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다라니기도3994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대비관세음(大悲觀世音)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 6위(位) 심소(心所) 중의 하나. 모든 번뇌로 인해 일어나는 심소를 가리킴. 치(癡), 방일(放逸), 해태(懈怠), 불신(不信), 혼침( 沈), 도거(掉擧) 등 여섯 가지가 있음. 대범천(大梵天) : 색계(色界) 17천의 하나입니다. 또는 대범천의 주인으로 사바세계의 주인도 됩니다. 깊게 불법에 귀의하여 부처님이 세상에 오실 때마다 반드시 맨 처음에 와서 불법을 청하며, 또 백불(白拂)을 가지고 항상 제석 천과 함께 부처님의 좌우에서 모신다고 합니다. 대법(大法) : 사람을 구제하는 광대한 법. 불법(佛法)을 가리킴. 부처님의 가르침을 높여서 부르는 말. 소승의 가르침을 소법(小法)이라고 하는 데에 대해, 대승의 교법을 가리키는 말. 밀교의 대수법(大修法)을 가리킴. 대법장(.. 2018. 7. 6.
대비구(大比丘)-대세지(大勢至) 대비구(大比丘) : 덕이 높은 장로(長老) 비구를 가리킴. 사미(沙彌)에 대해서 비구를 가리키는 말. 대비로자나(大毘盧자那) : 위에서 아래를 골고루 비추시는 위대한 부처님입니다. 대일여래(大日如來) 라고도 합니다. 대비보살(大悲菩薩) : 관세음 보살의 별명. 대비(大悲)는 불보살을 일반적으로 수식하는 대표적인 말. 중생의 고통을 가엾이 여기고 구제해 주는 보살을 통칭하는 말. 대비심(大悲心) : 자비로운 마음과 위대한 동정의 마음을 말합니다. 에서 설하는 삼심(三心) 의 하나입니다. 대비심(大悲心) : 중생을 불쌍히 여겨서 고통으로부터 구제해 주고자 하는 마음. 대비원(大悲願) : 불보살이 모든 중생을 고통에서 구제하고자 서약하는 자비로운 본원(本願). 아미타불의 48원(願)이 대표적인 예이다. 대사(.. 2018. 7. 6.
대세지보살-대승방등경전(大乘方等經典) 대세지보살 : 아미타부처님의 오른쪽에 위치-지혜의 문으로 중생을 제도함, 머리의 보관 내에 보배병을 나타냄-손에는 연꽃을 들거나 합장 모습 대세지보살 (大勢至菩薩) : 범어로는 마하스타마프라프타(Mahasthamaprapta)이며 '대정진' 또는 '득대세대세지'라 번역합니다. 또는 줄여서 대세`세지라고도 합니다. 아미타불에게는 자비문과 지혜문이 있는데, 왼쪽의 보처보살인 관세음보살이 자비문을 맡고 있음에 대하여 대세지보살은 오른쪽의 보처보살로서 지혜문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 보살은 그가 지닌 지혜의 광명으로 일체세계와 일체중생을 두루 비추어 삼도의 고통을 여의고 위없는 깨달음을 향한 보리의 힘을 얻게 하므로 대세지라고 이름합니다. 대수혹 : 불신(不信), 해태懈怠), 방일(放逸), 혼침( 沈), 도거(.. 2018. 7. 6.
대승불교(大乘佛敎)-대웅전(大雄殿) 대승불교(大乘佛敎) : 대승은 마하야나의 번역. 서력 기원 전후부터 인도에서 발흥되기 시작했던 혁신적인 불교 운동. 석가모니 이래로 출가자가 불교 교단의 중심을 차지했으나, 대승 불교 운동 이래로 재가 신자들이 교단 활동의 주체가 되었다. 대승 불교에서는 기존의 불교를 *소승(小乘) 불교라고 불렀으며, 보다 많은 사람들을 구제할 수 있는 이타적(利他的)인 보살행을 강조했다. 특히 대승 불교는 중국, 한국, 일본 등 북방 불교의 주류 사상으로서 큰 발전을 이루었다. 대승비불설(大乘非佛說 : 대승 경전은 석가모니가 설한 것이 아니라는 주장. 일본 강호(江戶) 시대의 사상가였던, 도미나가 나카모토(富永仲基, 1715∼1746년 생존)가 저서 {출정후어}(出定後語)에서 실증적으로 밝힌 내용에서 비롯된 설이다. .. 2018. 7. 6.
대원(大願)-대자대비(大慈大悲) 대원(大願) : 대원은 커다란 바람. 서원. 기원하는 것입니다. 또는 대비원력(大悲願力)의 줄임말 입니다. 일체중생을 구제하려고 하는 대자비(大慈悲)의 아미타불의 본원력으로 아미타불의48가지 소원을 말하기도 합니다. 대원각(大圓覺) : 광대하고 완전한 깨달음, 부처님의 지혜를 말함. 대원경지(大圓鏡智) : 일체종지(一切種智). ①유식(唯識)에서, 4지(智) 중 하나로 꼽는다. 유루(有漏)의 제8식(識)을 통해서 얻는 무루의 지혜로서, 만덕(萬德)을 원만하게 구족하여 모든 법을 깨달아 안 것을 말함. 불과(佛果)에 이르렀을 때 얻게 되는 지혜이다. 대일 여래가 갖추고 있는 5지(智) 중의 하나. 대원력(大願力) : 대원력은 커다란 소원의 힘입니다. 즉 아미타불의 서원(誓願)의 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 2018. 7. 6.
대자은사(大慈恩寺) -대종(大種) 대자은사(大慈恩寺) : 중국 협서성(陜西省) 서안부(西安府)에 자리함. 그 지역의 고대 명칭은 장안(長安)이었다. 648년 당 나라 정관(貞觀) 22년에, 훗날 고종(高宗)이 되었던 황태자 치(治)가 창건했다. 현장(玄 ) 법사가 절의 서북쪽에 세워졌던 번경원( 經院)에 머물렀던 것으로 유명하다. 대자재(大自在) : 대자재는 첫째로 큰 자재. 자재(自在)란 마음이 속박을 벗어나서 무엇인가에 얽매이지 않고 방해 받지 않는 것입니다. 둘째로는 팔자재(八自在). 원래 요가파에서 설한 것을 불교가 채용한 것이고, 셋째로는 대자재천(大自在天) . 세계의 주재신. 주로 시바신을 말합니다. 대자재(大自在) : 매우 큰 자재(自在). 온갖 속박을 다 벗어 버리고 어떤 것에도 구애되지 않고 자유로운 것. 대자재천(大自在.. 2018. 7. 6.
본론(大宗地玄文本論)-대초열지옥(大焦熱地獄) 대종지현문본론(大宗地玄文本論) : 마명(馬鳴)이 저술하고, 진제(眞諦)가 번역한 문헌. 총 20권으로 이루어져 있음. 대좌(臺座) : 불보살 및 비구 등이 앉는 자리를 말합니다. 대좌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그 명칭도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대좌는 부처님이 보리수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을 당시 길상초(吉祥草)를 깔고 결가부좌했던 것에서 유래하는데, 그것이 불상을 만들고 부처님을 장엄함에 따라 금강보좌(金剛寶座)란 상징의미를 지니게 되고 따라서 대좌는 여러 가지 형식을 나타내게 되었습니다. 대좌의 종류에는 사자좌(獅子座)와 연화좌(蓮花座)가 가장 보편적이며, 그 밖의 대좌로는 방좌(方座)·상현좌(裳懸座)· 연화좌(蓮花座)· 생령좌(生靈座) 등이 있습니다. 대주간정중경목록 : 전체 15권. 695년에 명전(明.. 2018. 7. 6.
대통지승불-덕왕관음(德王觀音) 대통지승불 : 범어로는 마하비즈냐즈냐나비부(Mahabhijna-jnanabhibhu)이며 대통중혜여래(대통중혜여래)라고도 합니다. 과거 한량없고 끝없는 불가사의 아승지겁의 부처님입니다. 이 부처님의 수명은 540만억 나유타겁이나 됩니다. 처음 도량에 있으면서 마군을 물리치고 최상의 깨달음을 얻으려 했지만 쉽지 않았습니다. 이에 대통지승불은 10소겁 동안 가부좌를 틀고 앉아 몸과 마음을 움직이지 않았으나 불법을 이루지 못했습니다. 그때 도리천에서 대통지승불을 위해 사자좌를 보리수 아래에 폈습니다. 그 자리에서 10소겁 동안 다시 부동자세로 앉아 선정에 든 뒤 최상의 깨달음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대통지승불은 출가 전에는 전륜성왕이었고 16명의 아들이 있었습니다. 부왕이 성도하여 대통지승불이 되자 아들들은 부.. 2018. 7. 6.
덕운비구(德雲比丘) -도량(道場) 덕운비구(德雲比丘) : 선재동자가 지혜와 행을 묻기 위해 방문한 53선지식 가운데 2번째 선지식. 그는 선재동자에게 '모든 부처님의 경계, 지혜 광명을 널리 보았음을 기 억하는 법문'을 설하였다 덕차시라(德叉尸羅) : 타크샤쉴라의 음역. 석실(石室)이라 번역함. 고대 북인도에 자리했던 나라 이름. 왕사성의 북쪽, *건타라국의 동남쪽, 가습미라국의 서남쪽에 자리했다. 고대 인도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한때 대승 불교가 성행했다. 일찍이 건타라국의 속지(屬地)였으나, 현장(玄 )이 갔을 당시에는 가습미라국에 예속되어 있었다고 전한다. 현재 인도의 펀자브(Punjab) 지방의 북쪽, 파키스탄의 영토인 라왈핀디(Rawalpindi) 지역이 해당한다. 덕청(德淸) : 중국 명대(明代)의 학승. 금릉(金陵) 전초(全.. 2018. 7. 6.
도량(道場)-도신(道信) 도량(道場) : 석가모니가 성도하던 당시 보리수 아래 앉아 있었던 자리 근처, 즉 금강 보좌를 말함. 불도를 수행하는 곳을 뜻함. 부처님에게 공양을 올리는 장소, 또는 여러 가지 불교의 의식을 행하는 청정한 곳을 통칭하는 말. 도량관(道場觀) : 밀교 행법의 하나로서, 본존(本尊)을 봉안해 놓은 도량을 관하는 것. 기계관(器界觀), 누각관(樓閣觀), 만다라관(曼茶羅觀) 등 세 가지가 있다. 도량석(道場釋) : 새벽 어느 절에서나 들을 수 있는 목탁 소리는 천지만물이 깊은 잠에 빠져 있는 첫 새벽의 소리로 잠들어 있는 유정(有情), 무정(無情)의 일체 생명들이 법음을 듣고 미망에서 깨어나라고 하는 소리입니다. 이것을 도량석이라고 하고 새벽 예불을 모시기에 앞에 행하는 의식입니다. 도량이란 불도를 닦고, 불.. 2018. 7. 6.
도안(道安)-도피안법(到彼岸法) 도안(道安) : 사람 이름. 동진(東晋) 시대 때 생존. 상산(常山) 부류(扶柳) 출신. 12세 때 출가하여, 불도징(佛圖澄)에게 사사받았다. 385년 2월 72세 때 입적했다. 세간에서는 미천(彌天) 도안(道安)이라 불렀다. 수많은 경전 번역과 저술을 남겼다. 도안(道眼) : 도를 닦아서 얻게 된 눈. 모든 법의 실상(實相)을 꿰뚫어 보는 눈. 도의(道意) : 무상도(無上道)를 구하는 보리심(菩提心). 불도(佛道)를 닦고자 하는 뜻. 도심(道心). 도인(道人) : 불도에 입문하여 수행하는 이. 득도인(得度人). 속인(俗人). 속계(俗界)에 살면서 선도(仙道)를 닦는 이. 도작(道綽) : 사람 이름. 수당(隋唐) 시대 때 생존. 성은 위(衛)씨. 562년에 출생하여 645년 4월 24일 84세의 나이로 .. 2018. 7. 6.
도행반야경(道行般若經)-동냥 도행반야경(道行般若經) : 후한(後漢) 시대 때 지루가참(支婁迦讖)이 번역. 총 10권으로 이루어져 있음. 반야경(般若經)의 번역본들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독각승(獨覺乘) : 삼승(三乘)의 하나. 독각의 실천법. 혼자의 힘으로 깨달음을 성취해 가는 입장. 독송(讀誦) : 문자(文字)를 보고 소리 내어 읽거나, 외운 다음에 암송하는 것 독자부(犢子部) : 소승 20부파 중의 하나. 불멸 후 300년경에 설일체유부에서 분파되었다. 만유(萬有)를 유위(有爲)의 3세(世), 무위(無爲), 불가설(不可說)의 5장(藏) 등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비즉비리온(非卽非離蘊)의 아(我)를 주장했기 때문에, 불교 본래의 무아설에 배치된다는 비판을 받았다. 돈교(頓敎) : 법문(法門)을 듣는 즉시 단박에, 또는 빠르게 .. 2018. 7. 6.
동녀(童女)-동진(童眞) 동녀(童女) : 대략 4세 이상부터 20세 이하의 여자.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10세 내지 12세 가량의 초경(初經) 전의 아이에 한정하는 것이 상례이다. 동자(童子)에 대칭되는 말이다. 동류인(同類因) : 6인(因)의 하나. 원인과 결과가 그 성질을 같이 할 경우의 원인. 이것의 결과는 *등류과. 일체가 찰나멸임에도 불구하고 같은 상태가 계속되는 것처럼 생각되는 것은 모두 이 동류인과 등류과의 상속 때문이다. 동사섭(同事攝) : 4섭(攝)의 하나. 불留말裏?중생의 근기에 따라 몸을 나타내되, 그들과 사업?이익을 같이하면서, 고락을 같이하고 화복을 함께함으로써 진리의 길로 이끌어 들이는 것을 말합니다. 동산종(東山宗) : 선종의 제4조인 도신(道信, 580~ 651) 에 의해 성립된 종파입니다. 달마 이후.. 2018. 7. 6.
동체대비(同體大悲) -등류신(等流身) 동체대비(同體大悲) : 대자비(大慈悲). 중생과 자기는 동일체로 본 것에서 기인하기 때문에 이렇게 부릅니다. 둘째, 모든 부처님의 자비는, 말하자면 사람들을 극락정토에 태어나게 하려고 하기 때문에, 그것은 아미타불의 자비와 본질을 같이 하고 있는 것입니다. 두타(頭陀) : 산스크리트어 두타(dhuta)의 음역으로 번뇌의 때를 벗고 의식주에 관한 탐욕을 갖지 않고 오로지 불도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이 두타의 생활규범에는 다음 12조항이 있습니다. 첫째, 인가와 떨어진 조용한 곳에 머무를 것. 둘째, 항상 걸식을 할 것. 셋째, 걸식할 때 빈부를 가리지 말고 차례대로 걸식할 것. 넷째, 하루에 한 번만 먹을 것. 다섯째, 과식하지 말 것. 여섯째, 정오 이후에는 과실즙이나 설탕 따위도 먹지 말 것. 일곱째,.. 2018. 7. 6.
등명불-라마야나(Ramayana) 등명불 : 일월등명불(일월등명불)이라고도 합니다. 범어로는 찬드라수르아프라디파(Candra-Surya-Pradipa)입니다. 과거세에는 2만 명의 일월등명불이 있었습니다. 이 2만 명의 일월등명불이 차레로 세상에 출현하였지만 성(姓)이 모두 동일한 '바라타'엿으며 설하신 법문도 처음이나 중간 그리고 맨 나중에 모두 여실하였다고 합니다. 일월등명불은 문수보살이 본생에 모시던 부처님, 문수보살의 본사였습니다. 일월등명불이 2만여 분이었는데 그 가운데 마지막 부처님, 즉 2만번째의 일월등명불이 문수보살의 본사입니다. 이 부처님에게는 출가하기 전에 8명의 왕자가 있었습니다. 여덟 명의 왕자는 모두 통솔력과 덕을 갖추어 4천하를 다스렸습니다. 아버지 일월등명불이 출가하여 도를 이루고 부처님이 되자, 이 길을 사모.. 2018. 7. 6.
라마왕(羅摩王)-마군(魔軍) 라마왕(羅摩王) : 邏摩王이라고도 함. 사람 이름. 고대 인도의 성왕(聖王) 이름. 서사시(敍事詩)인 라마야나(R m ya a)의 주인공. 중인도 아유다(阿踰陀, Ayodhy )의 왕이었다. 라훌라 : 석가모니의 *십대제자 중의 한 사람인 *나후라의 원어. 로지나 : 꽃 이름 룸비니(藍毘尼) : 석존이 태어난 곳으로 중인도 카탈라성의 동쪽에 있던 꽃동상. 지금의 연합주 지방 코라쓰크풀주의 불쪽에 해당합니다 리그베다 : 고대 인도에는 4가지 베다가 있었는 데 이 중의 하나이다. 천지 자연에 대한 찬탄과 그 기원을 나타낸 종교적 찬가와 세속적 인 시가(詩歌)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바라문교의 근본 성전으로 고대 인도를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마(魔) : 악마. 마왕. 욕계(欲界)를 지배하는 제6천(第六天.. 2018. 7. 6.
마궁(魔宮)-마등가(摩登伽) 마궁(魔宮) : 천마(天魔)가 거처하는 궁전. 마나사용왕(摩那斯龍王) : 구위용왕(具威龍王)이라고 함. 불교를 수행하는 팔부신중 중의 하나. 마나타 : 참회법의 일종으로, 참회(懺悔) 하는 것에 의해 대중의 마음을 기쁘게 하는 것이라고 해석되고, 여섯밤을 제한하여 따로 산 후에 더 주어지는 것이다. 이 동안은 여러가지 수행자가 닦아야할 교법(行法) 을 부과 받고, 승잔의 죄를 범한 비구는 이것을 행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마납(摩納) : 마나바, 또는 마나바카의 음역. 마납바(摩納婆), 마납바가(摩納婆迦), 마납박가(摩納縛迦), 나라마나(那羅摩那), 유동(儒童), 연소(年少), 정행인(淨行人), 장자(長者). ①연소자(年少者)를 가리킴. 외도(外道)의 일파에서 주장하는 것으로서, 몸 안에 있는 승묘한 아체.. 2018. 7. 6.
마등가경(摩登伽經)-마음장상(馬陰藏相) 마등가경(摩登伽經) : 오(吳) 나라 때 축율염(竺律炎), 지겸(支謙)이 공역. 총 2권으로 이루어짐. 부처님이 마등가녀(摩登伽女)를 제도한 인연이 들어 있다. 마등기(摩登祇) : 범어(梵語) Matangi :고대 인도에서 가장 천하게 여긴 種姓(종성)의 여자(女)를 가르키는 이름이며 남자는 "마등가"라 한다. 그들 가운데 "발길제(鉢吉帝:prakrti)"는 여인이 "아난존자"를 보고 부정한 마음을 일으켜 요사스러운 주술로서 아난을 유인하여 자기 방에 붙잡아 두었다. 그때 "문수보살"이 頂光神呪(정광신주)로서 "아난"을 구해 내었다. 그 여인은 마침내 머리를 깍고 "기원정사"에가서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곧 깨쳐 아라한이 되었다고 한다. ("능엄경") 마랑부관음(馬朗婦觀音) : [불조통기]에 나오는 얘기에.. 2018. 7. 6.
마음집중-마하살타 마음집중 : 대념처경(大念處經)에 설해져 있는 수행법으로, 네 가지 대상, 즉 몸?느낌(감각) 琉뗌?榴媤?身受心法: 신수심법) 의 사념처(四念處)에 마음을 집중?밀착시켜서 그것들에서 일어나고 사라지는 제반 현상을 예리하게 관찰하는 수행법입니다. 안반수의경(安般隨意經)에도 호흡에 마음을 집중시키는 수행법이 보입니다. 마정(摩頂) : 부처님이 수기(授記)할 때 중생의 정수리를 만지면서 불과(佛果)의 완성을 예언하는 경우. 마정수기(摩頂授記). 부처님이 불법의 홍포를 부탁하면서 제자의 정수리를 만지는 것. 마조(馬祖) : 사람 이름. 중국 한주(漢州)의 집방(什 ) 출신. 성이 마(馬)씨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 당 나라 때 대적(大寂) 선사(禪師) 도일(道一)을 가리킴. 어린 나이에 자주(資州)의 당(唐) .. 2018. 7. 6.
마하지관(摩訶止觀)-만수실리(曼殊室利) 마하지관(摩訶止觀) : 불교 천태종에서 법화경의 삼대 주석서의 하나. 중국 수 나라의 천태지의 대사가 구술한 것을 장안이 기록한 책으로 천태종의 관심, 수행을 설명했음. 마하파사파제(摩訶波 波提) : 마하프라자파티의 음역. 사람 이름. 구리성(拘利城)의 선각왕(善覺王)의 딸이며, 마하마야 부인의 여동생. 마하마야 부인이 석가모니를 낳고 죽은 뒤에, 정반왕의 부인이 되었다. 석가모니를 양육했으며, 난다(難陀)를 낳았다. 정반왕이 죽은 뒤에는 출가하여, 불교 교단 최초의 비구니가 되었다. 석가모니가 입멸하기 석 달 전에 비야리성(毗耶離城)에서 입적했다 마후라가(mahoraga) : 팔부신중의 하나. 몸은 사람과 같고 머리는 뱀이 라고 하며 용의 무리에 속하는 악신이며 묘신(廟神)이라고도 함. 마후라가(摩 羅.. 2018. 7. 6.
만월(滿月)-망명보살(網明菩薩) 만월(滿月) 보살 : 둥근 달과 같이 공덕이 원만하고 상호가 원만한 보살로서 밝은 빛을 모든 중생에게 골고루 비춰 준다. 관음 보살의 화신임. 말나(末那) : 마나스의 음역. 의식(意識), 사량(思量)의 뜻. 마나( 那). ①유식설(唯識說)에서 분류하는 심식의 일종. ⇒ 말나식(末那識). 넓은 의미로 지적 작용이나 정신, 심정(心情)을 가리킴. 말라(末羅) : 고대 인도의 구시나성(拘尸那城)에 살던 종족의 이름. 역사라고도 번역함 말라식(末那識) : 유식파에서 말하는, 심층에서 작용하는 자아 집착심. 팔식(八識)의 하나로, 제칠식에 해당함. 항심사량(恒審思量) 즉 수면 중이나 깨어 있을 때나 항상 그침이 없고, 생사 윤회하는 한 마음의 심층에서 그침 없이 작용하는 사고의 작용. 말리(末利) : 말리카의 .. 2018. 7. 6.
망상(妄想)-멸진삼매(滅盡三昧) 망상(妄想) : 범어 'vikalpa'의 번역으로 분별(分別)이라고도 번역합니다. 그릇된 견해 , 진리에 어긋난 허망무실 한 상념. 미혹. 올바르지 못한 생각. 진실하지 않은 것을 진실하다고 잘못 생각하는 것을 말합니다. 거짓된 것, 실체가 없는 것으로 생각해낸 모든 것이란 뜻입니다. 미망(迷妄)한 마음으로 집착한 상념들의 뜻입니다. 비슷한 용어로 망상분별· 허망분별· 망상전도 등이 있습니다. 마음의 집착으로 인하여 사물의 본디 모습을 분각하지 못하고 함부로 잘못 생각하는 것을 망상이라고 합니다. 망상은 정신분석학적으로 보면 정신이상에서 오는 망령된 생각으로 잘못된 생각을 옳다고 주장하는 증세라고 합니다. 이치에 맞지 않는 그릇된 생각,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잘못된 견해, 그것이 바로 망상입니다. .. 2018. 7. 6.
멸진정(滅盡定)-명전 멸진정(滅盡定) : 오온(五蘊)중의 수(受). 상(想)에 의해 일어나는 일체 소연(一切所緣)에 의한 마음의 작용을 그치개한 선정. 명부전(冥府殿) : 명부전 안에는 지장보살을 봉안하고 있기 때문에 地藏殿이라고 하며, 幽冥 界의 심판관인 십왕(十王)을 봉안하기 때문에 십왕전(十王殿)이라고도 합니다. 명부전은 사찰 내의 불전들 중에서 그 격이 한 단계 떨어지므로 건물의 크기나 양식도 주불전과는 차이가 나는 것이 보통입니다. 전각 내의 배치에서도 차이가 납니다. 즉 대웅전 등에는 중앙의 불단 위에 불상을 봉안하나 명부전에는 중앙에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왼쪽에 도명존자를 , 오른쪽에는 무독귀왕을 봉안하고 그 좌우에 명부시왕상流오迷站판관 2인柳而 ·2인戮掠?2인을 ㄷ 자형으로 배치하게 됩니다. 명비(明妃) : 다라.. 2018. 7. 6.
명주(明珠)-목견련자제수 명주(明珠) : 명월(明月) 마니(摩尼)라고도 함. 보주(寶珠)의 빛이 밝은 달과 같으므로 이와 같이 말함. 명지거사(明智居士) : 선재동자가 보살의 지혜와 행을 묻기 위하여 방 문한 53선지식 가운데 15번째 선지식이다. 명지거사는 선재동 자에게 뜻에 따라 복덕장을 내는 해탈문을 설하였다. 명탁(命濁) : 오탁의 하나. 사람의 수명이 100년을 넘기지 못하도록 짧은 것. 명행족 : 지혜와 행동이 완전하신 분 명행족(明行足) : 석가모니를 부르는 열 가지 호칭 중 하나. 밝은 지혜와 실천을 구현한 이라는 뜻. 명호(名號) : 이름, 명자(名字), 명(名). 주로 불보살의 칭호를 가리킴. 명(名)은 부처의 별명을 말하고, 호(號)는 부처의 통명(通名)을 가리킴. 원행(願行)을 이루어 주는 염불의 하나인 '.. 2018. 7. 6.
목련경(目連經)-묘경(妙境) 목련경(目連經) : 목건련이 지옥에 떨어진 그의 어머니를 구하는 것을 말한 경문으로, 음력 백중날 이 경을 읽고 기도하지요 목어(木魚) : 목어는 나무를 깍아 잉어 모양을 만들고 속이 비게 파내어 안쪽의 양 벽을 나무 막대기로 두드려 소리를 내는 법구입니다. 물 속의 중생을 제도하고 게으른 수행자를 경책하는 뜻이 담긴 목어는 조석예불 염불 독경 때 쓰는 사물의 하나로서, 대를 알리기 위해서도 사용됩니다. 중국의 선원(禪院)에서는 아침 죽 때와 낮의 밥 때에 쓰던 것입니다. 어고(魚鼓) ·목어고(木魚鼓) ·어판(魚板) 또는 '나'라고도 하며, 사찰에서 물고기 모양의 목어를 두드리는 데는 두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권하 , 목어조(木魚條)에 보면 물고기는 밤에도 눈을 뜨고 있으므로 수행자로 하여금 잠을 자지.. 2018. 7. 6.
묘과(妙果)-무견정상(無見頂相) 묘과(妙果) : 오묘하게 얻어진 특수한 결과. 보리(菩提), 열반(涅槃)을 일컬음. 묘관찰지(妙觀察智) : 유루(有漏)의 제6식(識)을 통해서 얻게 되는 지혜. 불가사의한 힘으로 모든 법을 관찰하여 설법하는 지혜. *4지(智), *5지(智) 중의 하나. 묘법(妙法) : 심원미묘(深遠微妙)한 도리. 이법(理法) 특별한 진리. 바른 이법, 부처님의 가르침. 고귀하고 뛰어난 가르침입니다.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 우리가 이라고 하는 것은 이의 약칭입니다. 이 경은 모든 불교경전 중 가장 넓은 지역과 많은 민족들에 의해서 수지(受持) 애호된 대승경전 중의 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묘용(妙用) : 교묘한 활용. 신묘(神妙)한 것. 묘음(妙音) : 고샤의 번역. 사람 이름. 생존 연대 미상. 북인도 출신의 학승.. 2018. 7. 6.
무근(無根)-무량수불(無量壽佛) 무근(無根) : 근(根)은 기관(器官), 능력이라는 뜻이 있으므로 불교에서 무근은 기관과 능력이 결핍된 상태를 말하는데 다음 3가지 경 우를 뜻한다. 1, 근거가 없는 것(허위). 2, 신근(信根)이 없는 것 (신앙이 없는 것). 3, 남근, 여근이 없는 것(출가 자격이 없는 것). 무기(無記) 왕생(往生) : 4종 왕생의 하나. 평생 동안 신심(信心)을 내어 아미타불의 구도(救度)를 받던 이는 임종 때에 무심 상태에 빠져서 그대로 절명하더라도 반드시 극락 세계에 왕생하게 되는 것. 무념(無念) : 무념이란 산란한 마음을 가라앉혀 도를 닦는 선으로 정선(定善)을 말합니다. 무념무상(無念無想) : 완전히 무아(無我)의 경지에 달한 상태 즉, 무심(無心)과 동일하여, 아무 생각도 없는 것, 사려가 없는 것을.. 2018. 7. 6.
무량정천(無量淨天)-무상사(無上士) 무량정천(無量淨天) : 색계의 3선천(禪天) 중 제 2천. 마음에 즐거운 감각이 있으며, 그 아래 선천보다 승묘함이 헤아릴 수 없기에 무량정천이라 함. 무루업(無漏業) : 번뇌가 없는 업입니다 즉, 과오를 일으키는 힘을 동반하지 않는 행위입니다. 추악함이 없는 업(業)입니다. 여기에서 번뇌란 나쁜 마음의 작용 입니다. 번요뇌란(煩擾惱亂)의 뜻으로, 고민걱정이나 몸과 마음을 번거롭게 하고 괴롭히거나 성기시게 하는 작용을 말합니다. 근원적인 번뇌에는 3독이있는 데 3독(三毒)이란, 탐(貪)·진(瞋)·치(癡) 라는 세 가지의 마음의 독을 말하는 데 즉, 탐내는 마음 , 성내는 마음, 어리석은 마음을 말합니다. 이 번뇌를 모두 녹여야만 성불할 수 있는 것입니다. 무명(無明) : 인간의 근본적인 무지로서 가장 근.. 2018. 7. 6.
무상승장자(無上勝長者)-무소외(無所畏) 무상승장자(無上勝長者) : 선재동자가 보살의 지혜와 행을 묻기 위해서 방문한 24번쌔 선지식. 그는 선재동자에게 "일체처에 이르러 닦는 보살의 청정한 법운"을 설한다. 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 : 무상정등보리(無上正等菩提). 무상정각(無上正覺). 무상정진도(無上正眞道) : 바르고 참된 이치. 무상정각(無上正覺), 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 정진도(正眞道). 무색계(無色界) : 삼계(三界)의 하나.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세계. 비물질성의 세계 즉, 물질을 초월한 세계. 순수히 정신적인 영역. 육체를 갖지 않고 정신적 요소만으로 되는 세계. 신체?궁전 등과 같은 물질적인 것이 없고 수(受) 상(想) 행(行) 식(識) 이라는 네 가지의 구성요소만으로 되는 세계입니다. 무색계에는 네 가지의 영역이 있는데, .. 2018. 7. 6.
무소유-무쌍석덕(無雙碩德) 무소유 : 공(空)의 별칭. 무소득(無所得). 어떤 재물도 소유하지 않는 것. 무승국(無勝國) : 열반경에 나오는 석가여래의 정토 이름. 서쪽으로 수많은 불국토를 지난 곳에 있다고 함. 무시공(無始空) : 어떠한 것도 그 시작을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 18공(空)의 하나입니다. 인과의 이치로 추론하면 세간의 물건은 모두 시초가 없지만, 지혜의 눈으로 관할 때에는 모든 법이 공하여 시초가 없다는 상(相)도 결국에는 있을 수 없으므로 이같이 이릅니다. 무시무명(無始無明) : 무시(無始)의 시간이래 존재하는 무명(無明)입니다. 생사유전(生死流轉)의 근원이 되는 무명(無明)은 항상 존재하고 있어 그 기원이 없는 것을 나타냅니다. 무시무식(無示無識) : 궁극의 진리는 개념과 사상으로 나타내거나 이해하는 것은 불.. 2018.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