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제사3971 입춘(立春) 24절기 중의 첫 번째 절기. 음력 1월, 양력 2월 초순경이며, 태양의 황경이 315에 와 있을 때인 봄으로 접어드는 절후이다. 정월은 새해에 첫 번째 드는 달이고, 입춘은 대체로 정월에 첫 번째로 드는 절기이다. 음력으로는 정월의 절기로 동양에서는 이 날부터 봄이라고 한다. 입춘 전날이 절분(節分)인데 이것은 철의 마지막이라는 뜻으로 이날 밤을 해넘이라고 부르며 콩을 방이나 문에 뿌려서 마귀를 쫓고 새해를 맞는다고 한다. 입춘은 새해를 상징하는 절기로서, 이날 여러 가지 민속적인 행사가 벌어진다. 그 중 하나가 입춘첩(立春帖)을 써 붙이는 일이다. 이것을 춘축(春祝), 입춘축(立春祝)이라고도 하며, 각 가정에서 대문기둥이나 대들보, 천장 등에 좋은 뜻의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을 말한다. 글씨를 쓸 줄.. 2018. 6. 26. 백중(百衆)과 영가 천도의 공덕 백중(百衆)은 여러 가지로 풀이를 할 수 있습니다. 그 가운데 절에서 영가천도를 위해서 사용할 때는 ‘백중맞이’ 또는 ‘백중기도’라는 말을 씁니다. 이는 백중날 절에서 부처님 불상 앞에서 기도를 하면서 조상의 명복을 빌고 살아생전에 지은 업(業)을 소멸하고, 극락세계에 가서 부처님 세계에 태어나길 부처님께 불공을 올리고 제사를 지내기 때문에 이렇게 불렀습니다. 백중날 제사를 지내게 된 연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석가모니 부처님 당시에 인도 마갈타국의 수도 왕사성 근처에 부상이라는 장자 부부가 살고 있었는데, 그들은 슬하에 나복이라는 외아들을 두고 있었습니다. 나복의 아버지는 항상 자비하고 겸손하므로 주위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았으나, 그의 어머니는 반대로 탐욕이 많고 사악하였으므로 주위로부터 빈축을 사고 .. 2018. 6. 26. 부처님 성도일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이루기 위해 좌선을 하고 계셨습니다. 그때 부처님의 성불을 방해하려고 기회만 엿보던 마왕이 부처님을 유혹하였습니다. "당신은 쇠약하여 얼굴빛이 좋지 않소. 당신은 죽음이 가까웠소. 세상에 생명만큼 소중한 것은 없소. 살아 있고서 수행도 있는 것이 아니겠소. 당신과 같이 고행을 해서는 아무것도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오. 그런데 되지도 않을 그 같은 수행은 해서 무엇하겠소. 수도에 정진하는 길은 나아가기 어렵고 행하기 어렵고 성취하기 어려운 것이오." 그러자 부처님께서는, "마왕이여, 내가 구하는 것은 네가 말하는 그러한 공덕도 이익도 아니다. 그러한 것을 원하는 사람을 찾아가 그와 같은 이야기를 하는 것이 좋으리라. 나에게는 확신이 있으며, 정진할 힘이 있고, 지혜가 있다. 확고한 신념을.. 2018. 6. 26. 안거 안거는 범어 바르사(Varsa)의 번역으로 우기(雨期) 장마철이라는 뜻을 가진 말이며 지금의 결제를 뜻한다. 고대 인도의 수행자들은 여름 비 오는 계절 동안 활동에 의하여 무의식적으로 저질러지는 살생을 막기 위해 일정한 장소에서 생활하게 되어 있었다. 그런데도 초기 불교 수행자들은 우기(雨期)를 관계치 않고 여러 곳을 편력하면서 철저하게 무집착 무소유의 생활과 중생구제의 실천에 혼신의 노력을 기울였다. 이즈음 부처님 제자 가운데 문제성이 심한 육군비구(六郡比丘)들이 우기에 편력하다가 강물이 범람하여 의복 발우 좌복 등을 물에 띄워 읽어버렸는가 하면 미생물과 초목을 밟음으로서 세속의 뜻 있는 거사들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행(行)이 순결하고 자기 각성을 위하여 애쓰는 비구들은 수행자의 이미지를 염려하는 마음.. 2018. 6. 26. 수계 수계식은 불자들이 오계(五戒)를 받고 속명이 아닌 부처님의 제자로서의 새로운 불명을 받는 의식입니다. 불명은 부처님의 제자가 되면서 받은 불교이름입니다. 여법한 불제자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동시에 부처님 뜻에 어긋나지 않게 살아가는 불자가 되겠다는 다짐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이미 불명을 받으신 신도께서는 연비의식을 받을 수 있습니다. 卍-오계 [불살생계] -卍 불교에서는 모든 중생 (衆生 : 생명을 가진 모든 것)들은 나름대로 모두가 부처가 될 수 있는 성질, 즉 불성 (佛性)을 지니고 있다고 합니다. 이를 ' 실유불성 (悉有佛性)이라고 하는데 이는 모든 생명을 가진 존재들이 자신의 가능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자질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그러한 본질은 다른 힘에 의해 구속되거나 속박 당하지 않는 자유성을 지니.. 2018. 6. 26. 생전예수재의 의미 생전에 극락왕생 공덕 쌓는 의식 49재나 수륙재가 죽은 자의 명복을 빌고 영가가 극락왕생할 수 있도록 기원하는 의식인데 비해 예수재는 살아있는 동안 공덕을 미리 닦아 죽은 후에 지옥 등 고통 세계에 떨어지지 않고 극락왕생하도록 기원하는 의식이다. 예수 신앙의 교학적 근거는 지장 신앙에서 찾을 수 있다.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 [이익존망품(利益存亡品)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살아 있을 때에 착한 인연을 닦지 않고 여러 가지 죄만 많이 지은 사람은 죽은 뒤에 대소 권속들이 그를 위해 온갖 거룩한 일을 닦아 복되게 하더라도 그 공덕의 7분의 1만 망인이 얻고 나머지 공덕은 산 사람의 받게 된다. 그러하므로 미래와 현재의 선남, 선녀들은 이 말을 잘 듣고 스스로 닦아야(自修) 그 공덕을 모두.. 2018. 6. 26. 부처님 오신 날 음력 4월 8일은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이 땅에 오신 날로 예로부터 부처님께서 탄생하신 날이라는 '불탄일, 부처님의 입상에 물을 부어서 목욕시켜 드리는 풍습에서 유래한 '욕불일' 또는 절에 잘 나가지 않던 사람들도 일 년에 한 번 부처님을 뵈러 간다는 '관불절' , 석가모니 부처님의 탄생일이라 하여 '석존일'이라는 여러 명칭이 있습니다. 4월 초파일은 그냥 짧게 '초파일' 또는 '파일'이라고도 하였는데, 근래에 와서는 '부처님 오신 날' 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탄생하신 이날을 기념하여 각 사찰마다 갖가지 행사를 베풀기 때문에 불교계 최대의 명절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 불자들은 매년 부처님 오신 날에 등불을 밝힙니다. 부처님께서 이 땅에 태어나신 경사스러운 날 너도나도 등불을 밝히는.. 2018. 6. 26. 동자승의 모습을... 2018. 6. 26. 제행무상(諸行無常) 제행무상(諸行無常).mp3 卍-제행무상(諸行無常)-卍 세상의 모든 것이 다 변한다는 뜻이다. 그 어떤 것도 이 세상에서 단 한 순간의 머무름도 없이 변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제행, 곧 생멸(生滅)변화하는 모든 현상은 정신이나 물질 그 어느 것을 막론하고 변화한다는 원리이다. 어느 것 하나.. 2018. 6. 26. 서광사 법당 삼존불 2018. 6. 26. 서광사 법당에서 2018. 6. 26. 이전 1 ··· 130 131 132 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