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타행(利他行) : 남에게 공덕과 이익을 베풀어주며 중생을 구제하기 위 해 노력하는 것. 이행이라고도 함.
이판사판(理判事判) : 이판사판(理判事判)은 이판(理判)과 사판(事判)의 합성어입니다.
이판은 참선, 경전 공부, 포교 등 불교의 교리를 연구하는 스님을 말하고, 사판이란 절의 산림(山林)을 맡아 하는 스님을 말합니다. 산림이란 절의 재산관리를 맡아 하는 것이고 산림(産林)이라고 쓰기도 했습니다.
살림이라는 말이 이 산림에서 유래된 것으로 오늘날에 산림이란 수계산림(受戒山林), 법화산림(法華山林), 화엄산림(華嚴山林)처럼 일정한 기간 동안 어느 한 분야를 집중적으로 공부해서 지혜와 공덕을 쌓는 일을 산림이라고 합니다<요약>
이행도(易行道) : 성불하는 길에는 난행도와 이행도의 두 가지 길이 있습니다. 난행도는 어려운 길이고, 이행도는 쉬운 길이라고 합니다. 용수는 성불하는 방법에 대해 어려운 길과 쉬운 길 즉 난행도와 이행도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행도(易行道)는 타력에 의해 수행하기 쉽고 깨닫는 경계에 빨리 도달할 수 있는 법문을 말합니다. 이행도와 타력문은 부처님의 구제를 바라는 불교이며, 신앙의 불교는 남의 힘을 믿고 그에 의지하면 되므로 쉽게 수행할 수 있는 길이 되는 것입니다.
부처님의 무궁한 자비와 구제력을 중시하는 것이 대승불교입니다. 석가모니 부처님을 포함한 여러 부처들이 중생을 구제한다고 믿는 것이 신앙의 불교가 되는 것인데, 이것의 대표적인 것이 아미타불의 신앙입니다. 아미타불은 자비와 다양한 방편을 겸비한 부처입니다<요약>
인 : ①공사(公私)의 용도로 사용되는 인장을 뜻함. 표장(標章). ⓟ ⓢmudr ⓣ ⓔ/ 무드라의 번역. *모다라(母陀羅)라고 음역. ⇒ 수인(手印). 인가(印可) 결정(決定)을 뜻함. 깨달음의 심지(心地)를 뜻함.
인(因) : 1,원인. 결과를 일으키는 것. 근거가 되는 것. → 육인(六因). 업인(業因)의 줄임말. 즐거움이나 고통이라는 결과를 받는 데 원인이 되는 선행이나 악행. 이유. 논리학에서 명제를 성립시키기 위해 설정되는 이유로서 종(宗)의 같은말. 2,결과를 일으키는 원인. 연(緣) 또는 과(果)에 대응되는 말. 인명(因明)에서는, 종(宗) 즉 명제를 성립시키기 위해 세우는 이유.
인(忍) : 안인(安忍), 감인(堪忍). ①인욕(忍辱), 인위(忍位), 인법(忍法) 등의 줄임말. 참고 견디는 수행을 통해서 사물의 이치를 인식하여 깨달음을 얻어서, 마침내 마음이 편안하게 된다는 뜻.
인계(印契) : 무드라의 번역. 수인(手印). 수인과 계인(契印)을 합한 말. 수인은 단순히 두 손으로만 모양을 짓는 것이며, 계인은 칼, 막대기, 연꽃 등의 사물을 손에 쥐고서 그것을 통해 뭔가를 상징하는 것을 말한다.
인공(人空) : 인간에게는 영원 불변의 실체가 없음. *아견으로 집착하는 것과 같은 *인아(人我)는 없음.
인과응보(因果應報) : 우리는 흔히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그건 인과응보 때문이다"라고 말하곤 합니다. 인과(因果)라는 것은 원인이 있어야 결과가 있는 것이고 그 결과에 의해 벌을 받거나 아니면 상을 받거나 한다는 것입니다.
즉 중생의 마음은 계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쉴 사이 없이 선과 악의 마음이 교차하고 있습니다. 중생이 악한 마음을 가지고 악한 행동을 하면 좋지 못한 결과가 발생하고 선한 마음으로 착하게 행동하면 하늘이 도와 상을 내린다는 것이 바로 인과응보(因果應報)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불교에서는 '자기가 지은 업, 즉 그 업이 악업이건 선업이건 천 마리의 어미 소를 풀밭에 풀어 놓아도 송아지가 자기의 어미 소를 찾아 가듯이 그 업은 세세생생 찾아 온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인과응보는 자신의 행동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어떻게도 피할 수 없는 것이 인과응보의 법칙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인다라(因陀羅) : 인드라의 음역. 인도의 신 이름. 뇌전(雷電), 풍우(風雨) 등에서 비롯된 신으로서 가장 뛰어난 위력을 지닌 신. *천주(天主), 제(帝)라고 번역. 인간을 보호해 주는 선신이다.
'🙏불법과 동행을 > 💕불교용어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사나(伊舍那)-이십오보살(二十五菩薩) (0) | 2018.07.04 |
---|---|
이십오유(二十五有)-이체(理體) (0) | 2018.07.04 |
인도(人道)-인왕(仁王) (0) | 2018.07.04 |
인욕(忍辱)-일기일경(一機一境) (0) | 2018.07.04 |
일념불생(一念不生)-일상관(日想觀) (0) | 2018.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