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과 동행을3147 🙏사랑도 말고 미워도 마라. 🙏사랑도 말고 미워도 마라.지도무난 유혐간택(至道無難 有嫌揀擇)단막증애 통연명백(但莫憎愛 洞然明白)지극한 도는 어렵지 않으니 오직 취사간택을 꺼릴 뿐이다.미워하고 사랑하지 않으면 통연히 명백하다. 불교의 핵심은 분별심을 버리는 데 있다. 분별심은 대상을 둘로 나누는 것이니, 좋고 싫다고 나누어 놓고 좋으면 집착하고 싫으면 거부한다. 취사간택(取捨揀澤) 한다. 취사간택이란 좋은 것은 취하려고 애쓰고, 싫은 것은 버리려고 애쓰는 마음이다. 좋은 것만을 취하려고 선택하는 것을 간택이라고 한다. 취사간택 하면 좋은 것을 취하지 못했을 때 괴롭고, 싫은 것을 버리지 못했을 때 괴롭다. 이처럼 분별심과 취사간택심이 바로 모든 괴로움의 원인이다. 불교의 도(道)란 괴로움이 소멸된 상태다. 지극한 도(道)는 아무런 .. 2025. 1. 22. 🙏인연법의 작동 원리 🙏인연법의 작동 원리 내 삶에는 수많은 인연들이 오고 간다. 사람도, 돈도, 지위도, 인연도, 사랑도, 자녀도 무수히 많은 것들이 내 삶 위로 왔다가 사라진다. 그것들은 내 뜻과는 상관없이 삶 그 자체의 법칙에 따라오고 가는 것일 뿐이다. 인연 따라 만들어진 모든 것들은 이처럼 왔다가 가는 것이 인연의 법칙이다. 싫은 사람이 갑자기 회사에 상사로 발령을 받아 왔다고 해서 그것을 원망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그것을 원망하고 미워하며 기분 나빠하면서, 회사를 욕하고, 그 사람을 욕하는데 에너지를 낭비할 시간에, 오히려 ‘잘됐다! 그럼 이제 무엇부터 시작해야 하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하고 수용과 변화를 시작하는 것이 더 지혜로운 결정일 것이다. 사랑하는 사람이 생겼다는 것은 곧 언제 떠나갈지 모를.. 2025. 1. 21. 🙏귀신 🙏귀신 사람은 누구나 죽으면 귀신이 된다. 불교에서는 귀신을 영가(靈駕)라고 부르는데 지옥에서 고통받을 영가를 극락과 같은 좋은 곳으로 보내고자 천도재 의식을 베푼다. 그때 부르는 영가의 종류도 참 많다. 수많은 고통을 받는 영가인 수고함령(受苦含靈), 머무르는 곳이 있거나 없는 유주무주(有主無主) 영가, 유산으로 인해 세상의 빛을 보지도 못한 아기 영가인 수자령(水子靈) 영가, 죽은 뒤 다른 곳으로 가지 못하고 다른 사람 몸에 붙어 있는 슬픈 영가인 책주애혼(?主哀魂) 영가, 동식물 등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영가인 일체유정무정(一切有情無情), 그 외 여러 영가들인 각열위영가(各列位靈駕) 등이 있다. 절에서는 천도재를 할 때 천도시킬 해당 영가 외에도 조상, 부모, 형제와 같은 가까운 영가를 비롯해 위.. 2025. 1. 17. 🙏이치를 분명히 알고 잘못을 고친다. 🙏이치를 분명히 알고 잘못을 고친다.이치를 분명히 알고 잘못을 고친다. 사상과 이치를 이미 알았다면 잘못을 장차 저절로 그만둔다.(明理而改之—事理既明,過將自止) 「명리明理」는 길흉화복의 큰 이치와 사실 진상에 대해 또렷하게 이해하는 것을 말합니다. 선한 인을 심으면 선한 과를 얻고 악한 인을 지으면 반드시 악한 보를 얻는 이러한 이치와 사실 진상을 또렷하게 이해하면 두려움 마음이 생기고 악한 과보를 두려워하여 감히 더 이상 악한 일을 저지르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잘못을 장차 저절로 그만둘 것이다(過將自止)」 말합니다. 악한 일을 저지르면 악한 과보가 생길 뿐만 아니라 악한 생각을 일으킬 때마다 악한 과보가 생길 것이니, 결코 마음을 일으키고 생각을 움직이는 것이 미약하여 말할 가치가 없을지라도 아무도.. 2025. 1. 16. 🙏날마다 새날 🙏날마다 새날마음을 새롭게 하면 나날이 새날이고 나날이 새해지요. 한 해의 끝을 맺는 것은 지난 것을 다 털고 새로 시작해 보자는 거예요. 인연 따라 사는 인생좋은 것 나쁜 것이 따로 없어요.다 놓아버리고 날마다 새 마음으로 살아보세요.사회가 갈수록 빠르게 변화하는데 옳고 그름만 따지다 보면 사고가 경직됩니다. 미래 사회에 제일 중요한 능력은 유연성입니다.그래서 어릴 때부터 사고의 유연성을 키우는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 세상은 좋고 나쁘고 옳고 그른 게 없어요.하나의 물결이에요. 그 흐름을 따라가고 싶으면 따르는 쪽을 선택해서 살고 다른 방향으로 사는 게 좋으면 그렇게 살면 됩니다. -🙏법륜 스님- 출처: 글쓴이: 🙏향상일로https://cafe.daum.net/seojinam/fGbQ/118 2025. 1. 15. 🙏일심(一心)으로 돌아가라. 🙏일심(一心)으로 돌아가라.무애행과 의 중생심의 가르침이 원효의 "일심(一心)"이라는 새로운 사상을 낳는 근원이 되었다. 중생들 마음속에 큰 좋은 바탕(眞如)이 있고, 이를 통해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그 마음을 원효는 "일심"으로 표현했고, '일심'으로 돌아가라고 했습니다. 원효는 "일심"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이 같은 하나인 마음의 도리는 말을 여의고 생각을 초월했기 때문에 무엇을 지목할지 몰라서 억지로 이름 하여 하나의 마음(一心)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원효의 또 다른 유명한 논서(論書)인 의 첫 페이지는 다음과 같이 "일심"을 말합니다."무릇 한마음(一心)의 근원은 있음(有)과 없음(無)을 떠나서 홀로 조촐하고, 삼공(三空)의 바다는 참(眞)과 속(俗)을 아우르면서 맑으.. 2025. 1. 13. 🙏이것만 알아도 인생사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것만 알아도 인생사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법륜 스님 즉문즉설 중에서- 사람들이 괴로운 이유는 많지만 조금만 생각을 바꿔보면 훨씬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그동안 계속 두 눈이 안 보이다가 어떻게 수술해서 한 눈을 떴다면 기분이 어떨까? (무척 좋겠지요)그런데 두 눈 잘 보이다가 다쳐서 한쪽 눈이 안 보이면? (가슴이 찢어질 거 같습니다, 엄청 괴롭겠죠)한쪽 눈만 보이는 조건은 똑같은데, 한 사람은 죽을 거 같고, 한 사람은 세상이 다 내 것 같고. 왜 그럴까?두 사람을 비교해 보면, 평생 장님으로 살다가 오늘부터 한쪽 눈 보이는 게 나을까, 아니면 평생 잘 보다가 이제 한쪽 눈 안 보이는 게 나을까? 어떻게 생각해요? 나는 평생 잘 보다가 한쪽 눈 안 보이는 게 훨씬 나을 거 같은.. 2025. 1. 11. 🙏자기를 위해 살아야 한다. 🙏자기를 위해 살아야 한다.누구를 위해서 산다는 생각을 놓지 않으면 늘 괴로움이 뒤따릅니다.항상 자기를 위해 살아야 합니다.그 누구도 내 대신 살 수 없어요.꿀벌이 꽃을 위해 사는 것이 아닙니다.벌이 꽃에 가는 것은 꿀을 먹기 위해 가는 거지 꽃을 보러 가는 거는 아닙니다.그런데 벌이 꿀 먹으려고 꽃을 절대로 해치지 않아요.꽃의 수정을 도와주며 꽃에 도움을 주는 거예요.어리석은 사람은 자기를 위해 남을 해치지만 훌륭한 사람은 자기와 남이 함께 걷는 길을 갑니다.우리가 남을 헤쳐서 안 되는 것처럼 자기 자신도 헤쳐서는 안 됩니다. 남이 소중하듯이 나도 소중한 존재입니다.남을 헤치지 않는다면 나도 헤치지 않아야 합니다.자기에게도 좋고 남에게도 좋아야 합니다.그리고 타인의 생명을 귀중한 여겨야 합니다.모든 .. 2025. 1. 10. 🙏인연과보(因緣果報)를 알면 삶이 평온하다. 🙏인연과보(因緣果報)를 알면 삶이 평온하다.불교에서 말하는 인연과보(因緣果報)는 일반적인 권선징악적 선악의 개념이 아니라, 그냥 하나의 원리와 법칙을 말한다. 고통은 아무 이유 없이 일어나는 게 아니다.고통은 내가 지은 인연 따라 일어난다.부모로부터 시작된 것,태중에서 시작된 것,유아기 때 형성된 것,어릴 때 형성된 것,어제부터 시작된 것,방금 전에 시작된 것….이렇게 수없이 많은 인연이 겹치고 겹쳐 지금 작용하는 것이다.꼭 불교 신자가 아니더라도 이 인연과보(因緣果報) 즉, 어떤 원인과 조건으로 결과가 왔다는 것을 알면 세상에 두려워할 것이 없게 된다. 돌은 물에 넣으면 가라앉고 기름은 물 위에 뜬다.물보다 무거운 것은 가라앉고 가벼운 것은 위로 뜨는 것, 이것이 자연의 이치다. 콩 심으면 콩 나고 .. 2025. 1. 9. 🙏마음을 다스리는 참회 수행 🙏마음을 다스리는 참회 수행수행修行을 한다는 것은 마음을 다스리는 것을 말합니다.모든 괴로움은 잘못된 마음, 어리석은 마음에서 빚어집니다.이런 마음을 버리고 바른 견해를 가지고 살아가는 일상을 우리는 '마음을 다스린다.'라고 말합니다. 이는 마음이라는 게 어떤 실체가 있어서 그것을 조절한다는 게 아닙니다.내가 옳다는 마음을 내려놓고 잘못되고 어리석은 생각에 이리저리 끌려다니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는 잠을 잘 때 꿈을 꾸기도 합니다.꿈은 마음이나 생각이 짓는 것입니다.그런데 꿈을 꾸면 그것이 실제 상황인 것처럼 느껴집니다. 꿈에서 깼을 때에는 그것이 꿈인지 알지만, 꿈속에서는 그것이 꿈인지 모르지요.꿈에서 강도를 만나서 무서워서 도망을 가고, 또 누군가가 나타나 나를 강도로부터 구해주면 고맙게 생각.. 2025. 1. 7. 🙏행복, 행복은 내가 만듭니다. 🙏행복, 행복은 내가 만듭니다.행복, 행복을 위해 준비만 하다 한 번도 행복해 보지 못한 채 세상을 끝내는 사람이 많습니다. 행복은 준비할 것이 없어요.지금 그냥 행복하면 됩니다.지금, 여기서 한 생각 바꿔 밝은 마음을 내면 됩니다. 오늘 행복하지 못한 사람은 내일 행복할 수가 없고, 이생에서 불행한 사람은 설령 저 생이 있다 해도 행복할 수가 없어요. 마음에 근심과 걱정이 없는 것이 행복입니다.행복은 남이 주는 것이 아니라 내가 만들어가는 겁니다. 출처: 🙏법륜 스님 즉문즉설 참고 출처: 글쓴이: 🙏향상일로https://cafe.daum.net/seojinam/Yy1p/900 2025. 1. 6. 🙏내 마음의 봄 🙏내 마음의 봄세상일이 내 뜻대로 돼야한다는 욕망에 사로잡혀 있는데 내 뜻대로 할 수 없는 현실에 부닥치면 괴로워하니 마음은 차갑게 굳어집니다. 세상은 내 뜻대로 다 되지 않으며 설령 다 된다 할지라도 좋은 일도 아니라는 걸 알면 마음이 괴롭지 않습니다.내 마음의 봄은 내가 만듭니다.꽁꽁 얼었던 강물이 녹고 땅속에 잠자던 씨앗이 움트는 것은 따뜻한 봄기운 때문입니다. 내 마음에 봄은 한 생각 바꿔 마음에 따뜻한 기운이 감돌게 하는 겁니다.따뜻한 기운은 사랑입니다.생명입니다. 출처: 🙏법륜 스님 출처: 글쓴이: 🙏향상일로https://cafe.daum.net/seojinam/fGbQ/115 2025. 1. 4. 🙏기도는 내가 가는 길 : 모래로 밥을 지을 수 없다. 🙏기도는 내가 가는 길 : 모래로 밥을 지을 수 없다.절에 가서 부처님 전에 돈 놓고 절하며 복을 비는 것이 불교의 전부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또 집에서 카세트 테잎을 틀어 놓은 것이 기도라 여기는 사람이 있다. 이는 껍데기 불교로 모래로 밥을 짓는 격이다. 불교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믿고 실천하는 종교이다. 불교는 철저하게 결정론적 사고를 거부했다. 연기법에 의해 현실은 얼마든지 변화할 수 있고 그 변화는 스스로의 노력에 달려 있음을 강조하는 종교다. 즉 불교는 타력적 기복이 아닌 자력에 의한 수행을 강조하고 있다.또한 스님이 신통력에 의지하게 되면 수행의 목적이 왜곡될 수 있다. 불교의 수행은 신통력을 얻기 위함이 아니라 번뇌를 끊고 해탈을 얻기 위함이다. 설령 신통력을 얻었더라도 생로병사에서 .. 2025. 1. 3. 🙏행복하려면 이거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하라. 🙏행복하려면 이거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하라.-🙏법륜스님 즉문즉설- ▒ 문저는 솔직히 행복이 뭔지를 잘 모르겠습니다.불교에서 말하는 행복은 어떤 것인가요?▒ 답세속에서 말하는 행복은 뭘까요? (건강하고 돈도 좀 벌고. 그런 거 아닐까요?)그것은 행복할 수 있는 조건들이고. 우리가 원하는 게 이루어지거나 하고 싶은 대로 되거나, 뭘 해서 이기거나 하면 기분이 좋습니다.그렇게 기분이 좋은 것을 즐거움(樂)이라고 하는데, 세상에서는 이 즐거움을 행복으로 삼습니다. 그래서 행복이라고 할 때 사실 그 내용은 즐거움입니다.그런데 어떤 것을 원해서 이루어지면 즐거운 만큼, 이루어지지 않으면 괴로움이 생깁니다. 이렇게 괴로움과 즐거움은 따로 떨어지지 않고 늘 맞물려 돌아갑니다.예를 들어, 결혼을 하고는 싶은데 못 하.. 2025. 1. 2. 🙏몸을 단속하고 입을 단속하고 뜻을 단속하라. 🙏몸을 단속하고 입을 단속하고 뜻을 단속하라.🙏잡아함경에 이런 말씀이 있다."사람이 이 세상에 태어나면 입 안에 도끼가 함께 생긴다.그것을 혀를 잘 간수하지 않으면 도리어 제 몸을 찍는다." 그리고 월하 선사는 이런 말씀을 하셨다."말의 화살을 함부로 놀리지 마라. 귀에 한 번 들어가면 힘으로 빼내지 못하느니라." 그런 반면에 '말 한마디로 천 냥 빚 갚는다.'는 속담도 있다. 구전으로 전해 오는 이야기에 이런 게 있다.부뚜막을 다스리는 조왕신(竈王神)이 어느 집 부엌에 갔더니 청소도 하지 않고 악취가 너무 심해서 머물기 힘들 정도였다.그렇게 며칠을 지켜보다가 도저히 참지 못하고 벌을 줘야겠다 생각하고 징벌을 맡고 있던 동생에게 산신(山神) 이 사실을 말하고 벌을 주라고 하였다. 산신이 가보니까 찢어.. 2024. 12. 31. 🙏기도(祈禱)가 무엇인지, 그 정의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기도(祈禱)가 무엇인지, 그 정의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즉문과연 기도(祈禱)가 무엇인지, 그 정의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많은 분들이 기도를 열심히 하는 걸 보면 기도에 대해서 더 궁금해집니다. ▒ 법륜 스님기도는 두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용어가 있고, 여기 정토회에서 기도라고 할 때는 수행의 의미로 말하는 용어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도'라고 말할 때는, 자기가 바라는 것을 이루기 위해서 부처님이나 보살님에게, 하느님이나 여러 신들에게 그것을 간절하게 갈구하는 것을 기도라고 합니다. 원하는 것이 이뤄지지 않는다고 불평하고, 그냥 이루어지기만 바라는 게 보통 사람들이라면 기도를 하는 사람은 그것을 이루기 위해서 간절하게 정성을 쏟는다 이 말입니다. 이 간절하게 정성을 쏟.. 2024. 12. 30. 🙏인연을 넘어 열반(涅槃)으로 가는 길 🙏인연을 넘어 열반(涅槃)으로 가는 길이미 지어진 인연(因緣)을 어떻게 해야 할까?소나무 씨가 바람에 날려 큰 돌 위에 떨어졌을 때 왜 하필 여기 떨어졌냐고 한탄하며 불평만 하고 있으면 될까?물론 아니다.씨앗은 어디에 떨어졌든 우선 싹을 틔워야 한다.이렇게 튼 싹은 시절 인연을 고마워하며 잘 풀어나가야 한다.나쁜 인연이면 좋게 풀고, 좋은 인연이면 더 좋게 만들어야 한다.나쁜 인연이라고 ‘안 되겠구나. 이걸 포기하고 저쪽으로 가야겠다.’인연을 거부할 수 없는 일이다.아무것도, 아무 일도 없는 공(空)의 세계는 다만 '인연'을 따라 꿈처럼, 환영처럼, 신기루처럼 일어나고 사라질 뿐입니다.세상의 흐름은 무아(因緣我)이고 무상(無常)인 인연아((因緣我)로 고정된 실체가 없습니다. 행복과 자유를 얻으려면 나쁜.. 2024. 12. 28. 🙏내일 일은 내일 생각하자 🙏내일 일은 내일 생각하자불안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요?신진대사나 몸의 문제가 정신에 영향을 주면 그럴 수도 있습니다.하지만 많은 경우는 마음이 문제입니다.병원에서 검사를 받을 때, '어떡하지? 죽는 것 아냐?' 하고 미리부터 걱정을 하면 실제로 병에 걸리지 않았어도 병에 걸린 것처럼 반응이 오면서 마음이 불안하고 초조해집니다. 이처럼 걱정과 근심은 미래에 대한 생각에서 옵니다.하지만 사람들은 '미래를 생각 안 할 수 있나?내일도, 모래도, 1년 후도 생각해야 살 수 있지' 하고 생각합니다. 미래를 생각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고, 그 생각에 집착하지 말라는 것입니다.미래에 집착하면 마치 그 일이 일어날 것 같은 착각이 들면서 불안해지기 때문입니다. 걱정을 해서 걱정이 없어지면 걱정이 없겠네. 그러니 '내.. 2024. 12. 27. 🙏거꾸로 든 바가지 🙏거꾸로 든 바가지하늘에서 비가 내릴 때 바가지를 들고 있으면크기에 따라 많이 받기도 하고, 적게 받기도 하지요.그런데하루 종일 바가지를 들고 있어도옷만 젖지 물은 한 방울도 못 받는 사람이 있어요.바가지를 거꾸로 든 사람입니다.이런 사람은 자기 생각에 사로잡혀다른 사람의 말을 귀담아듣지 않고,듣는다 해도 자기식대로 들어요.이 내 식이라고 하는 것,내 생각이라고 하는 것을 접을 수 있어야들리기도 하고 보이기도 합니다. -🙏법륜 스님- 출처: 글쓴이: 🙏향상일로https://cafe.daum.net/seojinam/fGbQ/81 2024. 12. 26. 🙏깨달음 🙏깨달음오늘 인생이 고달픈 것은, 부부관계에 갈등이 있고 자식이 말을 듣지 않으며 말썽을 부리고 사업에 실패하고 그래서 괴롭다면 그것은 궁합도 사주도 전생 탓이 아니라 무지(無知)로부터 모든 괴로움이 생겨난다. 이 무지 즉 어리석음에서 벗어나 진실과 실상((實相))을 보는 것 이것을 우리는 깨달음이라 한다. 그런데 사람들은 깨달음을 복권에 당첨되어 노력도 없이 한 번에 큰돈을 버는 것처럼 한순간에 무엇이 확~터지는 것으로 생각한다. 전생을 보거나 미래가 보이고 무엇이든 아는 허황된 망상과 거짓에서 벗어나 세상의 진실한 모양, 있는 그대로의 모습, 이 실상을 알아차리고 인식하는 이걸 깨달음이라고 한다.-🙏법륜 스님- 출처 : 유튜브 강연 출처: 글쓴이: 🙏향상일로https://cafe.daum.net.. 2024. 12. 23. 🙏하루하루 순간순간이 인생이다. 🙏하루하루 순간순간이 인생이다.인생은 수를 놓는 것과 같습니다.우리가 하루하루 순간순간 겪는 것이 그대로 인생입니다. 수를 놓는 사람에게는꽃을 놓든, 잎을 놓든, 배경을 만들든?다만 한 땀 한 땀일 뿐인 것과 같습니다. 아침에 일어나 시작되는 미래를 알 수 없고하고자 하는 일이 내 마음대로 되지 않습니다. 우리가 어떤 일을 겪든순간순간이 다 소중한 나의 인생입니다.어느 순간도 버릴 것이 없습니다.아무리 똑같은 일이 반복되는 것 같아도 인생에 반복은 없습니다.꽃을 여러 개 수놓는다고 반복이 아닌 것과 같습니다. 오늘만 새롭게 출발하는 것이 아니고 나날이 시시때때로 새롭게 출발합니다. 이 순간, 오늘이 행복하면 늘 행복합니다. -🙏법륜 스님- 출처: 글쓴이: 🙏향상일로https://cafe.daum... 2024. 12. 20. 🙏진실과 진리와 함께하는 종교 🙏진실과 진리와 함께하는 종교사람들은 2,000년간 천동설(天動說)을 비판하고 지동설(地動說)을 믿고 속아 살았다, 1548년 이탈리아 브루노는 가톨릭이 서방을 뒤흔들던 시절 지동설과 범신론을 주장하는 이단자로 몰려 1600년 화형으로 52세로 생을 마감했다. 누가 브루노의 생명은 보상할 수 있는가? 가짜와 사이비 종교에 속지 않기 위해 순간순간 냉철하게 통찰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저 연못에 돌을 던져놓고 떠올라라, 떠올라라, 하고 불공을 올린들 그 무거운 돌이 떠오르겠느냐. 저 흙 속에 잡초 씨앗을 뿌려놓고 쌀이 되어라 쌀이 되어라, 하고 불공을 드린들 잡초 씨앗에서 벼 이삭이 나올 수 있겠느냐?' 불공보다 물에 들어가 돌을 건져내고, 잡초가 아니라 진짜 벼를 심어놓고 김을.. 2024. 12. 19. 🙏인연과(因緣果)의 법칙을 알면 삶이 행복하다. 🙏인연과(因緣果)의 법칙을 알면 삶이 행복하다.우리 불자는 무엇을 믿어야 하며, 이 세상 모든 길흉화복(吉凶禍福)이 어떻게 오는가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우리가 믿고 의지하는 것은 법(法: 진리)으로 어떤 원리이며 법칙이다. 이 세상의 모든 원리는 인연과(因緣果)의 법칙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여러분은 이 세상의 모든 법칙이 인연과(因緣果)의 법칙에 따라 움직이고 있음을 믿고 따라야 한다. 인연의 법칙인 '인(因)'은 씨앗과 같은 것으로 근본이며, '연(緣)'은 조건이며 주변 환경을 말하며, 과(果)는 결과를 말한다. 결과를 먼저 보면 밭에 호박의 싹이 텄으면 어떻게 텄을까? 그것은 씨가 있기 때문에 씨는 인이라 하며, 싹이 트는 것을 인과라 한다. 인이 있어서 과가 생기는 것은 맞는데, 씨앗이 있다.. 2024. 12. 18. 🙏이승과 저승을 오고 가는 반야일구(般若一句) 🙏이승과 저승을 오고 가는 반야일구(般若一句)이승과 저승을 오고 가는 반야일구(般若一句),반야용선(般若龍船)이다. 이승에서 살다가 때가 되면 누구나 저승으로 간다.그때 잊지 않고 해야 할 한마디가 없을까, 뭘 의지해서 저승으로 갈까?이승과 저승에서 두루 통할 수 있는 일구가 도대체 뭘까?그렇다, ‘금강경’이며 ‘반야심경’이고 더 줄여서 ‘나무 마하반야바라밀다’이다. 이 한 구절이면 족하다.어느 곳, 어느 때라도 알맞다.말 그대로 불모(佛母)가 아니신가!그 길에는 부족해도 안 되지만 넘쳐도 안 된다.오로지 영원과 청정의 원만구족이다. 시방삼세(十方三世)에 두루 통하는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의 ‘나무 마하반야바라밀다’이고, 초출(超出)의 일구임에랴. 오래전 불자(佛子), 중국 당대의 측천무후(.. 2024. 12. 17. 🙏왜 사느냐? 그냥 산다. 🙏왜 사느냐? 그냥 산다. -🙏법륜스님 즉문즉설- ▒ 문저는 어릴 때부터 '왜 사는지?'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다른 사람들한테 베푸는 거 거기에 삶의 이유가 있을 거 같고요,그런데 사실 저 자신도 그렇게 베푸는 게 쉽지는 않습니다.그럴 경우에 어느 정도 베풀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 답왜 사느냐? 베풀고 산다.답이 아닙니다.왜 사느냐? 그냥 산다.이게 답이에요.사는 데 이유가 있어서 사는 건 아닙니다.자기가 오늘 저녁에 이유 없다고 살까? 죽을까?사는 데는 이유가 없어요.그런데 여러분은 잘못 생각해요.이유가 있어야 산다?그렇지 않아요.태어날 때 무슨 이유가 있어서 태어나나? 그냥 태어나나?태어나는 게 먼저 있고, 이유 찾는 건 나중에 있어요.존재가 먼저예요. 언제든지.그래서 '왜 사느냐?'.. 2024. 12. 13. 🙏좋은 인연과 나쁜 인연이 정말 있나요? 🙏좋은 인연과 나쁜 인연이 정말 있나요?◼질문: “저는 스님의 법문 중에서 ‘나를 괴롭히러 찾아오는 인연은 없다’라는 말씀에 의문이 생겼습니다. 좋은 인연과 나쁜 인연이라는 것이 정말 있는 게 아닐까요?” ◼🙏법륜 스님: “두 사람이 만나서 나에게 이득이 있으면 ‘좋은 인연’이라 부르는 것이고, 나에게 손해를 끼치면 ‘나쁜 인연’이라고 부르는 것이지, ‘선연(善緣)’이 따로 있고 ‘악연(惡緣)’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서 내가 누군가에게 돈을 빌려줬는데 돈을 못 돌려받았다면, 내 입장에서 상대방은 악연이라고 느껴지겠죠. 그러나 악연이라는 것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그저 돈을 빌려 간 사람이 못 갚았다는 사실이 있을 뿐입니다. 그것을 우리가 악연이라고 이름 짓는 거예요. 우리가 살다 보.. 2024. 12. 12. 🙏인연과(因緣果)의 법칙을 알면 삶이 행복하다. 🙏인연과(因緣果)의 법칙을 알면 삶이 행복하다.우리 불자는 무엇을 믿어야 하며, 이 세상 모든 길흉화복(吉凶禍福)이 어떻게 오는가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우리가 믿고 의지하는 것은 법(法: 진리)으로 어떤 원리이며 법칙이다. 이 세상의 모든 원리는 인연과(因緣果)의 법칙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여러분은 이 세상의 모든 법칙이 인연과(因緣果)의 법칙에 따라 움직이고 있음을 믿고 따라야 한다. 인연의 법칙인 '인(因)'은 씨앗과 같은 것으로 근본이며, '연(緣)'은 조건이며 주변 환경을 말하며, 과(果)는 결과를 말한다. 결과를 먼저 보면 밭에 호박의 싹이 텄으면 어떻게 텄을까? 그것은 씨가 있기 때문에 씨는 인이라 하며, 싹이 트는 것을 인과라 한다. 인이 있어서 과가 생기는 것은 맞는데, 씨앗이 있다.. 2024. 12. 11. 🙏세상을 걸림 없이 살고 싶습니다. 🙏세상을 걸림 없이 살고 싶습니다.◼ 질문저는 어떤 비난이나 칭찬에도 걸림 없이 바람 소리처럼 듣고, 시냇물처럼 걸림 없이 살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가능할지 알려주세요. ◼법륜 스님이렇게 살고 싶다 하면 이렇게 안 됩니다. 아침에 이불 속에서 '일어나고 싶은데 일어나고 싶은데' 이 말은 뭐예요? 일어나기 싫다는 소립니다. '주고 싶은데' 이 말은 '주기 싫다' 이 말입니다. 마찬가지로 '걸림 없이 살고 싶은데' 이 말은 그렇게 살기 싫다는 말입니다. 걸림 없이 살고 싶은데 왜 안 될까? 그래 살기 싫어서 그래요. 지금 착각하고 있는 거예요. 그래서 전도몽상((顚倒夢想))이라고 하는 겁니다. 자기는 '살고 싶은데 안 되는 줄'로 착각하고 있는 겁니다. 남편하고 사이좋게 살고 싶은데 안 된다. 그건 거짓말.. 2024. 12. 10. 🙏편견에서 벗어나 괴로움이 사라지는 ‘깨달음’ 🙏편견에서 벗어나 괴로움이 사라지는 ‘깨달음’편견은 우리가 어떤 사물을 볼 때, 한 면만 보는 거요.만약에 어떤 네모진 통이 있다 그러면 앞면만 보면 직사각형으로 보이겠죠.윗면만 보면 어때요? 정사각형으로 보이겠죠. 그런데 우리는 그 한 면만 보고 이거다, 저거다라고 얘기하는 거요.제가 잘못 본 게 아니라 보기는 사실대로 봤는데 제한되게 봤다.그리고 그걸 가지고 물체의 모양 전체라고 내가 단정 짓는 거요. 이걸 편견 또는 착각이라고 그래요. 그래서 그걸 가지고 문제를 삼는데 저와의 대화는 앞만 보고 있는 분에게 ”뒷면은 어때요?“하고 뒤를 보게 하고, 윗면만 보고 얘기하는 사람에게 ”아랫면은 어때요?“하고 아랫면을 보게 하고, 왼쪽 측면만 보고 있는 사람에게 “오른쪽 측면은 어때요?”하고 오른쪽 측면을.. 2024. 12. 9. 🙏진정한 자유와 행복을 얻는 법 🙏진정한 자유와 행복을 얻는 법질문어떤 어려움이 오더라도 진정한 자유와 행복을 얻을 수 있습니까? 법륜 스님우리는 인생을 살아가면서 여러 가지 문제로 괴로워합니다.자식 때문에, 부모 때문에, 남편과 아내 때문에, 형제나 친척 친구 때문에 괴롭다고 합니다.또 부모가, 자식이나 남편이, 아내가 나를 속박한다고 생각합니다.그래서 이런 괴로움과 속박에서 벗어나고 싶어 합니다. 깨달음을 얻고자 발심한 수행자만 괴로움과 속박에서 벗어나고 싶어 하는 게 아닙니다.사람을 비롯한 생명 가진 존재는 모두 다 이러한 괴로움과 속박에서 벗어나고 싶어 합니다.그런데 실제는 어떤가요?우리는 과연 얼마만큼 이런 괴로움과 속박에서 벗어난 삶을 살고 있나요? 괴로움과 속박에서 벗어나려면, 우선 이런 괴로움과 속박이 어디에서 생겼는지.. 2024. 12. 8. 이전 1 2 3 4 5 6 ··· 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