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심경 역사적 배경, 전체 불교 경전에서의 위치
🙏반야심경 역사적 배경, 전체 불교 경전에서의 위치부처님 말씀을 기록한 것을 수트라(sūtra), 경전이라고 합니다. 불교 경전에는 크게 소승 경전과 대승 경전이 있습니다. 소승 경전을 ‘아함부’라고 부릅니다. 대승 경전은 그 양이 많아서 반야부 계통의 경전과 법화‧열반부 계통의 경전, 화엄부 계통의 경전을 제외하고 나머지 소소한 대승 경전을 전부 합해서 방등부라고 부릅니다. 즉, 대승 경전은 방등부, 반야부, 법화‧열반부, 화엄부 이렇게 4부로 나누어집니다. 소승 경전인 아함부는 다시 네 가지로 나누어집니다. 중아함(中阿含), 장아함(長阿含), 증일아함(增一阿含), 잡아함(雜阿含)이 그것입니다. 아함부 경전은 팔리어로 되어 있습니다. 팔리어로 된 경전을 ‘니까야(Nikāya)’라고 합니다. 한글로 번..
2025. 5. 18.
🙏부처님의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과 즉문즉설
🙏부처님의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과 즉문즉설 부처님이 이 세상에 출현한 까닭은,'큰일을 하나 하기 위한 인연'으로 사바세계에 오셨습니다.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이라고 하는데 그 까닭은 4가지입니다. 첫째, 부처님의 지견(知見)을 열어(開) 청정하게 하려고 세상에 출현하며,둘째, 중생들에게 부처님의 지견을 보이려고(示) 하는 까닭에 세상에 출현하며,셋째, 중생들로 하여금 부처님의 지견을 깨닫게(悟) 하려는 까닭에 세상에 출현하며,넷째, 중생들이 부처님의 지견의 도(道)에 들어오게(入) 하려는 까닭에 세상에 출현합니다. 진리를 열고, 보이게 하고, 깨닫게 하고, 도를 들어오게 한다고 해서 개시오입(開示悟入)이라고 합니다.그리고 이렇게 말씀하십니다.‘이 법에는 부처 되는 길만 있다.성문의 길을 가서 아라한이 ..
2025.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