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법과 동행을/💕불교자료실

'제사'와 '재’의 차이

by 이初心 2023. 1. 21.



    '제사'와 '재’의 차이

    평소부터 그 덕(德)을 우러러 섬기던 노스님에게 어떤 신도가 재(齋)를 지내 달라고 돈 백만 원(1925년 쌀 한 가마 24원)을 갖다 드렸다. 노스님은 시자를 데리고 재를 지내기 위해 미리 장을 보러 가는데 아랫마을 사는 한 여인이 길가에 나와 앉아 두 다리를 뻗고 통곡을 하는 장면을 목격하게 되었다. 노스님은 무슨 사연으로 통곡을 하는지 물어보았다.

    그러자 여인은 자기 남편이 오랜 병고로 인해 빚진 돈 때문에 살던 집을 그 날로 비워주지 않을 수 없게 되어 그런다는 것이었다. 노스님은 그 여인의 딱한 사정을 듣고 장을 보기 위해 가지고 가던 돈을 여인에게 빚을 갚으라고 죄다 건네주고는 발길을 돌려 절로 되돌아왔다.

    이런 사실을 알게 된 원주는 무엇으로 재를 지낼 것이냐고 펄펄 뛰었다.
    노스님은 그 어떤 변명도 하지 않은 채 말이 없으셨다.
    그 이튿날 재를 지내기 위해 절에 올라온 재자(齋者)들은 노스님께 인사를 드리러 갔다. 노스님은 그들을 반가이 맞으면서 이렇게 말씀하셨다.

    “재는 하루 앞당겨 어제 아주 잘 지냈다.”

    뜻밖의 말을 들은 재자들은 무슨 영문인지를 몰라 어리둥절했다.
    노스님으로부터 자세한 사정을 들은 재주(齋主)는 트인 사람이었던지 노스님께 감사하면서 공양비로 적잖은 돈을 내놓고 내려갔다. 전설처럼 들리는 이 이야기는 그리 오래된 옛일이 아닌 혜월(慧月) 스님 회상에서 실제로 있었던 일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진정한 재의 뜻이 무엇인가를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재는 죄를 참회하는 일이고, 몸과 말과 생각으로 하는 삼업(三業)의 행위를 삼가하여 밝히는 일이다. 대중이 정오에 한자리에 모여 회식하는 일을 재식(齋食)이라고 한다.

    흔히 우리들은 49재나 백재를 이야기할 때 불전(佛殿)에 재단을 마련, 음식을 가득히 차려놓고 목탁과 요령 소리를 내면서 일반인들로서는 알아들을 수도 없는 주문이나 법식을 장황하게 늘어놓는 의식을 연상한다. 이런 의식만을 재로 알고 있는 사람들은 승속(僧俗)을 가릴 것 없이 그 노스님이 불행한 여인에게 베푼 재를 이해하기란 어려울 것이다.

    어느 절이라고 지목할 것도 없이 좀 큰 재가 들어오면 (물론 돈을 많이 냈다는 표현이기도 하다.) 온 절 안이 소란을 떨면서 장시간을 똑딱거리고 흔들어대는 바람에 번번이 정해진 공양 시간을 어기는 수가 비일비재다.

    그러나 이런 재를 가리켜 법답게 지낸 재라고는 할 수 없다.
    재자에 대한 과잉 서비스가 아니면 돈의 무게만큼 공연하는 푸닥거리와 다를 게 뭐란 말인가. 다 같이 반성해볼 일이다. 그리고 흔히 절에서는 제사(祭祀)와 재(齋)를 혼동하고 있는 것 같다. 제사는 더 말할 것도 없이 유교에서 조상의 신령에게 음식을 바쳐 정성을 들이는 예절이다.

    그러나 재는 앞에서도 말했듯이 몸과 말과 생각을 맑히는 일이고, 정해진 시각에 대중이 한자리에 모여 공양하는 일이다. 이 재는 부처님 생존시 부터 전해 내려오는 교단의 중요한 행사이기도 하다.

    청정한 수행자들이 모여 사는 정진 도량에서는 그런 일이 거의 없지만, 너절하게 지내는 정체불명의 사이비 절에서는 재를 지낸답시고 밤새도록 법석을 떨면서, 심지어 춤(소위 승무라는 것)까지 추어 가면서 지루하고 장황한 푸닥거리를 하고 있는 걸 보면 한심스럽기 그지없다. 불교의 이름 아래 저질러지는 이런 비법 (非法)에 뜻있는 사람들은 속지 말아야 한다. 돌아가신 분을 위해 베푸는 천도재일수록 부처님의 바른 가르침으로써 법답게 진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살아 있는 재자들도 무슨 소리인지 알아들을 수 있는 말로 행해져야 한다.

    부처님이 열반에 들려고 할 때 시자인 아난존자는 부처님의 사후 유해에 대해서 어떻게 했으면 좋으냐고 물었다.

    이때 부처님의 대답은 이렇다.
    “너희들 출가 수행승은 여래의 장례 같은 일에는 상관하지 마라. 너희들은 해탈을 위해 정진하고 실천하고 게으르지 말고 전념하라. 여래의 장례는 독실한 재가 신자들이 알아서 치러줄 것이다.”

    출가 수행자는 비록 부처님의 경우라 할지라도 장례 같은 일에 상관하지 말라는 가르침이다. 그런데 오늘 우리들은 무슨 일을 하고 있는가?

    -법정(法頂) 스님 ‘물소리 바람 소리’-
    출처: 항상일로님의 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