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垢) -구과(九果)
구(垢) : 번뇌의 별명. 번뇌는 부정(不淨)하여 마음을 더럽히는 때나 먼지와 같다는 뜻. 탐(貪), 진(瞋), 치(癡), 3독(毒)은 3구(垢)라고도 함. 구겁(久劫) : 수천억 겁의 오랜 시간을 말합니다 구결(九結) : 아홉 가지의 속박(束縛), 즉 번뇌. 중생을 구속하여 고뇌를 떨치지 못하게 방해하는 것들, 애(愛), 에( ), 만(慢), 무명(無明), 견(見), 취(取), 의(疑), 질(嫉), 간( ) 등. 구경(究竟) : 지극히 높은 경지. 모든 법의 실상(實相)을 가리킴. 지고(至高)의 목적이나 진리 등을 수식하는 말로 쓰임 구경각(究竟覺) : 3각(覺), 4각(覺), 5각(覺) 중의 하나. 무명(無明)의 번뇌를 완전히 없애고 본각(本覺)의 이치를 체득한 경지. 구경도(究竟道) : 지극히 높은..
2018. 7. 7.
구식(九識)-구의(九儀)
구식(九識) : 유식설에서 주장하는 8식, 즉 안식(眼識), 이식(耳識), 비식(鼻識), 설식(舌識), 신식(身識), 의식(意識), 말나식(末那識), 아뢰야식(阿賴耶識) 등에 아마라식(阿摩羅識)을 더한 것. 진제(眞諦)를 비롯한 구역가들이 9식설을 내세우는 반면, 현장을 비롯한 신역가들은 8식설을 내세운다. 8식설에 따르면 아마라식은 알라야식의 일면에 불과하다. 구십팔사(九十八使) : 번뇌는 마음을 부리고 어떤 일을 시키는 주체가 되므로 사(使)라고 함. 구십팔수면(九十八隨眠) : 98종의 수면, 즉 번뇌. 3계(界)의 견혹(見惑)은 88종이 있으며, 사혹(思惑)은 10종이 있다. 견혹과 사혹의 총합이 곧 98수면이다. 구야니(瞿耶尼) : 불교의 세계관에서 설하는 사대주(四大洲)의 하나. 이 나라에서는 ..
2018. 7. 7.
구천(九天)-궁자(窮子)
구천(九天) : 온 하늘. 대지를 중심으로 월천, 수성천, 금성천, 일륜천, 화성천, 목성천, 토성천, 항성천, 종동천 등을 말 함. 구편지(九遍知) : 편지(遍知)에는 지(智) 편지와 단(斷) 편지, 2종이 있는데, 그 중 지 편지를 9종으로 나눈 것을 가리킴. 욕계견고집단결진박지(欲界見苦集斷結盡縛知), 상이계견고집단결진편지(上二界見苦集斷結盡遍知), 욕계견멸단결진편지(欲界見滅斷結盡遍知), 상이계견멸단결진편지(上二界見滅斷結盡遍知), 욕계견도단결진편지(欲界見道斷結盡遍知), 상이계견도단결진편지(上二界見道斷結盡遍知), 오순하분결진편지(五順下分結盡遍知), 색애결진편지(色愛結盡遍知), 일체결진편지(一切結盡遍知). 구품중생(九品衆生) : 아홉 가지 부류로 중생을 나눈 것. 서방 극락 세계에 왕생할 중생들의 수행 단..
2018. 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