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198 열반경 (5) 열반경 (5) 2020. 7. 15. 열반경 (4) 열반경 (4) 2020. 7. 15. 열반경 (3) 열반경 (3) 2020. 7. 15. 열반경 (2) 열반경 (2) 2020. 7. 15. 열반경 (1) 열반경 (1) 2020. 7. 14. 열반경 (7) 열반경 (7) 2020. 7. 14. 원각경 (3) 원각경 (3) 2020. 7. 14. 원각경 (2) 원각경 (2) 2020. 7. 14. 원각경 (1) 원각경 (1) 2020. 7. 14. 묘법연화경-제4장믿음(信解品) 묘법연화경-제4장믿음(信解品) 2020. 7. 13. 화엄경-제 22장 십지품(十地品) 화엄경-제 22장 십지품(十地品) 2020. 7. 13. 천수경 10 천수경 10 2020. 7. 13. 잡보장경(雜寶藏經) 제5권 잡보장경(雜寶藏經) 제5권 2020. 7. 13. 능엄경의 바른 이해-2. 五十魔를 말하다. 5) 行陰의 魔 능엄경의 바른 이해-2. 五十魔를 말하다. 5) 行陰의 魔 2020. 7. 12. 능엄경의 바른 이해-2. 五十魔를 말하다. 4) 想陰의 魔 능엄경의 바른 이해-2. 五十魔를 말하다. 4) 想陰의 魔 2020. 7. 11. 능엄경의 바른 이해-2. 五十魔를 말하다. 3) 受陰의 魔 능엄경의 바른 이해-2. 五十魔를 말하다. 3) 受陰의 魔 2020. 7. 10.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 2020. 7. 10. 대방광불화엄경- 제 22 장 십지품(十地品) 대방광불화엄경- 제 22 장 십지품(十地品) 2020. 7. 10. 미륵상생경(彌勒上生經) 미륵상생경(彌勒上生經) 2020. 7. 9. 불설관미륵보살상생도솔타천경 불설관미륵보살상생도솔타천경 2020. 7. 9. 미륵하생경(彌勒下生經) 미륵하생경(彌勒下生經) 2020. 7. 8. 불설관미륵보살하생경(佛說觀彌勒普薩下生經) 불설관미륵보살하생경(佛說觀彌勒普薩下生經) 2020. 7. 8. 불설연명지장보살경(佛說延命地藏菩薩經) 《불설연명지장보살경(佛說延命地藏菩薩經)》 불공삼장 봉조 역(不空三藏 奉詔 譯) 如是我聞 一時 佛 在 稿羅陀山(여시아문 일시 불 재 구라다산) 이와 같이 내가 들었다. 한 때에 부처님께서 구라다산에 계실 때 與大比丘衆 萬二千人俱 菩薩 三萬六千人俱(여대비구중 만이천인구 보살 삼만육천인구) 큰 비구대중 일만이천인과 보살 삼만육천인과 一切諸天及龍 夜叉 人 非人等 金輪 銀輪 諸輪王等 從十方來 (일체제천급용 야차 인 비인등 금륜 은륜 제륜왕등 종시방래) 더불어 모든 하늘 사람과 용, 야차, 사람과 사람 아닌 이들과 금륜, 은륜의 모든 륜왕들이 시방세계로부터 모여들었다. 爾時世尊 說是大乘 無依行已 時有帝釋 名無垢生 (이시세존 설시대승 무의행이 시유제석 명무구생) 이때 세존께서 대승의 무의행에 대해 설하셨다. 이때에 .. 2020. 7. 8. 불설연명지장보살경(佛說延命地藏菩薩經) 불설연명지장보살경(佛說延命地藏菩薩經) 2020. 7. 8. 능엄경의 바른 이해-2. 五十魔를 말하다. 6) 識陰의 魔 능엄경의 바른 이해-2. 五十魔를 말하다. 6) 識陰의 魔 2020. 7. 8. 능엄경의 바른 이해-넷째. 初心者의 緊要한 일. 1. 七趣를 말하다.2) 地獄 능엄경의 바른 이해-넷째. 初心者의 緊要한 일. 1. 七趣를 말하다.2) 地獄 2020. 7. 7. 법화경 제16.여래수량품(如來壽量品) 법화경 제16.여래수량품(如來壽量品) 그 때 부처님께서 여러 보살들과 모든 대중들에게 말씀하셨습니다. "여러 선남자들이여, 그대들은 여래(부처님)의 진실하고 참된 말을 마땅히 믿고 이해하라." 또 대중들에게 말씀하셨습니다. "그대들은 여래의 진실하고 참된 말을 마땅히 믿고 이해하라." 또 다시 대중들에게 말씀하셨습니다. "그대들은 여래의 진실하고 참된 말을 마땅히 믿고 이해하라." 이 때에 보살 대중 가운데 미륵보살이 상수(上首)가 되어 합장하고 부처님께 말씀드렸습니다. "세존이시여, 원컨대 말씀하여 주십시오. 마땅히 부처님의 말씀을 믿겠습니다." 이렇게 세 번을 말씀드리고 다시 말하였습니다. "원컨대 말씀하여 주십시오. 저희들이 마땅히 부처님의 말씀을 믿겠습니다." 이 때 세존께서 보살들이 세 번이나 .. 2020. 7. 7. 법화경 제16.여래수량품(如來壽量品) 법화경 제16.여래수량품(如來壽量品) 2020. 7. 7. 금강경 금강경 나는 이와 같이 들었노라.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舍衛國)에 있는 기수급고독원(紙樹給孤獨園)에서 큰 비구(比丘)들 1250명과 함께 계셨다. 그 때 세존(世存)께서 식사 때(食時)가 되자 가사(架娑)를 수하시고(입으시고) 바리때(발우)를 가지시고 사위성(舍衛城)으로 들어가시어, 그 성(城) 안에서 밥을 비실(乞食)적에 차례로 빌어, 빌기를 마치시고는 본래 계시던 곳(거처)으로 돌아오셔서 진지를 잡수시고 나서 가사와 바리때를 거두시고, 발을 씻으시고는 자리를 펴고 앉으셨다. 이 때 장로(長老) 수보리(須菩提)가 대중 가운데 있다가 일어나서 옷을 벗어 오른 어깨에 벗어 매고 오른 무릎을 땅에 꿇고 합장(合掌)하고 공경하며 부처님께 사뢰었다. 『희유(稀有)하십니다. 세존(世存)이시여, 여래(如來)께.. 2020. 7. 6. 금강경 금강경 2020. 7. 6.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 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