아야 되느니라. 무슨 까닭이겠는가 하면 만일 보살이 모양(형상)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면 그 복덕(福德)은 헤아릴 수 없을 것이다. 수보리야, 네 생각으로는 어떠하냐. 동쪽에 있는 허공을 생각하여 헤아릴 수 있겠느냐?』 『못 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남쪽·서쪽·북쪽과 네 간방(사이 방향)과 위쪽, 아래쪽에 있는 허공을 생각하여 헤아릴 수 있겠느냐.』 『 못 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보살이 모양(형상)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는 공덕도 그와 같아서 생각하여 헤아릴 수 없느니라. 수보리야, 보살 마하살은 응당 이렇게 가르쳐 준 대로만 머물지니라.』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몸매(身相:육신의 특징)로써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못하옵니다. 세존이시여, 몸매(身相:육신의 특징)로써 여래를 볼 수는 없습니다. 무슨 까닭인가 하면 여래께서 몸매라고 말씀하시는 것은 사실 몸매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무릇 온갖 겉모양은 모두가 허망한 것이니 모든 모양이 모양(만이) 아닌 줄 알면 바로 여래를 보리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혹 어떤 중생이 이러한 말씀(章句)과 글귀를 듣고서 실제로 진실한 믿는 마음을 내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야, 그런 말을 하지 말라. 여래가 멸도(滅度)한 뒤 나중 오백년(後五百年)에도 계(戒)를 지키고 복(福)을 닦는 이가 있어, 이 말씀에 믿음을 내어 이것을 진실이라 (실답게)여기리니, 이런 사람은 한 부처님이나 두 부처님이나 셋·넷·다섯 부처님께만 선근(善根)을 심은 것이 아니라 이미 한량없는 백·천만 부처님께 온갖 선근을 심었으므로 이 말씀을 듣고는 잠깐 동안이라도 깨끗한 믿음을 내는 것이니라. 수보리야, 여래는 다 알고 다 보나니, 이 모든 중생들은 이렇게 한량없는 복덕을 받느니라. 무슨 까닭인가 하면 이 중생들은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이 전혀 없으며 법상(法相)도 없고 비법상(非法相)도 없기 때문이니라. 무슨 까닭인가 하면, 이 중생들이 만일 마음이 모양(형상)에 걸리(取)면, 이는 곧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에 집착되는 것이기 때문이니라. 무슨 까닭인가 하면, 만일 법상을 취하더라도 바로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에 집착하게 되나니, 만일 비법상을 취하더라도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에 집착되기 때문이니라. 그러므로 법상에도 걸리지 말아야 하고, 비법상에도 걸리지 말아야 하나니 그러기에 여래가 항상 말하기를 「너희 비구들은 나의 설법을 뗏목 같이 여기라.」 하였나니, 마땅히 법상(法尙)도 버려야 하거늘 하물며 법 아닌 것(非法尙)을 말할 필요 있겠는가.』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뇩多羅三먁三菩提)를 얻었다고 여기느냐. 여래가 설법한 것이 있다고 여기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제가 부처님의 말씀하신 뜻을 알기로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고 이름 할만 한 일정한 법이 없으며, 여래께서 말씀하셨다고 할 만 한 일정한 법도 없습니다. 무슨 까닭인가 하오면 여래께서 말씀하신 법은 모두가 잡을(取) 수 없고 말할(說) 수도 없으며, 법도 아니고 비법(非法)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어찌하여 그러냐 하면 일체의 온갖 현인(賢人)이나 성인(聖人)들이 모두가 이 무위의 법(無爲法 :생멸변화가 없는 참된 법)을 근본으로 각각의 차별(差別)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에 가득한 칠보(七寶)로서 모두 보시에 쓴다면 이 사람이 받을 복덕이 많지 않겠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매우 많겠나이다. 세존이시여, 무슨 까닭인가 하면 이 복덕은 곧 복덕의 본 성품(바탕)이 아니므로 여래께서 복덕이 많다고 말씀하시기 때문입니다.』 『만일 다시 어떤 사람이 이 경 가운데서 혹은 사구게 (다만 내용 중에 네 구절)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남에게 말하여주면 그 복덕은 저 칠보를 보시한 복덕보다 더 수승(殊勝)하리니, 무슨 까닭이겠는가 하면 수보리야, 여러 부처님들과, 부처님들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법이 모두 이 경에서 나왔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이른바 불법이라고 하는 것은 곧 불법이 아니니라.』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아나함(阿那含)이 생각하기를 「내가 아나함의 과위를 얻었노라.」하겠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무슨 까닭인가 하면 아나함은 불래(不來)라 하지만 실로는 다시 오지 아니함이 없기에 이름을 아나함이라 하나이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아라한(阿羅漢)이 생각하기를 「내가 아라한의 도를 얻었노라」하겠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그렇지 않습니다.세존이시여, 무슨 까닭인가 하면 실로 아무 것도 아라한이라 할 법이 없는 것을 아라한이라 부르기 때문입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아라한이 생각하기를 「내가 아라한의 도를 얻었노라.」한다면 이는 곧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나'라는,'남'이라는, 내 것이라는, 그럴 것이라는 생각)에 집착되는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저를 일러서 무쟁삼매(無諍三昧)를 얻은 사람 중에 가장 으뜸이라 하셨는데, 이는 욕심을 여읜 아라한(離欲阿羅漢)이기 때문입니다마는 저는 내가 욕심을 여읜 아라한(離欲阿羅漢)이라고는 생각지는 않나이다. 세존이시여, 제가 만일 생각하기를 「내가 아라한의 도를 얻었노라」한다면 세존께서는 곧 수보리를 아란나행(阿蘭那行)을 좋아하는 사람이라 하시지 않으셨을 것입니다마는 수보리가 실로 수행하는 티가 없으므로 수보리는 아란나행을 좋아한다고 이름 하셨습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보살들이 불 국토를 장엄(莊嚴佛國土) 하느냐?』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무슨 까닭인가 하면 불국토를 장엄하였다는 것은 장엄(莊嚴)이 아니므로 이를 장엄(莊嚴)이라 이름 하나이다.』 『그러므로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응당 이렇게 청정한 마음을 내어야 할 것이니, 색(色)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도 말고 성(聲)·향(香)·미(味)·촉(觸)·법(法)에 머물러서도 마음을 내지 말아야 하나니, 아무데도 머무는 데가 없이 마음을 내어야 하느니라.』 『수보리야, 가령 어떤 사람이 몸이 수미산왕(須彌山王)과 같다면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그 몸이 크지 않겠느냐?』수보리가 아뢰오되, 『엄청나게 크옵니다. 세존이시여, 왜 그런가 하오면 부처님께서는 몸 아닌 큰 것을 말씀 하셨으며, 이것을 큰 몸이라 이름 하셨기 때문이옵니다.』 수보리야, 항하(恒河)에 있는 모래 수(數)처럼 많은 수의 항하가 있다면, 어떻게 생각하겠느냐. 이렇게 많은 항하의, 모든 모래 수효가 많지 않겠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대단히 많겠나이다. 세존이시여, 그 모든 항하들만 하여도 엄청나게 많겠거든 하물며 그 여러 항하의 모래이겠습니까?』 『수보리야, 내가 지금 참말(거짓 없는 말)로서 네게 이르노니,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그렇게 많은 항하의 모래 같이 많은 삼천대천세계에 칠보를 가득히 채워서 보시에 쓴다면 그 복덕(福德)이 많지 않겠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매우 많겠나이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이 경에서 사구게(四句偈)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다른 사람에게 설명해주면(受持爲他人說) 그 복덕은 앞에서 칠보로 보시한 복덕보다 더 수승(殊勝)하니라.』 『또 수보리야, 어디서나 이 경을 말(說)하되 사구게만 설명하더라도 온 일체 세계의 하늘무리(天)사람이나 아수라(阿修羅)들이 모두 공경하기를 부처님의 탑(塔)과 같이 할 것이거늘, 하물며 어떤 사람이 정성을 다해 끝까지 받아 지니어 읽거나 외울 때에는 어떠하겠는가. 수보리야, 당연히 알라 이 사람은 가장 높고 으뜸가는 희유(稀有)한 법을 성취하게 될 것이니라, 이 경전이 있는 곳은 곧 부처님이 계시거나 혹은 부처님의 거룩한 제자님들이 계신 곳이 되느니라.』 그때에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마땅히 이 경의 이름을 무엇이라 하며 우리들이 어떻게 받들어 지녀야 하옵니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시되. 『이 경은 이름이 금강반야바라밀이니 이 이름으로써 너희들은 받들어 지니라. 그 까닭이 무엇이겠느냐. 수보리야, 부처가 반야바라밀이라 말(說)한 것은 곧 반야바라밀이 아니기에 그 이름을 반야바라밀이라 부르는 것이니라.』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여래가 법을 말(說)한 것이 있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다.『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법을 말씀하신 바가 없습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삼천대천세계에 있는 모든 티끌(微塵)이 많지 않겠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엄청나게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여래는 이 모든 티끌은 티끌이 아니라 설했기에 그 이름을 티끌이라 하며 여래가 말한 세계도 세계가 아니므로 세계라 이름 하느니라.』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32 相으로써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32相으로는 진정한 여래를 보지 못하니, 무슨 까닭인가 하면 여래께서 말씀하신 32相은 곧 진정한 상(相)이 아니므로 32相이라 이름 하기 때문 입이다.』 『수보리야,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항하의 모래 같이 많은 몸과 목숨을 보시하더라도 또 다른 어떤 사람이 이 경에서 한 사구게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다른 사람을 위해 말하여주면 그 복이 보다 더욱 많으니라.』 그 때에 수보리가 이 경 말씀하시는 것을 듣고, 뜻을 잘 알고는 눈물을 흘리면서 부처님께 사뢰었다. 『희유하시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이렇게 뜻이 깊은 경전을 말씀하신 것은 제가 이제까지 지혜의 눈(慧眼)을 뜬 이후로 아직까지 일찍이 듣지 못하던 것이옵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어떤 사람이 이 경을 듣고 믿음이 깨끗해지면 실상(實相)을 깨달음을 마땅히 알리니, 이 사람은 제일 희유한 공덕을 성취한 사람이옵니다. 세존이시여, 이 근본 실상은 곧 상(相)이 아니므로 여래께서 설하시기를 실상(實相)이라 말씀하시나이다.』 『세존이시여, 제가 지금 이 경을 듣고 그대로 믿어 받아 지니기는 어렵지 않으나 만일 다음 세상 마지막 오백세에 어떤 중생이 이 경을 듣고 그대로 믿어 받아 지닌다면, 이 사람이야말로 제일 희유한 사람이라 하리니 무슨 까닭인가 하면 이 사람은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이 전혀 없기 때문이옵니다. 어째서 그런가 하면 아상이 곧 상(相)이 아니며, 인상·중생상·수자상도 곧 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 까닭을 말 하오면 온갖 상을 떠나 자유로우면 곧 부처라 하기 때문이옵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그러하니라. 그러하니라.』 『만일 어떤 사람이 이 경을 듣고 놀라지 않으며 겁내지 않으며 두려워하지 않으면, 이 사람은 참으로 희유한 사람인 줄을 알지니라. 어째서 그러냐 하면 수보리야, 여래가 말하는 제1바라밀(보시바라밀)은 곧 제일바라밀이 아니기에 이를 제일바라밀이라 부르는 것이다.』 『수보리야, 인욕바라밀(忍辱波羅蜜)도 여래는 인욕바라밀이 아니라 하기에 이를 인욕바라밀이라 하노니, 그 까닭이 무엇인가 하면, 수보리야, 내가 옛날에 가리왕에게 몸을 갈기갈기 찢길 적에 아상도 없고 인상도 없고 중생상도 없고 수자상도 없었느니라. 왜냐하면, 내가 옛날에 몸을 찢길 적에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이 있었더라면 성을 내며 원망을 하였을 것이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또 저 옛날 오백세 동안 인욕선인(忍辱仙人)이었던 일을 생각하면 그때에도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이 없었느니라.』 『그러므로 수보리야, 보살은 마땅히 온갖 모양(相)을 여의고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낼지니, 빛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도 말며 소리와 냄새와 맛과 촉감과 법진(法塵)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도 말아야 하나니 마땅히 머무름 없는 마음을 낼지니라. 만일 마음에 머무는 데가 있으면 이것은 머무름이 아니니 그러므로 여래는 말하기를 「보살은 마음을 색에 머무르고서 보시하지 말아야 한다.」 하였느니라. 수보리야, 보살들은 마땅히 온갖 중생을 이롭게 하기 위하여 보시하여야 하나니, 여래가 설한 온갖 모양이 곧 모양이 아니며 또한 온갖 중생이 곧 중생 아니라 하느니라.』 『수보리야, 여래는 참된 말만 하는 이(者) 이며, 실다운 말만 하는 이 이며, 여실한 말만 하는 이 이며, 속이지 않는 말만 하는 이 이며, 다르지 않은 말만 하는 이 이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얻은 법. 이 법은 진실도 아니요 거짓도 아니니라.』 『수보리야, 어떤 보살이 마음을 법에 머물러 보시하는 것은 마치 어두운 곳에 있는 사람이 아무 것도 보지 못하는 것 같고, 어떤 보살이 마음을 법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면 눈 밝은 사람이 햇빛 아래서 여러 가지 물건을 보는 것 같으니라.』 『수보리야, 오는 세상에 선남자나 선녀 인들이 이 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면 여래가 부처의 지혜로써 이 사람을 다 아시고 이 사람을 다 보시나니 모두가 한량없고 끝없는 공덕(功德)을 이루느니라.』 『수보리야, 만약 어떤 선남자나 선녀인이 아침나절에 항하의 모래 수와 같은 몸으로 보시하고, 점심나절에도 또 항하의 모래 수와 같은 몸으로 보시하고, 저녁나절에도 또한 항하의 모래 수와 같은 몸으로 보시하여, 이렇게 한량없는 백천만 억겁(劫) 동안을 몸으로 보시하더라도, 만약 다른 사람이 이 경전을 듣고 믿는 마음(信心)으로, 그르다고 하지만 아니하여도 그 복이 저 보시한 복보다 더 많거늘 하물며 이 경을 쓰고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고 남을 위하여 일러 주기까지 함이야 말할 것이 있겠느냐. 수보리야, 중요한 것을 들어서 말하건대, 이 경에는 말할 수 없고 생각할 수 없고 측량할 수도 없는 끝없는 공덕이 있나니, 여래는 대승(大乘)의 마음을 낸 이를 위하여 이 경을 말했으며 가장 높은 마음을 낸 이(最上乘者)를 위하여 이 경을 말씀 했느니라. 만일 어떤 사람이 이 경전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고 여러 사람들에게 일러 주면 여래가 이 사람을 다 알고, 이 사람을 다 보시나니, 모두가 한량없고 말할 수도 없고, 끝도 없고 생각할 수도 없는 공덕을 이룰 것이니라, 이와 같은 사람들은 곧 여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담당 할 것이니라. 무슨 까닭인가 하면 수보리야, 만약 소승법을 좋아하는 이(樂小法者)는 '나(我)라는데 집착하고, 사람에, 중생에, 오래 삶'의 소견에 집착되므로, 곧 이 경을 듣지도 못하고, 받아 읽고 외우지도 못하고 남을 위해 일러주지를 못할 것이다. 수보리야, 있는 곳 어느 곳이나 이 경이 있으면 온갖 세상의 하늘사람·아수라들이 응당 공양을 할 것이니, 이곳은 곧 부처님의 탑과 같으므로 모두가 공경하며 예배하고 돌면서 꽃과 향으로 그 곳에 뿌릴 것이다. 『또 수보리야, 만일 선남자나 선여인이 이 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움에도 불구하고 만약 남에게 업신여김 등 천대를 받으면, 이 사람은 지난 세상(先世)에 지은 죄업으로 악도(惡道)에 떨어질 것이었지만, 금생에 남의 천대를 받는 탓으로 전생의 죄업이 모두 소멸하고 반드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위없이 높고 바른 깨달음)을 얻게 되리라.』 『수보리야, 내가 지난 과거 한량없는 아승지(阿僧祗)겁 동안, 연등불을 만나기 이전 팔백사천만억 나유타(那由他)의 여러 부처님을 만나서 모두 공양하고 받들어 섬기며, 헛되이 보낸 적이 없음을 기억 하느니라, 만일 어떤 사람이 이다음 말법 세상에 능히 이 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면 얻은 바 그 공덕은, 내가 부처님께 공양한 공덕으로는 백분에 일에도 미치지 못하며 천분의 일 · 만분의 일 · 억분에 일도 미치지 못하며 산수(算數)나 비유(譬喩)로도 미칠 수 없는 것이다.』 『수보리야, 어떤 선남자 선녀인이 이다음 말법 세상에서 이 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는 공덕을 내가 모두 말한다면, 혹 이 말을 듣는 어떤 이는 마음이 미혹하고 산란하여 의심하고, 믿지 아니하리라. 수보리야, 이 경은 이치나 말, 생각으로 미칠 수 없으며 과보(果報)도 또한 말이나 생각으로도 미칠 수(표현될 수가) 없느니라.』 그때에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선남자 · 선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고, 어떻게 머물러야 되며 어떻게 그 마음을 항복시키오리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선남자·선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었거든 마땅히 이러한 마음을 낼 것이니, 내가 응당 모든 중생을 열반에 이르도록 제도하리라.」하라. 온갖 중생을 모두 제도한다지만 실제에는 한 중생도 제도될 이가 없나니, 왜 그런고 하면, 만일 보살이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이 있으면 참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니라.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수보리야, 실제에는 법을 가지고 있지 않기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위없이 높고 바른 깨달음)의 마음을 일으킨 것 이니라.』 수보리야, 네 생각에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연등불(燃燈佛)에게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법을 얻은 것이 있느냐?』 『그렇지 않나이다.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의 말씀하신바 뜻을 알기로는, 부처님이 연등불에 법이 없기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법을 얻은 것 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러하다. 그러하다. 수보리야, 진실로는 지닌바 법이 없기에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법을 얻은 것 이니라. 수보리야, 만일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면, 연등불이 곧 나에게 수기(授記)하시기를「네가 앞으로 오는 세상에 마땅히 부처가 되어 이름을 석가모니라 하리라.」하지 않았을 것이니라, 실제로 법을 가진 바 없으므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것이다. 그러므로 연등불이 내게 수기하시기를 「네가 오는 세상에 부처가 되어 이름을 석가모니라 하리라.」하셨느니라.』 어찌하여 그러한가하면. 수보리야 여래란 것은 모든 법이 진여(如如)라는 뜻이니라. 만약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 한다면, 수보리야 실제에는 법이 없기에 부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것이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얻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내용 가운데는 참된 것도 없고 허망한 것도 없느니라. 그러므로 여래는 말하기를 「온갖 법이 모두 불법이라.」 하노라. 수보리야, 말한바 온갖 법이란 것은 곧 온갖 법이 아니므로 '온갖 법'이라 이름 하느니라. 수보리야, 비유컨대 어떤 사람의 몸이 (너무 커)꽤 크다는 것과 같으니라.』 수보리가 여쭈었다.『세존이시여, 여래께서 말씀하시기를 「어떤 사람의 몸이 장대하게 크다.」하신 것은 사실 몸이 큰 것이 아니므로 큰 몸이라 이름 하시나이다.』 『수보리야, 보살들도 또한 이와 같아서 만일 말하기를 「내가 마땅히 한량없는 중생을 제도하리라.」하면 곧 보살이라고 이름 하지 못할지니 무슨 까닭이냐 하면은, 수보리야, 진실로는 법이 있지 않기에 이름 하여 보살이라고 이름 한 것이니라. 그러므로 여래가 말하기를 「온갖 법은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이 없다」하느니라. 수보리야, 만일 보살이 말하기를「내가 불국토를 장엄하리라.」하면, 곧 보살이라 이름 하지 못 할지니, 무슨 까닭이냐 하면, 여래가 말하는 불국토를 장엄한다 함은 곧 장엄이 아니므로, 이를 장엄이라 이름 하는 것 이니라. 수보리야, 만일 보살이 '나'와 '법'이 없음을 통달하면 여래는 그를 <참으로 보살>이라 이름 하느니라.』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육안(肉眼)을 가졌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육안을 가지셨나이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천안(天眼)을 가졌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천안을 가지셨나이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혜안(慧眼)을 가졌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혜안을 가지셨나이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법안(法眼)을 가졌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법안을 가지셨나이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불안(佛眼)을 가졌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불안을 가지셨나이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저 항하(恒河)에 있는 모래를 부처가 모래라 말하느냐?』 『그러하나이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모래라고 말씀하셨나이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저 한 항하에 있는 많은 모래 수효와 같이 그렇게 많은 항하가 있고, 이 모든 항하에 있는 모래 수효와 같은 수의 불세계(佛世界)가 있다면 이런 불세계는 많다고 하지 않겠느냐 』 『엄청나게 많나이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그렇게 많은 세계에 있는 모든 중생들의 갖가지 마음을 여래가 다 아노니 왜냐 하면 여래가 말씀한 모든 마음은 모두가 마음이 아니기에, 이를 마음이라 이름 할 뿐이기 때문이니라.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수보리야, 과거의 마음도 찾(잡)을 수 없고, 현재의 마음도 찾(잡)을 수 없고 미래의 마음도 찾(잡)을 수 없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만일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에 칠보를 가득히 쌓아 놓고 보시에 썼다면, 이 사람이 이 인연으로 받는 복이 많다고 하겠느냐?』 『그러하나이다. 세존이시여, 그 사람이 그 인연으로 받는 복이 매우 많겠나이다.』 『수보리야, 만일 그러한 복덕(福德)이 있는 것이라면 여래가 이를 '복덕이 많다'고 말하지 않았겠지만, 이 복덕이라는 것이 없기 때문에 여래가 말씀하시기를 '얻은바 복덕이 많다'고 말 하느니라.』 『수보리야, 네 생각에는 어떠하냐. 여래가 색신을 모두 갖춘(具足色身) 것으로 볼 수 있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를 '모두 갖춘 몸(具足色身:모양)'으로써 볼 수 없사오니, 무슨 까닭인가 하오면, 여래께서 말씀하신 '모두 갖춘 몸(具足色身:모양)'이란 '모두 갖춘 몸'이 아니며, 다만 이름을 '모두 갖춘 몸'이라 하시옵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여래를 '모두 갖춘 거룩한 몸매(具足諸相:특징)'로서 볼 수 있겠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를 '모두 갖춘 거룩한 몸매(具足諸相:특징)'로서 볼 수 없습니다, 무슨 까닭인가 하오면, 여래께서 말씀하신 '모두 갖춘 거룩한 몸매'라 함은 곧 '모두 갖춘 거룩한 몸매'가 아니며, 다만 '모두 갖춘 거룩한 몸매(具足諸相)'라 이름한 것 이옵니다.』 『수보리야, 여래가 생각하기를 「내가 말한바 법이 있다.」한다고 하지마라. 너는 이런 생각을 하지 말지니 무슨 까닭 이겠는가하면 만약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여래께서 말씀하신바 법을 가지고 있다.」 한다면, 이는 곧 부처님을 비방하는 것이니, 내가 설한 말뜻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법을 말 한다는 것은 실로 말 할만 한 법이 없으므로 이를 이름 하여 '법을 말한다(說法)' 하느니라.』 그때에 혜명(慧命)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어떤 중생이 앞으로 오는 세상(來世)에 이 법문을 듣고서 믿음을 일으킬 이가 있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야, 그들은 중생도 아니오. 중생 아님도 아니니, 무슨 까닭이겠는가 하면, 수보리야, 중생 중생이라 한 것은 여래가 말씀하시기를 이는 중생이 아니요 다만 중생이라 이름 한 것이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白佛言)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으신 것은, 얻으신 바가 없기 때문이옵니까?』 부처님이 이르시되 『그러하니라. 그러하니라. 수보리야, 내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법에서 어떤 조그마한 법도 얻은 것이 없으므로 이를 이름 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 하는 것이니라.』 또 수보리야, 이 법은 평등하여 높은 것도 없고 낮은 것도 없으므로 이를 이름 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 하나니, 이는 아상이 없고 인상·중생상·수자상도 없기 때문에, 온갖 착한 법(善法)을 닦으면 즉시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느니라. 수보리야, 이른 바 착한 법(善法)이란 것은 여래가 말씀하기를 착한 법이 아니므로 이를 곧 착한 법(善法)이라 부르는 것 이니라. 『수보리야, 만일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 안에 있는 수미산왕들처럼 그렇게 큰 칠보더미로 보시하더라도, 다른 어떤 사람이 이 반야바라밀경의 혹 사구게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며 남을 위해 일러 준다면 이 공덕을 말하면, 앞서의 공덕은 백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하며 백·천·만·억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하며, 나아가서는 수효나 비유로서는 미칠 수 없느니라.』 『수보리야, 네 생각에는 어떠 하느냐? 너희들은 여래가 "내가 중생을 제도하리라"고생각한다고 여기지 말라. 수보리야, 그런 생각을 하지 말 것이니, 무슨 까닭이겠는가 하면, 진실로는 어떤 중생도 여래가 제도할 중생이 없느니라. 만일 여래가 '제도할 어떤 중생이 있다'고 한다면 이는 곧 여래가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이 있다는 것 이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말하기를 「아상이 있다.」한 것은 곧 아상이 있는 것이 아니거늘, 범부(凡夫)들은 아상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니라. 수보리야, 범부라는 것도 여래는 말씀하시기를 범부가 곧 범부가 아니며, 다만 범부라 부르는 것이니라.』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32상(相)으로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 수보리가 아뢰었다. 『그러하옵고 그러하옵니다. 32상(相)으로 여래를 볼 수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야, 만일 32상(相)으로서 여래를 본다면 전륜성왕(轉輪盛王)도 곧 여래라고 할 것이다.』 수보리가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의 말씀하시는 뜻을 알기로는, 응당 32상(相)으로서는 여래를 볼 수 없겠습니다.』 그때에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겉모양에서 부처를 찾거나 음성(목소리)으로써 부처를 찾는다면 이 사람은 삿된 도를 행하는지라 끝끝내 여래를 볼 수 없으리라. 수보리야, 네가 생각하기에 여래가 구족한 상이 아니기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생각하느냐, 수보리야 이렇게 생각하지 말아라, 수보리야 혹 네가 생각하기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일으킨 자는 모든 법이 끊어져 없다고 말함이겠는가. 이런 생각을 하지마라 왜냐하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킨 자는 그 법에 있어서 끊어져 없어지는 상을 말함이 아니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만일 어떤 보살이 항하의 모래 수효와 같이 많은 세계에 칠보로서 보시에 썼더라도, 다른 어떤 사람이 모든 법에 나(我)없는 줄 알아서 확실한 인행(忍行)를 이루었다면, 이 보살은 칠보로써 보시한 보살의 공덕보다 더 나을 것이니 왜냐하면 수보리야, 모든 보살들은 복덕을 받지 않기 때문이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어찌하여 보살이 복덕을 받지 않는다 하십니까?』 『수보리야, 보살들은 지은 바 복덕을 탐내거나 고집하지 않아야 하므로, 그래서 보살은 복덕(福德)을 받지 않는다 말 하느니라.』 『수보리야, 만일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여래가 오는 듯도 하고 가는 듯도 하고 앉기도, 눕기도 한다."고 하면 이 사람은 나의 말한 바 그 뜻(義)을 알지 못함이니, 무슨 까닭이냐 하면 여래(如來)라 함은 어디로부터 오는 일도, 가는 데도 없기 때문에 여래라고 이름 한 것이다.』 『수보리야, 만일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삼천대천세계를 부수어 티끌을 만든다면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티끌들이 많지 않겠느냐 ?』 수보리가 사뢰어 말씀드리되,『매우 많겠나이다. 세존이시여, 무슨 까닭인가 하오면 만일 이 같은 티끌들이 참으로 있는 것이라면 부처님께서는 이것을 티끌들이라 말씀하시지 않으셨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 까닭이 무엇인가 하오면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티끌들이란 곧 티끌들이 아니기에 이름을 티끌들이라 이름 하였기 때문이옵니다. 세존이시여, 또한 여래께서 말씀하신 삼천대천세계도 곧 세계가 아니라 이름을 세계라 이름 하나이다. 왜냐 하오면 만일 세계가 참으로 있는 것이라면 그것은 곧 일합상(相·想 덩어리)인 것이나, 여래께서 말씀하시는 일합상(一合相)은 실제 일합상이 아니라 다만 이름을 일합상이라 이름 하나이다.』 『수보리야, 일합상란 것은 바로 말할 수 없는 것이거늘 다만 범부(凡夫)들이 그것을 탐내고 집착 하느니라.』 수보리야,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부처님이 아견(我見)·인견(人見)·중생견(衆生見)·수자견(壽者見)을 말씀하셨다.」한다면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사람이 내가 설한 뜻을 이해한다고 하겠는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이 사람은 여래께서 말씀하신 뜻을 알지 못하옵니다. 무슨 까닭인가 하오면 세존께서 말씀하신바 '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은 곧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이 아니라. 단지 그 이름을'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이라 부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수보리야,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일으킨 이는 온갖 법에 대하여 응당 이렇게 알며 이렇게 보며 이렇게 믿고 해석하여 알아 법상(法相)을 내지 말 것이다. 수보리야, 이른 바 법상이라 하는 것은 여래가 말씀하시기를 진정한 법상이 아니라 설하노니 다만 이름을 법의 상(法相)이라 부르는 것이니라.』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한량없는 아승지세계에 가득히 쌓인 칠보를 보시에 썼더라도 어떤 선남자 선녀인 으로서 보살심을 일으킨 이가 이 경을 지니고 혹은 사구게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고 남을 위하여 일러주면 그 복이 저 보시한 복보다 더 나을 것이니 어떻게 남을 위하여 일러 줄 것인가? 모양(相)에 집착하지 않고 항상 여여(如如)하여 동요가 없어야 하느니라. 무슨 까닭이겠는가. 온갖 유위(有爲)의 법은 꿈같고 꼭두각시 같고 거품 같고 그림자 같으며 이슬 같고 번개 같으니 응당 이렇게 관(觀) 할 지어다. 부처님께서 이 경을 설(說)하심을 마치시니 장로 수보리와 여러 비구·비구니와 우바새·우바이와 일체 모든 세간의 천상 인간과 아수라들이 부처님이 설하신 법문을 듣고 모두들 매우 기뻐하면서 믿고 받들어 행하였다. |
'🙏불법과 동행을 > 💕불교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설연명지장보살경(佛說延命地藏菩薩經) (0) | 2020.07.08 |
---|---|
법화경 제16.여래수량품(如來壽量品) (0) | 2020.07.07 |
경전의 분류 (0) | 2020.07.06 |
불설삼세인과경 (0) | 2020.07.02 |
불설삼세인과경 (0) | 2020.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