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198 연지대사의 방생문放生文 연지대사의 방생문放生文. 수후隨後는 뱀을 구해주고 천금의 구슬을 얻었고, 장제형張提形은 많은 방생의 음덕으로 천계天界에 왕생하였고, 물고기를 놓아준 이경문李景文은 몸에 생긴 단독을 풀었으며, 孫良嗣는 새들을 방생하여 그들의 도움으로 무덤이 생겼으며, 潘縣令은 호수의 조업을 금하여 물고기들의 전송을 받았으며, 신대사信大師는 방생하여 가뭄에 단비를 내리게 할 수 있었다. 육조 혜능慧能대사는 방생하여 그의 도道를 전국에 전파시킬 수 있었다. 참새는 보배 옥환玉環으로 은혜에 보답했고, 신통한 선호仙狐는 함정에서 은인을 구했다. 지네는 스님의 강경講經을 듣는 것으로 보은하였으며, 두렁허리들은 목숨을 구하기 위해 노란 옷차림의 사람으로 현몽現夢하였다. 이상 모든 고사故事는 베풀면 반드시 보은을 받는다는 사례이다. .. 2020. 7. 30. 연지대사의 방생문放生文 연지대사의 방생문放生文 2020. 7. 30. 진정한 대효, 2 진정한 대효, 2. 명호를 집지하는 게 바로 많은 선근과 많은 복덕이다 우리가 이승에서 염불할 때 마치 평범하여 특별한 게 전혀 없는 것 같습니다. 우리 몸에 방광을 하는 것도 안 보이고, 또 아미타불께서 허공에 몸을 나투시는 것도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저승에서 염불하면 다릅니다. 저승에서 염불을 하면 불력이 나타나서 저승에 있는 사람들이 한 번 들었다거나 한번 염불을 하였다면 바로 용모가 바뀌게 되요. 왜냐하면 일반인들의 복덕과 지혜가 모두 부족하여 염불을 하면 복덕과 지혜를 증장시킬 수 있기 때문인데, 특히 저승에서 염불하면 용모가 즉각 바뀌게 됩니다. 이것은 당연히 아미타불의 자비로써 공덕을 이 명호 속에다 쌓아놓았기 때문인데, 만약에 우리가 일생동안 자신의 수행으로써 갖가지 착한 일을 하여 공.. 2020. 7. 29. 진정한 대효, 1 진정한 대효, 1. 혜정법사 법문 정수淨修법사님· 홍洪거사님· 가족 여러분: 나무아미타불! 오늘 여러분들이 법당에서 염불하는 모습을 보니 대부분 아주 경건하고 정성스럽고, 아주 집중이 잘 되는 것 같았습니다. 여러분들이 하신 염불은 아미타불께서 전부 아셨습니다. 동시에 이 모든 게 전부 여러분들이 자신의 가족들을 천도시키고자 하는 기대에 도달하였습니다. 불교의 관점에서 효도를 바라보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효도’를 불교의 관점에서 바라보면, 세 가지 등급으로 나눌 수 있을 겁니다. 첫 번째 등급은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부모와 조상에 대해 효도하고 봉양하는 의무를 다하여 부모로 하여금 일생생활에 있어서 의식에 대한 근심걱정이 없고, 동시에 부모님의 뜻을 따르면서 그분들을 거역하지 않으며, 부모에 대한 사랑하.. 2020. 7. 29. 진정한 대효, 1 진정한 대효, 1 2020. 7. 29. 진정한 대효, 2 진정한 대효, 2 2020. 7. 29. 부모님을 제대로 섬겨야 도(道)를 얻는다 부모님을 제대로 섬겨야 도(道)를 얻는다. 선생경(善生經)’에는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것은 무엇이고, 불행한 것은 무엇인가. 어버이가 살아계실 때가 가장 행복하고 부모가 돌아가실 때가 가장 불행하다. 부모님이 계실 때는 한낮과 같다면 부모가 안 계실 때는 캄캄한 밤과 같다. 부모가 계실 때는 모든 것이 완벽하지만 부모가 안 계실 때는 무엇인가 허전하다. 저는 출가를 했고, 저의 부모님은 모두 돌아가셨습니다. 이맘때만 되면 무엇인가 가슴이 막 미어져 옵니다. 왜 그럴까요. 이 시기는 어머니의 제사가 돌아오기 때문입니다. 여기 모든 대중 가운데도 부모가 계신 분도 있고 안 계신 분도 있으실 겁니다. 안 계신 분께서는 저와 같은 심정을 느끼실 겁니다.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에는, .. 2020. 7. 28. 부모님을 제대로 섬겨야 도(道)를 얻는다 부모님을 제대로 섬겨야 도(道)를 얻는다 2020. 7. 28. 卍-영천 서광사 불기(彿紀)2564 (서기2020) 경자(庚子)年 8월 행사 일정표 불, 법, 승 - 자비하시고 거룩하신 삼보님 전에 귀의 하옵고……." 관음기도 도량 영천 "서광사"와 인연됨을 소중히 생각 합니다. 부처님 가피력이 불자님 가정에 언제나 함께 동행 하길 두 손 모읍니다.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나무구고구난 관세음보살.()()(). 2020. 7. 28. 어머니의 10가지 덕(德) 어머니의 10가지 덕(德) 2020. 7. 24. 임종(臨終) 임종(臨終). 사람이면 누구나 이 세상에서 한 번은 반드시 죽음을 맞이해야 한다. 살아있는 사람은 반드시 죽음이 있을 것을 믿고 있어야한다. 부처님도 돌아가셨고 어떤 성인, 현인, 범부를 막론하고 영원히 사는 이는 없다. 그러므로 인간이면 누구에게나 임종의 순간이 있다. 죽을 때가 되면 죽어야 되는데 더 살고 싶어 한다거나 안 죽으려고 바동거려도 아무 소용이 없다. 기실 죽어야 할 바엔 그대로 조용히 따라가야 한다. 특히 서방정토에 왕생하려고 평소에 염불수행을 한 사람이면 죽음을 두려워하지 말고 살기를 탐하지도 않으면서 스스로 이렇게 생각해야 한다. ‘나의 이 현재 몸은 고통이 많고 깨끗하지 못하며 악업으로 갖가지에 얽혀 있으니, 이 더러운 몸을 버리면 곧 정토에 왕생한다. 저 속에서 한량없는 즐거움을 .. 2020. 7. 23. 임종(臨終) 임종(臨終) 2020. 7. 23. 맺힌 업(業)은 풀어야 한다. 맺힌 업(業)은 풀어야 한다. 【상담 의견】 40대 초반의 주부였는데 너무도 이기적인 남편에게 시달리다가 이혼을 결심하고 저에게 상담을 했답니다. 선풍기를 틀어도 자기 쪽으로만 돌리고, 텔레비전 프로도 자기위주로만 보고 꺼 버리는가 하면 대학출신이지만 책은 전혀 읽지 않고, 몸에 좋다는 것은 어떻게든 구해 이것저것 가리지 않고 혼자서 야금야금 먹어대는 남편이 문제였습니다. 이런 사람과 아이를 셋이나 낳고 기르면서 힘들게 살았음은 물론이고 그간 자신의 삶은 전혀 제대로 챙기지 못했다는 것을 뒤늦게 알아차렸던 겁니다. 그래서 이혼을 결심하게 됐다는 것이었습니다. 【법정 스님】 ‘식사준비를 할 때 이 얄미운 녀석한테 밥 준다고 생각하지 말고 부처님께 공양을 올린다는 마음가짐으로 해 보십시오. 차를 만들 때도 .. 2020. 7. 22.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은 어떤 상태인지요?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은 어떤 상태인지요? 비유를 들어서 말하겠습니다. 어떤 사람이 잠을 자면서 꿈을 꾸는데 강도가 쫓아옵니다. 칼을 휘두르며 돈 내놓으라고 달려드니 두려워서 도망을 칩니다. 그런데 아무리 도망을 가도 계속 따라옵니다. 돌아보면 뒤에 있고, 또 도망치다가 돌아보면 바로 뒤에 있고. 도저히 벗어날 길이 없어 관세음보살을 간절하게 부릅니다. 살려달라고 그랬더니 보살님이 숨겨줘서 살아나고. '아휴 살았다.' 한 숨 돌립니다. 강도를 만나 아무리 피해도 따라온다. 이게 우리네 세상살이입니다. 자식문제 해결하면 돈 문제, 돈 문제 해결하면 부모문제, 부모문제 해결하면 또 무슨 문제. 길거리에 두더지 게임처럼. 이거 때리면 저거 튀어나오고, 그거 때리면 또 다른 게 튀어나오고. 빨리 때리면 빨리 튀.. 2020. 7. 22.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은 어떤 상태인지요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은 어떤 상태인지요? 2020. 7. 22. 묘법연화경 (1) 묘법연화경 (1) 2020. 7. 21. 천수경 강의 18, 19 천수경 강의 18, 19 2020. 7. 20. 묘법연화경 (2) 묘법연화경 (2) 2020. 7. 20. 화엄경-제 34장 입법계품(入法界品)-하 화엄경-제 34장 입법계품(入法界品)-하 2020. 7. 20. 약사유리광 七불본원공덕경 2 약사유리광 七불본원공덕경 2 2020. 7. 20. 약사유리광七불본원공덕경 1 약사유리광七불본원공덕경 1 2020. 7. 17. 천수경 강의 22 천수경 강의 22 2020. 7. 17. 약사유리광七불본원공덕경 약사유리광七불본원공덕경 2020. 7. 17. 잡보장경(雜寶藏經) 제6권 잡보장경(雜寶藏經) 제6권 2020. 7. 17. 모든 것은 마음에 따라 이루어진다. 모든 것은 마음에 따라 이루어진다. 모든 것은 마음에 따라 이루어진다. 사악한 마음으로 말을 하거나 행동을 하면 괴로움은 그 사람을 따라다닌다. 반대로 깨끗한 마음으로 말을 하거나 행동을 한다면 행복과 보람이 그 사람을 따라다닐 것이다. 마음이 기본이 되어 말과 행동을 만들어 내고, 그것은 그대로 업(業)이 되어 내 삶을 만들어간다. 어떤 마음[意業]가짐을 가졌는가, 어떤 말[口業]을 하였는가, 어떤 행동[身業]을 하였는가, 이 세 가지 행위가 업[三業]이고, 업이란 반드시 현실에서 결과를 가져온다. 나의 미래를 알고자 한다면 그동안의 마음과 말과 행동을 비추어 보면 된다. 말과 행동은 마음 곧 생각이라는 의업이 기본이 되어 나타나니 모든 업의 시작이 바로 의업이다. 의업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바로 탐 .. 2020. 7. 17. 법장 비구의 四十八원 법장 비구의 四十八원 2020. 7. 16. 잡보장경(雜寶藏經) 제7권 잡보장경(雜寶藏經) 제7권 2020. 7. 16. 열반경 (9) 열반경 (9) 2020. 7. 16. 열반경 (8) 열반경 (8) 2020. 7. 16. 열반경 (6) 열반경 (6) 2020. 7. 15. 이전 1 ··· 35 36 37 38 39 40 41 ··· 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