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삼매경(金剛三昧經)-8. 총지품(摠持品)
그때 지장(地藏)보살이 대중 가운데서 일어나 부처님 앞으로 나와 합장하고 꿇어앉아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제가 대중을 관찰하매 마음에 의심하는 일이 있어서 아직 결단을 내리지 못한 듯합니다. 이제 여래께서는 그 의심을 제거하여 주시고자 하시니, 제가 이제 대중을 위하여 의심에 따라 묻는 바입니다. 원하건대 부처님께서는 자비로 불쌍히 여겨 허락하여 주십시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이여, 그대는 이와 같이 중생을 제도할 수 있으려니와 이것은 위대한 자비라, 헤아려 생각하기가 어렵느니라. 그대는 마땅히 널리 물어라. 그대를 위하여 설명하리라.”
지장보살이 여쭈었다.
“일체의 모든 법이 어찌하여 인연으로 생기지 않는다 하십니까?”
그때 여래께서는 이 뜻을 펴시려고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만일 법이 인연으로 생기는 바 인연을 떠나 법도 있을 수 없다면, 어떻게 법의 고정된 바탕[性]이 없는데 인연으로 법이 생길 수 있겠는가?
그때 지장보살이 여쭈었다.
“법이 만일 생김이 없는 것이라면 어찌하여 설법을 하시되 법이 마음을 따라서 생긴다고 말씀하십니까?”
이에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이것이 마음으로 생겨난 법[所生法]이라면 이 법은 능취(能取 : 주체)와 소취(所取 : 대상)이니 술취한 눈으로 허공의 꽃을 보는 것 같아 이 법도 그러하여 저것이 아니네.
그때 지장보살이 여쭈었다.
“법이 만일 이와 같다면 법은 곧 의지할 상대가 없는 것이니, 의지할 상대가 없는 법은 마땅히 저절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이에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법은 본래 있다거나 없다거나 하는 것이 아니라,
나다 남이다 하는 것도 그러하니라.
시작되는 것도 아니고 끝나는 것도 아니며 이루어지고 무너짐에도 머물지 않느니라.
그때 지장보살이 여쭈었다.
“일체 모든 법의 모습이 바로 본래의 열반이며, 열반과 공의 모습도 이와 같나니, 이러한 법들이 없으면 이 법은 여여함에 상응하겠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러한 법이 없어야 이 법이 여여하니라.”
지장보살이 여쭈었다.
“불가사의합니다. 이와 같은 진여의 모습은 같은 것도 다른 것도 아니며, 뜻으로 취득하는 것이나 업으로 취득하는 것이나 모두 공적하나니, 공적한 마음과 법은 함께 취득할 수 없는 것이므로 마땅히 적멸합니다.”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일체의 공적(空寂)한 법 이 법은 고요하나 공한 것은 아니다.
저 마음이 공하지 않을 때에 이러한 마음의 얻음은 있지 않으리.
그때 지장보살이 여쭈었다.
“이 법은 3제(諦 : 색 공 심)가 아니니라. 3제인 물질[色] 허공[空] 마음[心]도 없어지는 것이거니와 이 법이 본래 소멸할 때에는 이 법도 마땅히 이러한 소멸에 상응하겠습니다.”
이에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법은 본래 자성이 없건만 저것으로 말미암아 생겨난 것이니,
이와 같은 차별이 있는 곳에서가 아니라.
저 그러함[如是]에 있느니라.
그때 지장보살이 여쭈었다.
“일체 모든 법은 생김도 없고 소멸함도 없거늘 어찌하여 하나가 아니라 합니까?”
이에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법은 머무르는 곳이 없으며 모습과 수효는 공하므로 없나니
이름[名]과 언설의 두 가지와 법, 이것은 바로 능취와 소취이니라.
그때 지장보살이 여쭈었다.
“일체 모든 법의 모습은 두 언덕에도 머물지 않으며, 또한 중간의 흐름에도 머물지 않나니, 심식(心識)도 이러하거늘, 어찌하여 가지가지의 경계가 식(識)을 따라 생긴 것이라 하십니까? 만일 식이 생김[生]을 지닐 수 있다면 이 식 또한 생김을 따르는 것이거늘 어찌하여 생김이 없다고 하십니까? 식이 능생(能生)이라면 소생(所生)을 지니는 것입니다.”
이에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소생과 능생 두 가지는 두 가지인 능연과 소연이라.
본래 각각의 자아가 없나니 있음에 사로잡히는 것은 허공의 꽃 같은 환상이니라.
식의 생김이 아직 없을 적에 경계는 이때에 생긴 것이 아니니라.
경계가 아직 생기지 않았을 적에 이때는 식도 역시 사라지느니라.
그것들은 본래 함께 없는 것, 또한 있다거나 없다거나가 아닌 있음이니, 생김이 없으면 식 역시 없는 것, 어찌 경계가 있음을 따른다고 하는가?
그때 지장보살이 여쭈었다.
“법의 모습은 이와 같아서 안과 밖이 함께 공하여 경계와 지혜 두 가지 무리는 본래 적멸하니라. 여래께서 말씀하신 실상은 진실로 공한 것이니, 이와 같은 법은 바로 집기(集起)가 아닙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러하니라. 실다운 법은 물질도 아니고 머묾도 없으며, 집기 되는 것도 아니고 집기 시키는 것도 아니며, 의(義)도 아니고 대(大)도 아닌 순일한 본각의 이로운 법이니 깊은 공덕의 무더기이니라.”
지장보살이 여쭈었다.
“불가사의하고 불가사의한 무더기입니다. 7식과 전5식이 생기지 않으면 8식과 6식이 적멸하며, 9식의 모습도 공하여 없을 것입니다. 있음[有]도 공하여 있을 수 없고, 없음[無]도 공하여 있을 수 없습니다. 세존께서 말씀하신 대로 법의 뜻이 모두 공하여 행함이 없는 데에 들어가지만, 가지가지의 업을 잃지 않으며 주체와 대상이 없으며, 주동과 피동[能所]의 신견(身見)51)과 안과 밖의 번뇌[結使]가 모두 고요해졌으므로 가지가지의 서원[願] 역시 멈추었습니다. 이와 같이 이치로 관(觀)하는 지혜와 선정과 진여를 세존께서는 항상 말씀하셨으니, 진실로 공한 법[空法]이 바로 훌륭한 약(藥)인 것과 같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러하니라. 왜냐하면 법의 바탕은 공하기 때문이니라. 공의 바탕은 생김이 없기 때문에 마음도 항상 생김이 없으며, 공의 바탕은 소멸하지 않기 때문에 마음도 항상 소멸함이 없으며, 공의 바탕은 머묾이 없기 때문에 마음도 머묾이 없고, 공의 바탕은 조작함[爲]이 없기 때문에 마음도 역시 조작함이 없느니라. 공은 나가고 들어옴이 없어서 가지가지의 얻고 잃음을 떠나며, 5음 18계 6입 등이 모두 없나니, 마음이 여여하여 집착하지[着] 않는 것 또한 이와 같으니라. 보살이여, 나는 가지가지의 공한 가르침을 설하여 가지가지의 있다는 견해[有]를 부수기 때문이니라.”
지장보살이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있다는 것이 실답지 않기를 알되 아지랑이가 물이 아닌 것과 같이 알고, 실상이 없지 않다는 것을 알되 불의 바탕이 생기지 않는 것같이 알아야 하나니, 이와 같이 관찰[觀]하면 이 사람은 슬기롭다 하겠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러하니라. 왜냐하면 이 사람은 참다운 관(觀)으로 하나의 적멸을 관찰하되 모습과 모습 아닌 것을 평등하게 공으로 인정하여 공을 닦으므로 부처를 보는 데 실패하지 않으며, 부처를 보기 때문에 세 가지 흐름[三流]에 따르지 않느니라.
대승 가운데서 3해탈도(解脫道)는 하나의 몸이요 자성이 없느니라. 자성이 없기 때문에 공(空)이며, 공하기 때문에 모습이 없고, 모습이 없기 때문에 만드는 것이 없으며, 만드는 것이 없기 때문에 희구하는 것이 없으며, 희구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서원[願]이 없나니, 바람[願]이 없기 때문이니라. 이로써 행업(行業)을 알기 때문에 반드시 마음을 깨끗하게 해야 하며, 마음이 깨끗하기 때문에 부처를 보게 되며, 부처를 보기 때문에 미래에는 정토(淨土)에 태어나게 되느니라. 보살은 이 깊고 깊은 법에서 세 가지의 교화[三化]로써 부지런히 닦아 지혜와 선정이 원만하게 이루어졌으므로 3계를 뛰어넘느니라.”
지장보살이 여쭈었다.
“여래께서 말씀하신 생김도 없고 소멸함도 없다는 것은 바로 무상52)하다는 것입니다. 이 생기고 없어지는 것[生滅法]을 없애되 생기고 없어지는 것이 완전히 소멸하여 버리면 적멸로 항상함을 삼는 것이니라. 항상하기 때문에 단멸하지 않거니와 이 단멸하지 않는 법은 3계의 가지가지, 움직이거나 움직이지 않는 법[動不動法]을 떠나는 것이니라. 유위법(有爲法)에서 마치 불구덩이를 피하는 것과 같은데, 어떠한 법에 의지해서 스스로 책망하고 꾸짖어야 저 유일한 문에 들어가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이여, 저 세 가지 중대한 일에서 그 마음을 꾸짖고 책망하며, 세 가지 큰 진리에서 그 행에 들어가게 되느니라.”
지장보살이 여쭈었다.
“어떠한 것을 세 가지 일에서 그 마음을 꾸짖는 것이라 하고, 어떠한 것을 세 가지 진리에서 유일한 행에 들어간다 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세 가지 중대한 일이란,
첫째는 인(因)이요,
둘째는 과(果)요,
셋째는 식(識)이니라.
이와 같은 세 가지 일은 본래부터 공하여 나 아닌 것과 참다운 나[眞我]가 없거늘, 어찌 이것에 애착하고 물드는 마음을 낼 것인가? 이 세 가지 일에 얽매여 고해(苦海)에 표류하는 것이라 관찰하고, 이러한 일로 항상 스스로 꾸짖고 책망해야 하는 것이니라.
세 가지 중대한 진리란, 첫째는 보리의 도이니, 이것은 평등한 진리이며, 불평등한 진리가 아니니라. 둘째는 크게 깨달아 바른 지혜로 얻는 진리이니, 삿된 지혜로 얻는 진리가 아니니라. 셋째는 지혜와 선정이 다름이 없는 행으로 들어가는 진리이니, 잡스러운 행으로 들어가는 진리가 아니니라. 이 세 가지 진리로써 부처의 길을 닦으면, 이 사람은 이 법에서 바른 깨달음[正覺]을 얻지 못할 리가 없으리라.
바른 깨달음의 지혜를 얻으면 위대하고 지극한 자비를 펼쳐서 자신과 남을 함께 이롭게 하며, 부처의 깨달음[佛菩提]을 성취하느니라.”
지장보살이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이와 같은 법은 인연이 없습니다. 만일 인연[緣]이 없는 법일 것 같으면 인(因)이 곧 일어나지 않을 것인데, 어떻게 움직이지 않는 법으로 여래에 들어가겠습니까?”
그 때 여래께서는 이 뜻을 펴시려고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일체 모든 법의 모습은 바탕이 공하나 움직이지 않음이 없나니, 이 법은 이 때에 있지만 이 때에 일어나는 것도 아니니라.
법에는 때(과거, 미래)를 달리함이 없으나 때를 달리해서 일어남도 아니며, 법은 움직임과 움직이지 않음이 없나니 바탕이 공하므로 적멸하니라.
바탕이 공하고 적멸할 때에 이 법은 이 때에 나타나나니
모습을 여읜 까닭에 고요히 머물고 고요히 머물기에 연유하지 아니하네.
이 가지가지의 인연으로 일어나는 법, 이 법의 인연은 생김이 아니니, 인연은 생하고 없어짐이 없으므로 생하고 없어짐의 바탕은 공적하도다.
인연의 바탕은 능연과 소연이니 이 인연은 본래 인연으로 생기느니라.
그러므로 법의 일어남은 인연이 아니며 인연이 일어나지 않음 또한 그러하니라.
인연으로 생긴 법 이 법이 인연이니, 인연의 생기고 없어지는 모습, 저것은 바로 생기고 없어짐이 없는 것. 저 진여의 참다운 실상은 본래 나고 사라짐이 아니건만 가지가지의 법은 이 때(현재)에 있으면서 스스로 생기고 사라짐을 만드는구나.
이러므로 지극히 청정한 근본은 본래 여러 힘 때문이 아니니, 마지막 얻은 곳[後得處 : 究竟覺]에 나아가 본래의 얻음[本得 : 本覺]에서 그것을 얻는 것일세.
그 때 지장보살은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것을 듣고 마음자리가 상쾌해졌고, 이 때에 대중들도 의심하는 자가 없었다. 그는 대중들의 마음을 알고 나서 게송으로 여쭈었다.
저는 대중들의 마음속의 의심을 알았기에 은근하고 확고하게 물었더니 여래께서는 크신 사랑으로 잘 분별하여 남김이 없었네.
이 모든 2부 대중들은 모두 분명하게 깨달았으니, 저는 이제 깨달은 곳에서 가지가지 중생을 두루 교화하되, 부처님의 크신 사랑처럼 본래의 서원을 버리지 않으리.
그러므로 저 외아들이 사는 땅[一子地]에서 번뇌에 머무르렵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