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근2897 일체무아 卍-일체무아-卍 불교는 인간을 중심으로 세계를 본다는데, 그러한 인간을 주관적으로 말하면 '나'라고 말할 수가 있다. 그런데 우리가 보통 '나'라고 하는 그 '나'는 어떤 것을 가리킬까? 십이처설에서 말하는 여섯 개의 감관 즉 육근을 말한다는 것이 보통일 것이다. 그보다도 더 근원적인.. 2018. 6. 29. 석가모니의 설교 방법 卍-석가모니의 설교 방법-卍 불교는 바로 이러한 깨달은 사람의 가르침인데, 그 가르침을 베풂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가 있다. 진리 탐구자로서의 석가모니의 길과 설법자로서의 석가모니의 길은 반드시 일치해야 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비판적 태도와 합리적인 탐구가.. 2018. 6. 29. 깨달음의 필요성 卍-깨달음의 필요성-卍 종교적 교설에 대한 이러한 회의가 발생하게 되면, 이제 덮어놓고 그것을 신앙할 수만은 없게 된다. 하늘의 계시라든가 오랜 전통을 가졌다던가 성인의 말이라든가 하는 이유만으로는 믿어지지 않는다는 말이다. 각 파의 교설을 우선 충실히 수습(修習)하여 그 진.. 2018. 6. 29. 진리성 주장의 문제 卍-진리성 주장의 문제-卍 불교가 일어날 무렵(B.C. 5세기 경)의 인도 사회는 여러 가지 종교 사상이 발생하여 서로 대립하고 있었는데, 그들의 대립 상황이 어느 정도였는가는 인간의 생사 괴로움에 대한 각파의 견해만 봐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정통파 바라문교(Brahmanism)에서는 우주의 .. 2018. 6. 29. 합장과 절하는 법 卍-합장과 절하는 법-卍 합장은 부처님이 태어나신 인도의 전통적인 인사법으로서 인사 및 예불, 법회 들 불교 생활 전반에 걸쳐 가장 많이 쓰이는 예법이다. 합장은 손바닥을 마주 합하는 자세인데. 손바닥을 밀착해 빈틈이 없어야 하며 손가락사이가 벌어져서도 안된다. 두 손을 통해 .. 2018. 6. 29. 절의 의미와 공덕 卍-절의 의미와 공덕-卍 불교 의식에는 절을 하는 경우가 많다. 절은 삼보에 대한 예경과 상대방에 대한 존경을 의미하며, 스스로를 낮추는 하심의 수행 방법중 하나다. 절은 그 자체가 하나의 훌륭한 수행 방법이기도 한데, 참회나 기도의 방법으로 108배 1,080배 3,000배 등이 활용되는 것도.. 2018. 6. 29. 오체투지 卍-오체투지-卍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삼보님께 하는 절은 오체투지의 큰절을 원칙으로 한다. 이때 오체란 몸의 다섯 부분인 왼쪽 팔꿈치, 오른쪽 팔꿈치, 왼쪽 무릎, 오른쪽무릎, 이마를 말한다. 이것은 인도의 예절로. 몸의 다섯 부분이 땅에 닿도록 납작하게 엎드려 하는 절이다. 인도.. 2018. 6. 29. 고두배 卍-고두배-卍 불자는 신구의 삼업을 정화 시키기 위해서 몸을 던져 절을 하는 것이므로 기본적으로 3배를 올린다. 그러나 아무리 절을 많이 해도 부처님에 대한 예경의 뜻을 모두 표현할 수는 없다. 따라서 세 번째 절을 하고 일어서 기전 부처님의 한량없는 공덕을 생각하며 지극한 마음.. 2018. 6. 28. 불교 상식 卍-불 교 상식-卍 불교란 무엇인가 불교란 우주와 인생의 진리를 깨달으신 부처님의 가르침을 말합니다. 구체적으로 모든 괴로움의 원인을 제거하여 해탈의 경지에 도달하게 하는 가르침인 것입니다. 부처님의 명호 부처님께서 갖추신 공덕을 열 가지 면에서 나누어 존칭한 이름을 말합.. 2018. 6. 28. 사리 卍-사리-卍 사리란 범어 사리라의 음역으로서 산골·유신·영골이라고 번역하는데 사람이 죽은 뒤 그 주검을 화장하고 남은 뼈를 말합니다. 인도에서는 예로부터 사람이 죽으면 매장을 하지 않고 화장을 하는 풍습이 있습니다 특히 학문이나 덕이 높은 사람이 죽으면 화장을 해서 그 유.. 2018. 6. 28. 염주[念 珠] 卍-염주[念 珠]-卍 염주란 부처님을 염할 적에 사용하는 구슬이라는 뜻으로서 불교도의 상징물이며 그 종류에는 단주와 백팔염주와 천주가 있다. 단주 불교도임을 상징하는 몸에 지니고 다니는 염주로서 왼손 팔목에 낀다. 백팔염주 백팔 개의 구슬을 꿰어서 만든 염주로서 보통 목에다.. 2018. 6. 28. 법구 卍-법구-卍 사찰에 있어서 의식을 집행하면서 사용하는 도구를 말하는데 대표적인 법구에는 사물이라는 것이 있다. 사물이란 범종과 법고와 운판과 목어가 있다. 2018. 6. 28. 범종 [梵 鐘] 卍-범종 [梵 鐘]-卍 인도 종이라는 말로서 인도에서 전래되어진 종으로서 보통 절에서 많은 사람을 모이게 하거나 모든 이들에게 때를 알려줄 때뿐만 아니라 그 소리가 아주 신표하여 예경이나 의식에서도 사용한다. 그리고 예경이나 의식에서 이 종을 치는 이유는 영계의 모든 중생들을 .. 2018. 6. 28. 법고[法 鼓] 卍-법고[法 鼓]-卍 절에서 아침 저녁으로 예불할 때나 의식을 할 적에 치는 북이다. 네발 달린 짐승들을 법회에 참석시켜 성불시키기 위하여 친다고 한다. 2018. 6. 28. 운판[雲版] 卍-운판[雲版]-卍 운판(雲版)은 청동으로 된 판을 구름 모양으로 만든 것을 말하며 날아다니는 새들을 법회에 참석시켜 성불도로 인도하기 위하여 소리를 낸다고 한다. 선방에서는 끼니때를 알리기 위하여 치기도 한다. 2018. 6. 28. 목어[木魚] 卍-목어[木魚]-卍 목어(木魚)는 나무를 잉어 모양으로 만들어서 속을 비게 파낸 것으로서 아침 저녁으로 예불하고 경전을 읽을 때 두드리며 '방'이라고도 한다. 물 속에 살고 있는 모든 물고기를 법회에 참석시켜 성불시키기 위하여 소리를 낸다고 한다. 2018. 6. 28. 죽비 卍-죽비-卍 죽비란 대나무를 두 쪽으로 갈라서 만든 법구로서 손바닥으로 쳐서 소리를 나게 한다. 참선이나 함께 절을 할 때 사용하며 참선할 적에 입정과 출정을 알릴 때도 사용한다. 죽비에는 경책을 내리거나 참선할 적에 졸음을 쫓는 장군 죽비가 있다. 2018. 6. 28. 절의 구조물 卍-절의 구조물-卍 이상의 법당 외에도 절에는 여러 가지의 구조물이 많이 있다. 우선 절에 들어가면서 가장 먼저 접하는 구조물이 일주문이다. 일주문(一柱門)은 절에 들어가는 어귀에 서 있는 문으로서 기둥을 양쪽에 하나씩만 세워서 지은 건물이다. 이문을 경계로 문 밖은 속계가 되.. 2018. 6. 28. 불상 卍-불상-卍 대승 경전에 등장하는 부처님의 수는 무척이나 많다. 그렇기에 대승불교에 있어서 신앙의 대상이 되는 부처님에 대하여 혼란을 가져올 수가 있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한 대승불교의 불신론이 삼신불이라는 사상이다. 삼신불이란 부처님의 육신을 셋으로 나누어서 설명하는 .. 2018. 6. 28. 석가모니불 [釋 迦 牟 尼 佛] 卍-석가모니불 [釋 迦 牟 尼 佛]-卍 불상 중에서 가장 많이 모셔진 불상은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이다. 석가모니불은 중생을 구원하시고자 이 땅에 인간의 몸으로써 2500여년 전에 오신 화신불로서 불법을 이 땅에 심 어 놓고 가신 역사적인 부처님이시다. 석가모니불상의 특징은 입상일 .. 2018. 6. 28. 비로자나 불상 卍-비로자나불상-卍 비로자나불상은 주로 주먹을 가슴에서 아래로 포개고 밑의 왼손 검지를 오른손 주먹으로 감싸거나, 주먹쥔 왼손을 오른손으로 감싼 지권인하고 계신 것이 통례이다. 이러한 비로자나불상은 대광명전, 대적광전, 비로전 등에 모셔지며 협시보살로는 문수보살과 보현.. 2018. 6. 28. 아미타불 卍-아미타불-卍 아미타불은 무량수경을 비롯한 정토 삼부경에 등장하시는 부처님으로서 중생을 구원하고자 원을 세우시고 수행을 하시어 극락세계를 완성하시고서 지금 현재에도 사바세계의 중생들을 극락세계에서 영접하시는 부처님이시다. 아미타불 이외에도 무량수불, 무량광불 등.. 2018. 6. 28. 약사여래 [藥 師 如 來] 卍-약사여래 [藥 師 如 來]-卍 약사여래(藥師如來)는 중생의 원에 응하여 영험을 보이시는 응신불의 일종으로서 중생들의 온갖 아픔을 치료하여 오래 살도록 해주시며 재난과 근심을 없애 주고 옷과 음식을 많이 주어서 잘 살도록 해주시는 부처님이시다. 약사여래유리광불 또는 대의광.. 2018. 6. 28. 대세지 보살 [大 勢 至 菩 薩] 卍-대세지 보살 [大 勢 至 菩 薩]-卍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은 아미타 부처님의 두 가지 덕인 지혜를 상징하는 무량광과 자비를 상징하는 무량수중에서 지혜를 의미하는 무량광을 상징하는 보살로서 모든 중생들에게 지혜의 빛을 평등하게 비추어서 지옥, 아귀, 축생의 3악도를 없애게 .. 2018. 6. 28. 문수보살 [文 殊 菩 薩] 卍-문수보살 [文 殊 菩 薩]-卍 문수보살(文殊菩薩)은 석가모니부처님이나 비로자나불 또는 대일여래의 왼쪽에서 협시하는 보살로서 지혜를 상징하는 보살이다. 문수사리 문수시리 묘덕 묘수 묘길상이라는 이명으로 불려지기도 한다. 문수 보살상은 문수5지라 하여 5계를 맺는 것이 보통.. 2018. 6. 28. 보현 보살 卍-보현 보살-卍 대체로 보현보살의 형상은 연화대 위에서 합장하거나 손에는 연꽃을 든 경우도 있다. 그리고 코끼리를 타고 다니는 모습도 있다. 그리고 대행을 상징하는 보현보살은 열 가지 행원을 가지고 있다. 지장보살은 중생 제도를 위하여 부처가 되기를 포기하시고 영원히 보살.. 2018. 6. 28. 지장보살 卍-지장보살-卍 지장보살은 명부를 주재하는 소위 십왕을 거느리고 십왕은 다음과 같다. 제1 진광대왕 : 도산지옥 제2 초강대왕 : 화탕자옥 제3 송제대왕 : 한수지옥 제4 오관대왕 : 검수지옥 제5 염라대왕 : 발설지옥 제6 변성대왕 : 독사지옥 제7 태산부군 : 대애지옥 제8 평등대왕 : 거해지.. 2018. 6. 28. 법당 [부속전] 卍-법당 [부속전]-卍 경전에 등장하는 부처님의 수가 많듯이 절에는 부속전각 또한 아주 많고 다양하다. 주불전에 등장하는 비로자나불을 부속전각에 모실 적에는 비로전, 아미타불을 부속전각에 모실 적에는 미타전, 관세음보살을 부속전각에 모실 적에는 관음전이라 하는데 그 외에 많.. 2018. 6. 28. 법당[주불전] 卍-법당[주불전]-卍 주불전이란 그 사찰에 있는 가장 커다란 법당을 말하는데 이러한 주불전에 모시는 부처님에는 비로자나불과 아미타불 그리고 석가모니불 관세음보살이 있다. 그리고 모셔진 부처님에 따라서 그 명칭도 달리 하는데 다시 말해서 석가모니부처님을 모신 주불전은 대웅.. 2018. 6. 28. 부처님 전에 참배하는 예법 참회하는 법 卍-부처님 전에 참배하는 예법 참회하는 법-卍 신도들이 절에 가게 되면 여러 법당이 있어서 어디서부터 어떻게 참배하는지 잘 몰라 망설이는 모습을 많이 보게 된다. 그러나 처음 일주문에 들어서면 우선 모든 잡념을 버리고 마음을 깨끗이하여 소지품을 내려놓고, 절을 향하여 합장을 .. 2018. 6. 28. 이전 1 ··· 87 88 89 90 91 92 93 ··· 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