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라니기도4000 누가 화를 내거든 '일시적 정신 이상' 이구나. 어떤 남자에게 부인이 계란 좀 사다 줄 수 있냐고 부탁을 했습니다. 남자는 기꺼이 승낙하고 시장으로 갔습니다. 그런데 웬 모르는 청년이 다가오더니. 다짜고짜 말도 안 되는 험담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얼굴이 길쭉하다느니 낙타 얼굴 같다느니. 이상한 냄새가 난다느니. 도저히 참을 .. 2020. 3. 21. 불사하는 마음으로 부모님을 봉양하라. 우리 불가(佛家)에서는 예로부터 효(孝)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기 때문에 효에 관한 경전들이 있고 수많은 감동적인 이야기들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그 중에 경주 불국사 창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설화가 있습니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신라 신문왕 때 모량리에 머리가 크고 이마가 마치.. 2020. 3. 20. 三十六卷 廻向偈 (삼십육권 회향게) 三十六卷 廻向偈(삼십육권 회향게) 自性無生一切法 (자성무생일체법) 前際後際無所有 (전제후제무소유) 十種平等難勝地 (십종평등난승지) 都是開士行於世 (도시개사행어세) *자성은 일체의 법에 무생하나니 *전제에나 후제에도 소유함이 없느니라. *열 가지 종류의 평등한 청정심이 난승지이니 *이는 모두 개사[菩薩]이 저 세상에서 행하는 것이니라. 【自性】 산스크리트 스바하바(svabhāva)를 번역한 말이다. 다른 것과 혼동되지 않으며, 변하지도 않는 독자적인 본성을 의미한다. 해석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할 수있다. 첫째, 변계자성·의타자성·원성자성의 삼성(三性) 또는 《능가경》의 집성자성(集性自性)·성자성(性自性)·상성자성(相性自性)·대종성자성(大種性自性)·인성자성(因性自性)·연성자성(緣性自性)·성성자성(成性自.. 2020. 2. 21. 三十五卷 廻向偈 (삼십오권 회향게) 三十五卷 廻向偈(삼십오권 회향게) 遠離十惡無惱害 (원리십악무뇌해) 皆修十善成功德 (개수십선성공덕) 十心得入離垢地 (십심득입리구지) 爲欲解脫十心行 (위욕해탈십심행) *괴로움과 고통을 없고자 하려면 열 가지 악을 멀리 하고, *공덕을 성취 하고자 하면 열 가지 선을 모두 행할지어다. *열 가지 마음에 들어가면 이구지를 얻게 되고, *해탈을 하고자 할진대 열 가지 마음을 수행할지어다. 【十惡】 십악(十惡) 또는 십악죄(十惡罪)는 몸[身] · 말[語] · 뜻[意, 마음]으로 짓는 다음의 열 가지 종류의 악업(惡業)들을 말한다. 십악을 십불선행(十不善行) 또는 신삼구사의삼(身三口四意三)이라고도 한다. 십행(十行)이라고도 한다. 불교에서 악(惡)은 불선(不善)이라고도 하는데, 현세나 내세에 자기와 남에게 좋지 않은.. 2020. 2. 21. 三十四卷 廻向偈 (삼십사권 회향게) 三十四卷 廻向偈(삼십사권 회향게) 六相圓融宣妙理 (육상원융선묘리) 爲度九類諸衆生 (위도구류제중생) 十地無上振法界 (십지무상진법계) 甚深顯玄菩薩地 (심심현현보살지) *육상원융의 오묘한 이치를 드날림은 *구류의 모든 중생을 제도하기 위함이며 *위없는 십지를 법계에 떨침은 *보살의 지위의 깊고도 깊은 그윽하고 오묘함을 나타냄이로다. 【六相圓融】 『화엄경』의 총상·별상·동상·이상·성상·괴상으로, 모든 존재의 연관성과 조화 원리를 의미하는 불교교리. 육상원융의 도리를 ≪화엄경≫에서는 체계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으나 우리나라 및 중국의 화엄종 승려들은 이를 최고의 원리로 받아들여 깊이 연구하였다. ≪화엄경≫에는 총상(總相)·별상(別相)·동상(同相)·이상(異相)·성상(成相)·괴상(壞相) 등 육상(六相)의 명칭만 열거되어.. 2020. 2. 20. 내 마음 양보하면 만복이 온다. 제4-묘행무주분(妙行無住分) 보살 응여시보시 부주어상 하이고 약보살 부주상보시 기복덕 불가사량 菩薩 應如是布施 不住於相 何以故 若菩薩 不住相布施 其福德 不可思量 (보살은 마땅히 이와 같이 보시하며, 상(相)에 머물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만약 보살이 상(相)에 머물지 않고 보.. 2020. 2. 19. 영천 서광사와 인연 되신 모든 신도님들의 가정에 부처님의 가피를 내리소서. 영천 서광사와 인연 되신 모든 신도님들의 가정에 부처님의 가피를 내리소서. 2020. 2. 10. 바로 이 자리가 극락이 되는 법 극락세계중생의 몸은 어떤 몸인고하면 무극허무신(無極虛無身)이라! 없을무(無)자, 다할극(極)자, 빌허(虛)자, 없을무(無)자, 몸신(身)자입니다. 무슨 물질(物質)이나 무슨 질료(質料)가없이 텅 비워있단 말입니다. 극락세계에 있는 중생은 그와 같이 어디에 물질적(物質的)인 그런 어떤 질.. 2020. 2. 7. 사람은 자기 복(福)에 산다 부처님이 왕사성의 영취산에서 설법하고 계실 때이다. 나라에는 임금의 외딸인 선광(善光)이라는 17∼8세의 미혼의 공주가 있었다. 그녀는 몸에 금빛 서기가 감돌았고, 총명하고 미인이어서 부왕과 왕비가 무척 귀여워하고, 궁중에 드나드는 모든 사람들도 한결같이 공주를 사랑스럽게 .. 2020. 2. 6. 쪄서 말린 연근과 아로니아, 도라지 조청은 영천 “서광사”에서, 쪄서 말린 연근과 아로니아, 도라지 조청은 영천 “서광사”에서, 쪄서 말린 연근과 아로니아, 도라지 조청은 영천 “서광사”로 연락 주세요. .(). 연락처:- 054-333-6741 / 010-4488-6741 2020. 2. 3. 쪄서 말린 연근과 아로니아, 도라지 조청은 영천 “서광사”에서, 쪄서 말린 연근과 아로니아, 도라지 조청은 영천 “서광사”에서, 쪄서 말린 연근과 아로니아, 도라지 조청은 영천 “서광사”로 연락 주세요. .(). 연락처:- 054-333-6741 / 010-4488-6741 2020. 1. 30. [스페셜인터뷰] 세계불교 초대 교황 추대 - 석가산 큰스님 -1부- [스페셜인터뷰] 세계불교 초대 교황 추대 - 석가산 큰스님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p05bUtWihUY&version=3&hl=ko%5FKR - 2020. 1. 20. 三十三卷 廻向偈 (삼십삼권 회향게) 三十三卷 廻向偈(삼십삼권 회향게) 諸法甚深妙莊嚴 (제법심심묘장엄) 無邊法界大廻向 (무변법계대회향) 開示淸淨大法海 (개시청정대법해) 闡揚正法利群生 (천양정법리군생) *매우 깊고 깊은 모든 진리로 오묘하게 장엄하여 *끝없는 법계에 대회향하니 *맑고 깨끗한 대 진리의 바다를 열어 보여서 *바른 진리를 드날려 밝혀 널리 많은 중생을 이롭게 하였도다. 【莊嚴】 산스크리트어: vyūha, alaṃkāra, 팔리어: byūha, vyūha, alaṃkāra) 1.아름답고 훌륭하게 건설, 건립, 배열 또는 배치하는 것을 뜻한다. 2.정토(浄土)가 장식엄정(裝飾嚴浄)한 것을 말한다. 즉 정토는 아름답고 훌륭하게 건설된 곳으로 엄숙하고 위엄이 있으며 청정한 곳임을 뜻한다. 3.쌓은 공덕, 즉 선업이 그 몸을 장식하는 것을.. 2020. 1. 17. 三十二卷 廻向偈 (삼십이권 회향게) 三十二卷 廻向偈(삼십이권 회향게) 淸淨梵行能得道 (청정범행능득도) 超脫生死大廻向 (초탈생사대회향) 不壞金剛菩提心 (불괴금강보리심) 但爲救護諸衆生 (단위구호제중생) *청정한 범행으로 능히 도를 얻어 *생사를 초탈하여 대 회향을 하기 위함이며 *무너지지 않는 금강의 보리심은 *다만 모든 중생을 구하여 보호하고자 함이로다. 【梵行】 괴로움을 끝내고 열반을 실현하기 위한 출가 수행자의 삶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범행(梵行, brahma-cariya)이란 원래 고대 바라문교에서는 『베다(Veda)』를 공부하는 미혼의 학생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그러나 불교에서는 그 의미가 확장되어 음행(淫行)을 완전히 끊은 출가 수행자의 삶을 가리키게 되었다. 불교에서 범행의 궁극적 목표는 모든 괴로움을 없애고 열반을 성취하는 것이.. 2020. 1. 17. 卍-영천 서광사 경자(庚子)년 정초(신중)기도 법회-卍 卍-영천 서광사 경자(庚子)년 정초(신중)기도 법회-卍 2020. 1. 2. 卍-“시왈리 존자” 정근, 게송, 다라니-卍 2019. 12. 27. 卍-“시왈리 존자” 정근, 게송, 다라니-卍 卍-“시왈리 존자” 정근, 게송, 다라니-卍 2019. 12. 27. 시왈리존자정근 시왈리게송 시왈리데헤나(다라니)외 시왈리존자정근 시왈리게송 시왈리데헤나(다라니)외.mp3 2.52MB 2019. 12. 27. 시왈리 존자 정근, 시왈리 게송 외 시왈리 존자 정근, 시왈리 게송 외 시왈리 존자 정근.hwp 2019. 12. 27. 영천 서광사 동짓날 아침에 잠시 ... 영천 서광사 동짓날 아침에 잠시 ... 2019. 12. 23. 영천 서광사 불기(彿紀)2564 (서기2020) 경자(庚子)年 행사 일정표 영천 서광사 불기(彿紀)2564 (서기2020) 경자(庚子)年 행사 일정표 2019. 12. 22. 수행자는 스님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닙니다. 수행자는 스님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닙니다. (재가불자 모두가 수행자입니다) 부처님이 열반의 세계에 계시는 것은 오랜 세월 동안 욕심을 끊고 고행하신 결과요, 중생들이 불타는 집에 윤회하는 것은 끝없는 세상에 탐욕을 버리지 못한 탓이다. 누가 막지 않는 천당이지만 가는 사람이 .. 2019. 12. 20. ★-세계불교승가재단 주관 부처님 탄생지 성지순례 4박6일, 룸비니 세계불교 교황 대관식에서-★ ★-세계불교승가재단 주관 부처님 탄생지 성지순례 4박6일, 룸비니 세계불교 교황 대관식에서-★ 2019. 12. 10. ★-세계불교승가재단 주관 부처님 탄생지 성지순례 4박6일, 룸비니 세계불교 교황 대관식에서-★ ★-세계불교승가재단 주관 부처님 탄생지 성지순례 4박6일, 룸비니 세계불교 교황 대관식에서-★ 2019. 12. 10. ★-세계불교승가재단 주관 부처님 탄생지 성지순례 4박6일, 룸비니 세계불교 교황 대관식에서 이모 저모-★ ★-세계불교승가재단 주관 부처님 탄생지 성지순례 4박6일, 룸비니 세계불교 교황 대관식에서 이모 저모-★ 2019. 12. 9.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마음 : 어버이 마음 여러분들은 ‘자비심’이라는 말은 많이 들었을 것입니다. 자비란 무엇입니까. 자(慈)는 ‘사랑 자, 어버이 자’입니다. 비(悲)는 ‘슬피 여길 비, 불쌍히 여길 비, 슬퍼할 비’입니다. ‘자능여락(慈能與樂)이요 비능발고(悲能拔苦)’라는 말이 있습니다. 자심(慈心)은 중생에게 즐거움을.. 2019. 12. 4. 서기2019년 대각교단 전강 원류(세존응화 3046년 음 10월 23일 전강식) 서기2019년 대각교단 전강 원류(세존응화 3046년 음 10월 23일 전강식) 2019. 11. 28. 서기2019년 대각교단 전강 원류(세존응화 3046년 음 10월 23일 전강식) 서기2019년 대각교단 전강 원류(세존응화 3046년 음 10월 23일 전강식) 2019. 11. 28. 꿈에서 벗어나라.-청담 큰스님 법어록 왜 사느냐고 묻는다면, 우리가 꿈에서는 그것이 꿈인 줄 모르듯이, 우리가 경험하는 소위 현실이라는 것도, 그대로 꿈이라고는 누구도 생각지 못한다. 지금 살고 있는 생시가 바로 꿈이라고 하면, 펄쩍 뛰면서 아니라고 대들 것이다. 그러면 어찌하여 그 꿈(생시)이 영원한 꿈인데도 꿈인 .. 2019. 11. 26. 영천 서광사사 불기(彿紀)2563년, 서기2019(기해 己亥) 새해맞이 동지기도 봉행 영천 서광사사 불기(彿紀)2563년, 서기2019(기해 己亥) 새해맞이 동지기도 봉행 2019. 11. 26. 이전 1 ··· 35 36 37 38 39 40 41 ··· 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