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192

六十九卷 廻向偈 (육십구권 회향게) 六十九卷 廻向偈 (육십구권 회향게) 發心出家正道路 (발심출가정도로) 不動不退精進力 (부동불퇴정진력) 不着五欲得法樂 (불착오욕득법락) 能明一切生死夜 (능명일체생사야) *바른 도의 길이란 발심 출가하여 *움직이지도 물러가지도 않는 정진력으로 *오욕에 집착하지 않고 진리[法]의 즐거움을 얻어 *능히 생사의 모든 밤을 밝히는 것이니라. 【發心】 마음을 일으킨다는 뜻. 불교적 의미로는 발보리심(發菩提心)의 줄임말로, 발무상보리심(發無上菩提心)이라 하며, ‘위없는 보리심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의미로 깨달음을 구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려는 마음을 냄, 깨달음의 지혜를 갖추려는 마음을 냄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는 불문(佛門)에 들고자 하는 마음을 일으킴의 의미로도 쓴다. 이외에도 결정발심(決定.. 2021. 2. 8.
六十八卷 廻向偈 (육십팔권 회향게) 六十八卷 廻向偈 (육십팔권 회향게) 普門慈悲觀自在 (보문자비관자재) 南海常住洛迦山 (남해상주낙가산) 七寶莊嚴爲救衆 (칠보장엄위구중) 處處祈求處處應 (처처기구처처응) *(普門)우주의 모든 사물의 일체 진리를 포섭한 자비로우신 관자재보살님께서 *항상 머물러 계시는 남해의 보타 낙가산에는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칠보로 장엄하였기에 *곳곳마다에서 구하는 기도를 하면 곳곳(어느 곳)에서나 응답하시느니라. 【觀自在菩薩】 자비로 중생의 괴로움을 구제하고 왕생의 길로 인도하는 보살. 산스크리트로 아발로키테슈바라(Avalokiteśvara)이며, 중국에서 뜻으로 옮겨 광세음(光世音)·관세음(觀世音)·관자재(觀自在)·관세자재(觀世自在)·관세음자재(觀世音自在) 등으로 썼는데 줄여서 관음(觀音)이라 한다. 관세음은 구역이며.. 2021. 2. 8.
成道法語(성도법어) 成道法語(성도법어) 2021. 2. 8.
七十卷 廻向偈 (칠십권 회향게) 七十卷 廻向偈 (칠십권 회향게) 2021. 2. 8.
六十九卷 廻向偈 (육십구권 회향게) 六十九卷 廻向偈 (육십구권 회향게) 2021. 2. 8.
六十八卷 廻向偈 (육십팔권 회향게) 六十八卷 廻向偈 (육십팔권 회향게) 2021. 2. 7.
영천 서광사 불기(彿紀)2565 (서기2021)신축(辛丑)年 2월 행사 일정표 불, 법, 승 - 자비하시고 거룩하신 삼보님 전에 귀의 하옵고……." 관음기도 도량 영천 "서광사"와 인연됨을 소중히 생각 합니다. 부처님 가피력이 불자님 가정에 언제나 함께 동행 하길 두 손 모읍니다.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나무구고구난 관세음보살.()()(). 2021. 2. 1.
우리말 반야심경-괴로움을 여의고 행복으로 가는 길, 영천 서광사 2021. 1. 29.
복(福)을 지어라. 복(福)을 지어라. 종교를 믿든 믿지 않던 사람들은 누구나 복 받기를 원한다. 사람들이 누리고자 하는 복은 크게 다섯 가지(五慾樂)이다. 먼저 재물이 풍족해서 잘 사는 것(財), 그 다음은 남녀가 좋아하는 사람과 사랑하는 것(色), 또 맛있는 음식을 즐기는 것(食), 이름을 사방에 떨치는 명예(名), 자고 싶을 때 마음껏 잠자는 것(睡)이다. 그런데 이 복이 모든 사람에게 다 오지를 않으니 이게 문제다. 그래서 복을 달라고 신에게 매달리고 부처님께 기도드린다. 하지만 복은 아무나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복 받을 준비가 된 사람만이 받을 수 있다. 그래서 부처님은 복을 달라고 하지 말고 지으라고 가르치신다. 농부가 밭을 가는 것처럼 복을 짓고 자기가 거두는 것이다. 부처님께서 어느 날 제자들에게 복 .. 2021. 1. 21.
지장정근-“행복”을 찾아가는 “백팔” 참회기도 도량 2021. 1. 14.
석가모니정근-“행복”을 찾아 가는 “백팔” 참회기도도량 2021. 1. 14.
관음예찬-성주(대성)스님 2021. 1. 14.
나무아미타불 정근- 성주(대성)스님 2021. 1. 14.
향수해례- 성주(대성)스님 2021. 1. 14.
회자정리-성주스님-행복을 찾아 가는 백팔 참회기도 도량 2021. 1. 14.
방생을 합시다,- 성주(대성)스님 2021. 1. 14.
六十七卷 廻向偈 (육십칠권 회향게) 六十七卷 廻向偈 (육십칠권 회향게) 財法二施功德海 (재법이시공덕해) 福德智慧諸莊嚴 (복덕지혜제장엄) 生死風開正覺華 (생사풍개정각화) 諸法性海見諸佛 (제법성해견제불) *재물을 삼보전에 보시하는 것과 부처님의 법[眞理]을 중생에게 전하는 두 가지 보시는 공덕의 바다라 *복과 덕과 지혜로 모두를 장엄하여 *나고 죽는[生死] 바람이 바른 깨달음의 꽃을 피워서 *모든 진리[法]의 성품 바다에서 모든 부처님을 뵐 수 있느니라. 【財施】 재시는 누구든지 구하는 사람이 있으면 능력에 따라서 재물을 베풀고, 스스로 인색하고 탐욕한 생각을 버려서 구하러 온 사람으로 하여금 기쁨을 얻게끔 하는 것이다. 【法施】 법시는 중생이 진리를 구하러 오거든 자기가 아는 대로 좋은 방편을 써서 이야기해 주되, 명예나 이익이나 존경을 받.. 2021. 1. 12.
六十六卷 廻向偈 (육십육권 회향게) 六十六卷 廻向偈 (육십육권 회향게) 十惡能斷得平安 (십악능단득평안) 十波羅蜜登彼岸 (십바라밀등피안) 能知能說菩薩道 (능지능설보살도) 光明遍照諸世間 (광명편조제세간) *열 가지 악을 능히 끊어 평안을 얻어서 *십바라밀로 피안에 올라 *능히 보살도를 알아서 설하면 *광명이 모든 세간에 두루 비추리라. 【十波羅蜜】 대승불교 보살의 열 가지 수행덕목을 말하며, 십바라밀의 바라밀(波羅蜜)은 산스크리트어 pāramitā의 음사, 십도(十度)·십도피안(十到彼岸)·십승행(十勝行)이라고도 한다. 육바라밀에다가 마지막의 반야(般若:智慧)바라밀을 다시 분류하여 네 가지 종류를 더한 것이다. 우리나라 불교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보살행(菩薩行)이며, 육바라밀(六波羅蜜)의 연장이기도 하다. 대승불교의 일반 보살행은 처음 보시(布施.. 2021. 1. 12.
六十五卷 廻向偈 (육십오권 회향게) 六十五卷 廻向偈 (육십오권 회향게) 因陀羅網陀羅尼 (인타라망다라니) 成就諸法陀羅尼 (성취제법다라니) 讚供三寶福德海 (찬공삼보복덕해) 般若明燈破諸闇 (반야명등파제암) *인타라망의 다라니는 *모든 진리를 성취하는 다라니로다. *삼보를 찬탄하며 공양하는 것은 복덕의 바다이며 *반야는 밝은 등불이라, 모든 어두운 것을 파하느니라. 【因陀羅網】 불교의 신적 존재 가운데 하나인 인다라(Indra), 즉 제석천의 궁전을 장엄하는 그물을 가리키는 불교용어이다. 범어로는 indrajāla이다. 불교의 욕계(欲界)에 속한 천신(天神)들의 왕인 인드라, 즉 제석천이 머무는 궁전 위에 끝없이 펼쳐진 그물이다. 사방으로 끝없는 이 그물의 그물코에는 보배구슬이 달려 있고 어느 한 구슬은 다른 모든 구슬을 비추고 그 구슬은 동시에.. 2021. 1. 12.
六十七卷 廻向偈 (육십칠권 회향게) 六十七卷 廻向偈 (육십칠권 회향게) 2021. 1. 12.
六十六卷 廻向偈 (육십육권 회향게) 六十六卷 廻向偈 (육십육권 회향게) 2021. 1. 12.
六十五卷 廻向偈 (육십오권 회향게) 六十五卷 廻向偈 (육십오권 회향게) 2021. 1. 12.
♧-영천 서광사 신축(辛丑)年 정초기도 및 입춘 삼재기도 법회.-♧ ♧-신축(辛丑)年 정초기도 및 입춘 삼재기도 법회.-♧ 2021. 1. 11.
영천 서광사 신축(辛丑)年 입춘기도 및 삼재풀이 법회 안내 2021. 1. 11.
영천 서광사 불기(彿紀)2565 (서기2021)신축(辛丑)年 1월 행사 일정표 불, 법, 승 - 자비하시고 거룩하신 삼보님 전에 귀의 하옵고……." 관음기도 도량 영천 "서광사"와 인연됨을 소중히 생각 합니다. 부처님 가피력이 불자님 가정에 언제나 함께 동행 하길 두 손 모읍니다.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나무구고구난 관세음보살.()()(). 2020. 12. 30.
태국국립 마하출라롱컨 대학교 한국캠프스(동국불교전법대학 )경자(庚子)年 달력 이미지 2020. 12. 21.
六十四卷 廻向偈 (육십사권 회향게) 六十四卷 廻向偈 (육십사권 회향게) 永破無明三毒心 (영파무명삼독심) 欲滅衆生煩惱海 (욕멸중생번뇌해) 先發三貌三菩提 (선발삼먁삼보리) 當從受敎善知識 (당종수법선지식) *영원히 무명과 삼독심(세가지 독한 마음)을 깨뜨려 *중생들의 번뇌의 바다를 멸하고자 할진데 *먼저 삼먁삼보리를 발하여 *마땅히 선지식을 따라 가르침을 받을 지어다. 【無明】 불교에서 영원히 변하지 않는 진리라고 하는 고제(苦諦) ·집제(集諦) ·멸제(滅諦) ·도제(道諦)의 근본의(根本義)에 통달하지 못한 마음의 상태. 십이인연(十二因緣)의 하나이다. 현상계의 모든 사물이 무상(無常) ·무아(無我)함을 모르고 갈애(渴愛)를 일으켜 윤회(輪廻) ·상속(相續)의 원인이 되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무명은 가장 근본적인 번뇌(煩惱)이다. 불교는 인.. 2020. 12. 18.
六十四卷 廻向偈 (육십사권 회향게) 六十四卷 廻向偈 (육십사권 회향게) 2020. 12. 18.
六十三卷 廻向偈 (육십삼권 회향게) 六十三卷 廻向偈 (육십삼권 회향게) 若欲親見善知識 (약욕제견선지식) 正行覺路四攝法 (정행각로사섭법) 悉使充足轉輪福 (실사충족전륜복) 成就親見無障碍 (성취친견무장애) *만약 선지식을 친견하고자 할진댄 *깨달음의 길인 사섭의 진리를 바르게 행하면 *전륜성왕의 복을 다 충족하여 *선지식을 친견함에 막힘이나 걸림이 없으리라. 【善知識】 성품이 바르고 행이 곧고 덕행을 고루 갖추어 바른 도[正道]를 가르쳐 이끌어주는 불교지도자를 가리키는 불교용어. 범어 kalyāṇa-mitra, 팔리어 kalyāṇa-mitta의 번역이며, 가라밀(迦羅蜜)·가리야낭밀달라(迦里也曩蜜怛羅) 등으로 음역한다. 선지식(善智識)·선친우(善親友)·지식(知識)·선우(善友)·친우(親友)·승우(勝友)라고도 한다. 좋은 친구라는 뜻이며, 불도(佛道.. 2020. 12. 18.
六十三卷 廻向偈 (육십삼권 회향게) 六十三卷 廻向偈 (육십삼권 회향게) 2020. 1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