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법과 동행을/💕불교자료실1293

057 사원 건물의 단청과 벽화 등에는 어떤 의미가 있나 卍-057 사원 건물의 단청과 벽화 등에는 어떤 의미가 있나-卍 감상의 대상이 아니라 신앙의 대상으로서 혹은 교화적 의미를 갖는 내용을 그리는 실용화로 불화(佛畵)가 있습니다. 불화는 그 재료 및 기능에 따라 흙, 나무, 돌 등에 천정화나 벽화를, 종이나 베 등에 탱화나 경화 등을 그리게.. 2018. 7. 8.
056 사물이란? 卍-056 사물이란?-卍 사물(四物)이란 범종(梵鍾), 법고(法鼓), 운판(雲版) 그리고 목탁이라고도 하는 목어(木魚)를 말합니다. 범종이란 큰 종을 말하는데 순수한 우리말로는 인경이라고 합니다. 본래 이 종은 중국에서 들어왔는데 중국의 종과 인도의 건추(健추)를 본받아 만든 것입니다. 사.. 2018. 7. 8.
055 비로자나 부처님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셔야 하나 卍-055 비로자나 부처님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셔야 하나-卍 비로자나 부처님(毘盧蔗那佛)은 달리 비로사나불(毘盧舍那佛)이라고도 쓰고 줄여서 노사나불(盧舍那佛) 또는 자나불(蔗那佛)이라고도 하는데, 비로자나란 인도의 옛말 바이로차나를 소리 나는 대로 옮긴 것으로 본래는 태양.. 2018. 7. 8.
054 불자들이 항상 간직해야 할 마음가짐과 생활태도는 卍-054 불자들이 항상 간직해야 할 마음가짐과 생활태도는-卍 불교를 삶의 지표(指標)로 삼아 보다 올바르고 보람찬 인생을 추구해가는 불자들은 과연 어떠한 마음가짐과 생활태도를 지니고 자신의 삶에 임해야 할까요. 불교는 그 자체가 모두 불자들의 올바른 삶의 방향과 태도를 일깨우.. 2018. 7. 8.
053 불자들이 일상 생활 속에서 실천해야 할 덕목은 ? 卍-053 불자들이 일상 생활 속에서 실천해야 할 덕목은 ?-卍 우리 불자들은 스스로가 보살 즉, 언젠가는 부처님이 될 존재임을 자각하고 일상생활이 그대로 수행의 터전임을 깊이 명심하여 실천 수행에 힘을 기울여야 하겠습니다만, 그때 불자들이 실천해야 할 덕목은 육바라밀(六波羅蜜).. 2018. 7. 8.
052 불자들이 건설해야 할 이상세계란 어떤 사회인가 卍-052 불자들이 건설해야 할 이상세계란 어떤 사회인가-卍 위로는 우주와 인생의 궁극적인 의미를 깨달아 스스로 완성된 삶을 성취하고 아래로는 이웃들을 부처님의 가르침으로 교화하여 정신적으로나 도덕적으로 각성된 사회를 이룩해 나가는 것이 불교의 궁극적인 목표입니다만, 특.. 2018. 7. 8.
051 불자들은 이웃에 대해 어떤 마음을 지녀야 하나 - 사무량심 卍-051 불자들은 이웃에 대해 어떤 마음을 지녀야 하나 - 사무량심-卍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기므로 저것이 생긴다는 경전의 말씀은 세상 만물이 서로가 서로를 의지해서 함께 존속해 가고 있는 연기의 이치를 설한 것으로서, 이 세상은 어느 누구도 혼자 존립할 수 없는 .. 2018. 7. 8.
050 불자들은 스스로에 대해 어떤 존재라고 여겨야 하나 卍-050 불자들은 스스로에 대해 어떤 존재라고 여겨야 하나-卍 불교인 또는 불제자를 가리키는 불자(佛子)라는 말은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부처님의 자식이라는 뜻입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으로 말미암아 새롭게 태어난 이를 의미하는 동시에 언젠가는 부처님의 대를 이어 스스로 부처님.. 2018. 7. 7.
049 불이문 혹은 해탈문은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있나 卍-049 불이문 혹은 해탈문은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있나-卍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사찰들에는 여러 가지 크고 작은 문들이 수없이 건립되어 있습니다만, 그 중에서도 대문들에 해당하는 입구의 일주문과 중턱의 천왕문 및 마지막의 불이문(不二門)은 보통 입구에서부터 법당을 바라보며 .. 2018. 7. 7.
048 불상의 신체적 특징은 어디에서 유래하는 것인가 卍-048 불상의 신체적 특징은 어디에서 유래하는 것인가-卍 우리들이 아침저녁으로 예배와 공양을 올리는 불상에는 보통 사람들의 신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여러 가지 신체적 특징들이 눈에 띄는데, 이것들은 사실 부처님의 높으신 덕을 시각적으로 표현해 내고자 고심한 흔적들이라 하.. 2018. 7. 7.
047 불상의 손모양과 자세들에는 어떤 의미가 있나 卍-047 불상의 손모양과 자세들에는 어떤 의미가 있나-卍 사찰에 모셔져 있는 불상들은 특정한 손 모양을 하고 계신 경우가 많은데, 그것들은 괜한 것이 아니라 나름대로의 깊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부처님의 손모양은 흔히 인상(印相)이라 하여 그 부처님의 서원이나 공덕 .. 2018. 7. 7.
046 불상은 왜 모시며 어떤 유래가 깃들어 있나 卍-046 불상은 왜 모시며 어떤 유래가 깃들어 있나-卍 <불설대승조상공덕경>이라는 경전에 의하면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한때 천상으로 올라가 그곳에서 먼저 돌아가신 어머니를 위해 설법을 하신 적이 있었는데 그때 지상에서 우다연이라는 왕이 부처님을 그리는 마음을 견디지 못해.. 2018. 7. 7.
045 불상에 예배하는 것은 우상 숭배라는 사람이 있던데 卍-045 불상에 예배하는 것은 우상 숭배라는 사람이 있던데-卍 우리들이 불상에 예배드리는 행위가 과연 우상 숭배인가를 거론하기에 앞서 우상숭배라는 것이 무엇인가를 먼저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우상숭배란 여러 가지 모습의 신상을 세워 놓고 그것을 향해서 기도를 올.. 2018. 7. 7.
044 불교의 수행은 근본적으로 어떤 원리를 지니고 있나 ? 삼학 卍-044 불교의 수행은 근본적으로 어떤 원리를 지니고 있나 ? 삼학-卍 인간의 수많은 번뇌 가운데 마음으로 짓는 악업은 탐, 진, 치의 삼독을 가장 근원적인 것으로 보고 그것들을 소멸시켜 고요하고 평안하며 아무런 걸림이 없는 열반의 경지에 이르기 위한 방법이 불교의 수행입니다만, .. 2018. 7. 7.
043 불교의 각 종파들은 어떻게 해서 성립되었나 卍-043 불교의 각 종파들은 어떻게 해서 성립되었나-卍 본래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가 중국으로 전파된 이후 상당기간은 경전을 한역(漢譯) 즉, 한문으로 옮기는 것이 커다란 과제였고, 사실상 중국불교의 가장 큰 업적 가운데 하나는 방대한 양의 불교 경전들을 거의 남김없이 번역해 냈다.. 2018. 7. 7.
042 불교의 윤회와 업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卍-042 불교의 윤회와 업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卍 일상의 언어에서 윤회와 업은 불교를 상징하는 말처럼 사용되고 있을 정도로 보편화된 개념이다. 특히 업은 이 말이 지닌 본래의 의의가 무시된 채, 자신의 행위가 어쩔 수 없는 것인 양 합리화하는 말로서 쓰이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 2018. 7. 7.
041 불교에서는 인간의 의지에 대해 어떻게 보는가 卍-041 불교에서는 인간의 의지에 대해 어떻게 보는가-卍 불교는 그 어떤 절대자나 절대자의 계시 따위에 의존하는 여타의 다른 종교들과는 달리 오로지 교조 석가모니 부처님의 인간적인 노력에 의해 성립된 종교인만큼 인간의 의지에 대해서도 대단히 긍정적인 견해를 지니고 있습니다.. 2018. 7. 7.
040 불교에서는 이 세상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다고 보나 卍-040 불교에서는 이 세상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다고 보나-卍 세상만물은 끝없이 변해가는 것으로서 그 속에 영원불멸의 독자적인 실체를 지닌 것은 아무 것도 없다는 것이 불교의 기본 입장입니다만, 그렇다면 불교에서는 이 세상이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근본원리, 다시 말해 우주와 .. 2018. 7. 7.
039 불교에서는 우주의 시원에 대해 어떻게 설명하는가 ? 卍-039 불교에서는 우주의 시원에 대해 어떻게 설명하는가 ?-卍 대부분의 종교들은 우주의 시원으로부터 자신들의 교리를 펼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것은 세계가 어떻게 발생하였고 어떤 원리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밝힘으로써 자신들이 생각하는 인생의 궁극적인 의미와 목적을 .. 2018. 7. 7.
038 불교에서는 우리 인생의 현실을 어떻게 설명하는가 卍-038 불교에서는 우리 인생의 현실을 어떻게 설명하는가-卍 이 세상 모든 것은 덧없고 실체가 없으며 괴로울 뿐이라는 이것이 불교의 기본적인 세계관입니다만, 우리 인생의 현실에 대해서 불교는 특히 업(業)과 윤회(輪廻)로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윤회란 먼저 옛날부터 인도 사람들 사.. 2018. 7. 7.
037 불교에서는 삶의 괴로움이 어디에서 유래한다고 봅니까 ? 삼독 卍-037 불교에서는 삶의 괴로움이 어디에서 유래한다고 봅니까 ? 삼독-卍 아득히 먼 옛날부터 자신의 행위의 결과로서 태어나고 늙고 병들고 죽어가는 고통을 거듭하고 있는 우리 인생의 현실은 괴로운 것임에 틀림이 없습니다만, 그와 같은 삶의 현실은 도대체 어디에서 유래하는 것일까.. 2018. 7. 7.
036 불교에서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卍-036 불교에서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인가-卍 여타의 다른 종교들과는 달리 신이나 신의 계시 따위에 의존하지 않고 오로지 교조 석가모니 부처님의 인간적인 노력에 의해 성립된 종교인 불교는 그 추구하는바 궁극의 목적도 대단히 인간적인데 있습니다. 다시 말해 불교에서.. 2018. 7. 7.
035 불교에서 이야기하는 이상적인 경지란 어떤 상태인가 卍-035 불교에서 이야기하는 이상적인 경지란 어떤 상태인가-卍 불교는 스스로 삶의 괴로움에서 벗어나 영원한 안락을 추구하는 종교라는 뜻에서 이고득락(離苦得樂)의 가르침이라고도 하고 모든 중생들의 고통을 구제하여 즐거움을 베푸는 종교라는 뜻에서 발고여락 (拔苦與樂)의 가르.. 2018. 7. 7.
034 불교에서 이야기하는 삼신불(三身佛)이란 무엇을 의미하나 卍-034 불교에서 이야기하는 삼신불(三身佛)이란 무엇을 의미하나-卍 석가모니 부처님이 입멸하시고 나서 어느 정도 세월이 흐르자 불교계 내부에서는 부처님의 본질은 과연 무엇인가, 부처님은 무엇으로 말미암아 그토록 완성된 삶의 모습을 보이실 수 있었을까 하는 부처님에 관한 탐.. 2018. 7. 7.
033 불교에서 이야기하는 법이란 무엇을 의미하나 卍-033 불교에서 이야기하는 법이란 무엇을 의미하나-卍 불교에서의 법(法), 혹은 법보(法寶)라고 해서 진리를 부처님 및 교단과 더불어 삼보의 하나로 대단히 중요시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불교에서 이야기하는 법 즉, 진리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일까요. 불교에서 쓰는 법이란 말은 인도.. 2018. 7. 7.
032 불교에서 이야기하는 바르다는 것의 기준은 무엇인가 - 팔정도 卍-032 불교에서 이야기하는 바르다는 것의 기준은 무엇인가 - 팔정도-卍 불교는 궁극적으로 우리들을 올바른 삶으로 이끌어가는 가르침으로서, 그 구체적인 방법은 여덟 가지 바른길 즉, 팔정도라고 합니다. 그러면 그 여덟 가지 바른 길의 바르다는 것은 과연 어떤 기준에서 올바른 것을.. 2018. 7. 7.
031 불교에는 어떤 기념일들이 있나? 卍-031 불교에는 어떤 기념일들이 있나?-卍 불교의 기념일은 모두 부처님의 일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부처님의 탄생과 구도, 입멸에 이르기까지 커다란 장(章)이 분명하게 나타납니다. 그래서 불교의 4대 기념일이 정해졌습니다. 가장 크게 기념하는 것은, 부처님이 탄생하신 날인 사.. 2018. 7. 7.
030 불교에 토속신앙적인 요소가 많이 유입된 이유는 卍-030 불교에 토속신앙적인 요소가 많이 유입된 이유는-卍 현재 우리나라의 사찰들에는 산신각이나 칠성각, 독성각, 용왕당 등 불교 본연의 신앙과는 다소 관계가 없는 조상들이 모셔져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들은 우리나라 전래의 토속신앙이나 중국의 민간 신앙인 도교로부터 영향.. 2018. 7. 7.
029 불교는 철학일 뿐 종교가 아니라는 지적이 있던데 卍-029 불교는 철학일 뿐 종교가 아니라는 지적이 있던데-卍 흔히 불교는 인생의 문제에 접근하는 태도가 여타의 다른 종교들에 비해 대단히 합리적이고 이성적이며 과학적이라는 사실에서부터 불교는 종교라기보다 철학이 아닌가 하는 이야기를 듣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굳.. 2018. 7. 7.
028 불교는 우리나라에 언제 어떻게 전래되었나 卍-028 불교는 우리나라에 언제 어떻게 전래되었나-卍 우리나라에 맨 처음 불교가 전래된 것은 기록에 의하면 고구려의 17대왕인 소수림왕(小獸林王) 2년 즉, 서기 372년의 일입니다. 이해 2월에 중국의 북부에 자리 잡고 있던 나라인 전진(前秦)의 왕 부견(符堅)이 순도(順道)라는 스님으로 .. 2018. 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