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법과 동행을/💕불교용어실

바차부(婆蹉部)-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密多心經)

by 혜명(해인)스님 2018. 7. 6.

바차부(婆蹉部) : 바차는 밧시푸트리야의 음역. 소승 20부파 중의 하나. 불멸 후 300년경에 설일체유부에서 분파되었음.

박구라(薄拘羅) : 나한의 이름이며 번역하여 선용 혹은 위형이라 한다. 법화문구2에「박구라는 번역하여 선용 혹은 위형(중략) 용모가 단정하므로 선용이라 한다」하였다.

반가사유상(半跏思惟像) : 불상 중 앉은상의 한 형식. 한쪽 다리를 다른 다리 무릎 위에 올리고 앉아서 오른손으로 가볍게 턱을 괴고 깊게 사색하는 모습을 한 불상. 주로 미륵보살 상과 여의륜관 음 등에 많이 나타남.

반다로가법(般茶盧伽法) : 10통율 31제를 반다로가법 흑은 고체갈마법이라 한다. 반다와 노가라는 두 비구가 다른 사람과 다투기를 좋아하기 때문에 부처님이 가책갈마법을 제정하였다.

반야(般若) : 법의 이치에 맞는 최상의 지혜입니다. 반야를 얻은 이는 부처님이므로 반야는 모든 부처님의 스승, 도는 어머니라 일컬으며, 또 이는 법의 여실한 이체에 계합한 절대 평등의 무념무상이며, 중생을 교화하는 힘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색입니다

반야(般若) : 프라갸의 음역. ①지혜(智慧)를 뜻함. 모든 미혹(迷惑)을 끊고 진정한 깨달음을 얻는 힘을 가리키며, 모든 법을 통달하여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마음의 작용을 말한다. 반야는 모든 번뇌를 끊어 없애고 깨달음을 얻는 데 가장 중요한 덕목이며, 그 예리함과 날카로움 때문에 반야검(般若劍)이라고 하거나, 번뇌를 모두 태워 없애는 것이 마치 불과 같다고 하여 반야화(般若火)라고도 한다.

ⓟ ⓢPraj ⓣ ⓔ/ 사람 이름. 북인도의 가필시국(迦畢試國) 출신. 성은 교답마(喬答摩). 정확한 생존 연대는 알 수 없음. 어린 시절에 출가하여, 중인도의 나란다사(那蘭陀寺)에서 수학하였으며, 모든 방면에 정통한 학승으로서 이름을 떨쳤다. 48세 되던 해인 781년에는 중국 광주(廣州)를 거쳐서 장안(長安)에 들어가 서명사(西明寺)에 머물면서 여러 경전들을 번역하였다. 총 7부 71권의 번역본이 남아 전한다.

반야경(般若經) : 반야바라밀다경. 대승 경전들 중에서 반야바라밀의 체득을 최고의 목표로 강조하여 설하는 경전들의 총칭. 보살의 실천으로서 6바라밀은 반야바라밀을 기본으로 한다는 생각을 기반으로 하여, 보살의 수행은 특히 삼매의 달성을 목표로 삼아 일체의 것은 *공(空)이라고 직관해야 할 것, 또는 거기서 완전한 지혜가 획득된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아울러 경전 자체의 독송에 중점을 두는 동시에 경전 숭배를 권장하기도 한다. 이것에 속하는 경전으로서 한역(漢譯)된 것만도 42종에 이르며, 다양한 산스크리트 원전과 티베트 번역본이 있다. 이것은 계통을 달리하는 10종 이상의 경전군을 형성한다. 현장(玄 ) 번역의 대반야바라밀다경은 이 같은 여러 계통의 반야경들을 모아 놓은 웅대한 경전군이다.

반야다라(般若多羅) : 동인도 출신의 비구 이름. 인도 선종의 제26대 조사인 *불여밀다(不如蜜多)로부터 선법(禪法)을 전수받았고, 선종의 제27대 조사가 되었다. 제28대 조사인 보리달마에게 선법을 전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야바라밀다(般若波羅蜜多) : 반야바라밀. 다른 음역으로는 반라야바라밀(般羅若波羅蜜), 의역하여 혜도피안(慧到彼岸), 지도(智度), 지도무극(智度無極), 명도(明度), 명도무극(明度無極). 혜(慧)바라밀, 지혜(智慧)바라밀이라고도 한다.

6바라밀다 또는 *10바라밀다의 하나로서 완전한 지혜, 지혜의 완성. 반야라는 지혜로써 생사의 바다를 건너 열반이라는 피안에 도달하므로 반야바라밀이라고 한다. 반야경에서는 부처의 깨달음을 구하는 동시에 중생의 구제를 서원(誓願)하는 보살의 수행 덕목인 6바라밀다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

이것의 실천은 중생에 대한 무한하고 사심(私心)이 없는 자비심의 작용으로 바뀐다. 반야경에서 이것의 특징은 어떠한 것에도 집착하지 않는 것이므로, 공관(空觀)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密多心經) : <반야심경>,<심경> 이라 약칭합니다. 5온(온(蘊), 3과(科), 12인연, 사체(四諦)의 법을 들어 온겆 법이 모두 공하다는 이치를 기록하고, 보살이 이 이치를 관(觀)할 때는 일체 고액ㅇ르 면하고, 열번을 구경하여 아뇩다라삼먁 삼보리를 중득한다고 말하고, 이것을 요약하여 아제아제 등의 대신주를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