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법과 동행을3006

027 불교는 염세적인 종교 같은데 과연 그런가 卍-027 불교는 염세적인 종교 같은데 과연 그런가-卍 우주와 인생의 궁극적인 의미를 밝힘으로써 완성된 삶, 성스러운 도(道)로 나아가기 위한 불교의 수행은 무엇보다도 우리 삶의 현실에 대한 정확하고 투철한 관찰에서부터 시작됩니다. 그것은 이 세상의 모든 현상은 덧없고 유한하며 .. 2018. 7. 7.
026 불교는 어떤 종교이며, 다른 종교들과 어떻게 다른가 卍-026 불교는 어떤 종교이며, 다른 종교들과 어떻게 다른가-卍 불교는 그 어떤 절대적인 신이나 신의 계시 따위에 의존하지 않고 오로지 교조 석가모니부처님의 순수한 인간적 노력에 의해 성립된 세계 역사상 유일한 종교로서, 이와 같은 불교의 종교적 특징은 그 교리 전반에 걸쳐 대단.. 2018. 7. 7.
025 불교는 부처님보다도 진리를 신봉하는 종교라는데 卍-025 불교는 부처님보다도 진리를 신봉하는 종교라는데-卍 불교는 오로지 인간의 이성과 의지에만 기초하여 성립된 대단히 지적이고 합리적인 종교라고 합니다만, 그렇게 이야기할 수 있는 이유 중의 하나를 우리는 불교에서 가르치는 진리와 부처님의 관계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2018. 7. 7.
024 불교교단의 구성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나 卍-024 불교교단의 구성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나-卍 불자들의 수행과 화합의 공동체인 승가는 출가자뿐만 아니라 재가신자까지도 포함한 칠부대중(七部大衆), 혹은 사부대중(四部大衆)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기서 칠부대중이란 비구(比丘), 비구니(比丘尼), 우바새(優婆塞), 우바이(優.. 2018. 7. 7.
023 불교가 발생지인 인도에서 소멸해버린 이유는 卍-023 불교가 발생지인 인도에서 소멸해버린 이유는-卍 불교가 오늘날 석가모니 부처님의 탄생지이며 그 최초의 뿌리를 내렸던 토양인 인도에서 소멸해 버린데 대해서는 대체로 인도 불교가 말기에 이르러서 전반적으로 밀교화 되어버린 것과 이슬람교도의 인도 침입이라는 두 가지 원.. 2018. 7. 7.
022 북방불교와 남방불교의 차이는 무엇인가 卍-022 북방불교와 남방불교의 차이는 무엇인가-卍 일찍이 석가모니 부처님에 의해 창시된 불교는 2500여년이 지난 오늘날 범세계적인 종교로 성장해 왔습니다만, 아시아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불교는 그 양상에 따라 크게 남방불교와 북방불교의 두 가지로 나누어지고 있습니다. 남방불.. 2018. 7. 7.
021 부처님이란 무슨 뜻이며, 어떤 분을 가리키나 卍-021 부처님이란 무슨 뜻이며, 어떤 분을 가리키나-卍 부처님이란 인도의 옛말 붓다에서 온 우리말로, 본래는 깨달은 이, 진리에 눈뜬 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그것을 한자로 번역할 때 소리나는 대로 불(佛) 또는 불타(佛陀)라고 하기도 했고, 뜻으로 옮겨 각자(覺者).. 2018. 7. 7.
020 부처님의 가르침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인가 ? 삼법인 卍-020 부처님의 가르침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인가 ? 삼법인-卍 우주와 인생의 궁극적인 의미를 탐구하여 올바른 삶, 가치 있는 삶을 이루기 위한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은 현실에 대한 정확한 관찰에서부터 시작됩니다. 불교에서는 예로부터 삼법인(三法印)이라 하여 부처님의 가르.. 2018. 7. 7.
019 부처님을 부르는 열가지 명칭 - 여래십호(如來十號) 卍-019 부처님을 부르는 열가지 명칭 - 여래십호(如來十號)-卍 부처님의 위대한 덕성(功德相)을 나타내는 열 가지 명칭을 여래십호라 합니다. 각각의 명칭은 여래(如來), 응공, 정변지, 명행족, 선서, 세간해, 무상사, 조어장부, 천인사, 세존 등이며 간략하게 설명해 보면, 첫 번째로, 여래(.. 2018. 7. 7.
018 부처님들이 굉장히 많은데 불교는 다신교인가 卍-018 부처님들이 굉장히 많은데 불교는 다신교인가-卍 다신교란 여러 가지 성격이 다른 신들을 함께 숭상하는 종교 유형으로서, 이 세계가 본질적으로 몇 가지 혹은 그 이상의 구성 요소들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는 다소 전근대적인 다원적 세계관에 입각해 있는 종교들을 이야기하는 것.. 2018. 7. 7.
017 부처님 옆에 모시는 두 보살은 어떤 분인가 卍-017 부처님 옆에 모시는 두 보살은 어떤 분인가-卍 사찰의 법당 안에는 일반적으로 부처님을 중심으로 해서 좌우에 각각 한 분씩의 보살상이 모셔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렇게 모셔져 있는 보살님을 우리는 협시보살(脇侍菩薩)이라고 합니다. 여러 부처님들의 곁에서 한량없는 .. 2018. 7. 7.
016 부처님의 가르침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인가 ? 삼법인 卍-016 부처님의 가르침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인가 ? 삼법인-卍 우주와 인생의 궁극적인 의미를 탐구하여 올바른 삶, 가치 있는 삶을 이루기 위한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은 현실에 대한 정확한 관찰에서부터 시작됩니다. 불교에서는 예로부터 삼법인(三法印)이라 하여 부처님의 가르.. 2018. 7. 7.
015 보살님들이 손에 들고 있는 것들은 무엇인가- 지물 卍-015 보살님들이 손에 들고 있는 것들은 무엇인가- 지물-卍 불상과 더불어 우리들의 신앙과 귀의의 대상이 되고 있는 보살상들은 손에 갖가지 물건을 들고 계신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 물건들은 지물(持物)이라고 해서 그것을 들고 계신 보살님들의 특별한 서원이나 덕성 등을 묵시적으.. 2018. 7. 7.
014 법당은 어떤 곳이며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나 卍-014 법당은 어떤 곳이며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나-卍 우리들은 법당(法堂)이라고 하면 흔히 본존이 모셔져 있는 그 사찰의 중심 건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만, 실제 불상이나 보살상을 모신 전각을 법당이라고 부르게 된 것은 고려시대에 선종이 설핼하면서 부터이며 .. 2018. 7. 7.
013 법당 안의 신중단은 어떤 곳이며 어떤 의미가 있나 卍-013 법당 안의 신중단은 어떤 곳이며 어떤 의미가 있나-卍 대승불교가 발달하면서 일체중생에 대한 구제가 강조되어 불교에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신앙 형태가 생겨나게 되었습니다만, 그 신앙 형태의 특징 가운데 한 가지가 인도 재래의 토속신뿐 아니라 불교가 전파되는 여러 지역의.. 2018. 7. 7.
012 밀교는 어떻게 성립하였고 어떤 가르침인가 卍-012 밀교는 어떻게 성립하였고 어떤 가르침인가-卍 밀교(密敎)란 말 그대로 비밀스런 가르침이라는 의미인데, 불교의 다른 교설들이 모두 드러내놓고 설해진 가르침 즉, 현교(顯敎)인데 반해 자신들의 가르침은 본래 부처님의 심중에 감춰져 있던 것으로서 스승과 제자 사이에만 은밀.. 2018. 7. 7.
011 미륵불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셔야 하나 卍-011 미륵불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셔야 하나-卍 미륵부처님(彌勒佛)은 먼 훗날 이 땅에 출현하셔서 중생들을 제도하실 미래세의 부처님으로, 지금은 도솔천에서 천인들을 위해 설법하고 계시는 분입니다. 그러므로 미륵부처님이라고도 하고 아직은 부처님이 아니므로 미륵보살이라.. 2018. 7. 7.
010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시나 卍-010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시나-卍 문수보살(文殊菩薩)과 보현보살(普賢菩薩)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양 옆에 모시기도 하고 때로는 비로자나 부처님의 좌우에 모시기도 하는 보살로, 말하자면 각기 지혜와 행원(行願)이라는 부처님의 두 가지 커다란 덕성을 상징.. 2018. 7. 7.
009 무상이란? 卍-009 무상이란?-卍 불교의 근본 교의(敎義)를 셋으로 표시한 것을 삼법인(三法印)이라고 하는데 이 중 첫째가 제행무상(諸行無常)입니다. 이 세상 모든 생물은 태어나서(生), 늙고(老), 병들고(病), 죽는(死) 과정을 거치지 않는 것이 없고, 거대한 것이나 미세한 것이나 모든 존재는 머물다.. 2018. 7. 7.
008 무명의 뜻은 卍-008 무명의 뜻은-卍 무명(無明:Avidya)은 진리를 알지 못하는 상태, 또는 진여(眞如)에 대하여 비진여(非眞如)를 말합니다. 진여를 설명함으로써 무명의 뜻이 명확해집니다. 진여는 우주만유에 보편한 상주불변(常住不變)하는 본체를 말합니다. 이 진여는 우리의 사상개념으로 미칠 수 없.. 2018. 7. 7.
007 대승불교는 어떻게 성립하였고 어떤... 卍-007 대승불교는 어떻게 성립하였고 어떤...-卍 인간 이성에 대한 깊은 신뢰와 삶의 괴로움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기치를 내걸고 창시된 불교는 애당초 대단히 생기발랄한 가르침으로서 부처님 당시에 이미 인도대륙의 지역으로 전파되어 엄청난 민중적 반향을 불러 일으켰습니다만, .. 2018. 7. 7.
006 나라마다 스님들의 생활방식이 크게 다른 이유는 卍-006 나라마다 스님들의 생활방식이 크게 다른 이유는-卍 불교는 인도라는 사회문화적인 토양을 기반으로 성립하고 발전했지만, 인도에만 국한하지 않고 일찍부터 범세계적인 종교로 성장해 갔습니다. 그것은 불교가 그만큼 보편적인 가르침을 지향하는 종교였음을 입증하는 종교로서.. 2018. 7. 7.
005 교단이 삼보 가운데 하나로 공경되는 이유는 卍-005 교단이 삼보 가운데 하나로 공경되는 이유는-卍 불교에서는 불. 법. 승의 삼보를 삶의 지표이자 수행의 의지처로 삼고 있습니다만, 그 중에는 특히 승보 즉, 교단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승보의 승(僧)은 본래 승가(僧伽)를 줄인 말로서, 다른 말로는 중(衆) 또는 화합중(和合衆)이라고.. 2018. 7. 7.
004 관세음보살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셔야 하나 卍-004 관세음보살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셔야 하나-卍 대승불교의 수많은 불. 보살 가운데에서 대중들과 가장 친근한 분이라면 단연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을 들 수 있겠습니다. 이같은 관세음보살은 달리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 광세음보살(光世音菩薩), 관세자재보살(觀世自在菩.. 2018. 7. 7.
003 격의 불교란 어떠한 의미와 의의를 지니는가 卍-003 격의 불교란 어떠한 의미와 의의를 지니는가-卍 중국불교의 성격을 논할 때만 특별하게 사용되는 용어인 격의라는 말은 중국인에게 쉽게 이해되지 않은 불교교리를 널리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유교나 도교 등 중국 고유의 사상으로부터 유사한 개념이나 용어를 차용하여 설.. 2018. 7. 7.
002 12연기에 대하여 卍-002 12연기에 대하여-卍 불교는 인간이 죽음을 포함한 모든 고뇌에서 벗어나는 문제에 대해 명백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즉 인간의 근본적인 고뇌(八苦)는 숙명적이거나 우연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무지가 원인이 되어 받게 되는 필연적인 결과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연기에 .. 2018. 7. 7.
001 108 번뇌란? 卍-001 108 번뇌란?-卍 번뇌와 번뇌가 아닌 것을 분별한다는 것을 그렇게 쉽지가 않습니다. 현실적으로 보면 번뇌라는 것과 번뇌 안니 깨달음, 즉 보리(菩提)라는 것이 실상은 똑같은 자리에서 나온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깨달음에 든 사람은 번뇌의 본체나 보리의 본체가 원래 하나.. 2018. 7. 7.
수인 수인 제불보살(諸佛菩薩)과 제천선신(諸天善神)이 그 깨달음의 내용을 두 손으로 나타내는 모양. 불상 종류에 의한 수인은 교리적인 뜻을 가지고 표현되었기 때문에 불상의 성격과 명칭을 분명하게 해주는 역할을 해왔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그 규칙이 엄격히 지켜지지 않았던 것 같다. 항.. 2018. 7. 7.
불교기 불교기는 1950년 실론(지금의 스리랑카)에서 열린 세계불교도우의회"에서 정식 승인하여 현재 모든 불교 국가와 불교단체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기는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3:2이며 바탕은 다섯 가지의 색(청색, 황색, 적색, 백색, 주황색)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다섯가지 색깔은 부처.. 2018. 7. 7.
108배-가구경행(街衢經行) 108배 : (1)108 번뇌란? 중생의 번뇌 수효가 108개라는 데에서 유래한 것으로 번뇌의 수를 많이 잡으면 8만 4천 번뇌이고, 적게 잡으면 3독 등 다양하다. 이 중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이 108번뇌이며 이것을 계산하는 방법에는 두 종류가 있다. (2)계산 방법 卍 첫 번째 방법 ①6진(塵) ×3 (好, 惡, 平等) = 18 ②6진(塵) ×3 (苦, 樂, 捨) = 18 이를 합하면 -> 36 ③36 ×3 (世 : 과거, 현재, 미래) = 108 卍 두 번째 방법 ①삼계(三界)의 견혹(見惑) = 88사(使) ②삼계(三界)의 수혹(修惑) = 10혹(或) ③무참(無懺), 무괴(無愧), 혼침(昏沈), 악작(惡作), 뇌(惱), 질(嫉), 도회(掉悔), 수면(睡眠), 분(忿), 부(覆) = 10전(纏) 이를.. 2018. 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