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법과 동행을3005

안거 卍-안거-卍 안거는 범어 바르사(Varsa)의 번역으로 우기(雨期) 장마철이라는 뜻을 가진 말이며 지금의 결제를 뜻한다. 고대 인도의 수행자들은 여름 비 오는 계절 동안 활동에 의하여 무의식적으로 저질러지는 살생을 막기 위해 일정한 장소에서 생활하게 되어 있었다. 그런데도 초기 불교 .. 2018. 6. 29.
여래십호(如來十號) 卍-여래십호(如來十號)-卍 먼저 여래십호(如來十號) 를 말씀드리기 전에 불자들이라면 부처님과 교법과 승단에 대해 부서서지 않을 청정한 신앙심을 확립해야 한다고 요청받는데, 그 중 부처님을 신앙하라고 하는 것이 첫 번째이다. 그러면 부처님에 대한 신앙은 과연 어떻게 하는 것인.. 2018. 6. 29.
천왕문과 사천왕 卍-천왕문과 사천왕-卍 1. 천왕문(天王門) : 천왕문은 해탈교를 지나 일주문의 첫 관문을 지나면 두 번째 관문인 천왕문을 만나게 되지요. 천왕은 모든 귀신들의 왕이며 불법을 수호 하는 힘을 가진 하늘의 왕입니다. 원래는 천상계의 모든 귀신들을 거느리고 부처님을 괴롭혔으나, 부처님.. 2018. 6. 29.
발원, 회향 卍-발원, 회향-卍 발원은 보살이 상구보리하화중생을 위해 원을 세우는 것을 말하며 회향은 자신이 쌓은 수행공덕을 일체중생에게 돌리는 것이다. 즉, 모든 수행의 공덕을 자기에게 돌아오기를 바라지 않고 일체중생을 위해 발원하고 회향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작은 소득은 있으나 .. 2018. 6. 29.
참회 卍-참회-卍 수행자는 첫째 자신을 바꾸려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 변화의 첫 신호가 무엇이겠는가. 바로 과거 자신이 저질러온 잘못에 대한 참회이다. 그리고 그대로 살아간다면 현재는 물론 앞으로도 계속해서 저질러질 잘못에 대한 참회이다. 참회란 잘못에 대해 크게 뉘우치.. 2018. 6. 29.
권청 卍-권청-卍 불법을 배우기 위해서는 목숨을 아끼지 않고 청해서 들어야 한다. 권청은 불법이 널리 퍼지게 하는 공덕이 있으며 자신은 불법을 듣게 되는 공덕이 있다. 법문을 청하지 않는 이유는 진리에 관심이 없거나 아니면 저 사람보다 내가 더 낫다는 자만심 때문이다. 나에게 깨달음.. 2018. 6. 29.
수희 卍-수희-卍 수희는 다른 사람의 공덕을 보고 함께 기뻐하는 것이다. 경전에서는 보시의 공덕을 설하면서 다른 사람이 보시하는 것을 보고 함께 기뻐하면 그 공덕이 더 크다고 하였다. 따라서 수희는 다른 어떤 수행방법보다 손쉽게 공덕을 쌓을 수 있는 수행법이지만 또한 쉽지 않은 것이.. 2018. 6. 29.
보시, 공양 卍-보시, 공양-卍 예배와 함께 일상적으로 해야 할 수행법이 공양이다. 공양은 삼보께 공경하는 마음으로 바치는 모든 것이다. 원래는 스님들이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장소, 음식, 옷, 의약품 등을 제공하는 것이었는데, 대승불교에 이르러서는 삼보가 예배의 대상이 되고 신앙의 대상이 되.. 2018. 6. 29.
예배 卍-예배-卍 기초수행법은 수행자가 일상 속에서 늘 견지해야하는 수행법이면서 아직 본격적인 수행법을 익히기 전에 쉽게 배우고 익힐 수 있는 수행법이다. 즉, 부처님께 예배하고 공양하며 자신의 잘못을 참회하는 것, 공덕이 있는 곳에 함게 기뻐하며, 언제나 법을 청하여 듣고 일체중.. 2018. 6. 29.
삼십이상 卍-삼십이상-卍 32상(三十二相) : 원어는 Dv tri atmah puru -lak a ni. 보통 사람과 다른 부처님이 가지고 계신 32가지의 훌륭한 상을 말한다. 32대인상 또는 32대장부상이라고도 한다. 이 상을 갖춘 사람은 세간에서는 전륜성왕이 되고 출세간에서는 부처가 된다고 한다. 부처가 갖춘 32상이란 다음.. 2018. 6. 29.
오체투지(五體投地)하는 법 * 卍-오체투지(五體投地)하는 법-卍 불자가 삼보께 올리는 절은 오체투지(五體投地)의 큰절을 원칙으로 한다. 이 오체투지(五體投地)의 예는 자신을 무한히 낮추면서 상대방에게 최대의 존경을 표하는 몸의 동작으로서 가장 경건한 예법이다. 진정한 예배는 마음속의 교만함이 없어야 하는.. 2018. 6. 29.
우슬착지(右膝着地) 卍-우슬착지(右膝着地)-卍 맨 땅위에서 부처님께 예배 올릴 때 있으며 합장한 자세로 반배 후 왼발은 앞으로 내딛고 오른쪽 무릎을 땅에 붙이고 오른쪽 발끝은 땅을 버티게 하여 왼쪽 무릎을 세우고 왼쪽 발은 땅을 밟고 있는 자세이다. 합장한 후 고개 숙여 예배한 후 조용히 일어나 두발.. 2018. 6. 29.
고두례(叩頭禮) 卍-고두례(叩頭禮)-卍 고두례(叩頭禮)는 예배의 마지막 끝에 이를 표시하는 고두(叩頭)를 하게 되는데 유원반배(惟願半拜)라고도 하며 무수히 예경 하고싶은 심정은 간절하나 절을 이것으로 마치게 되는 아쉬움을 표하는 예법이라 할 수 있다. 고두례(叩頭禮)는 큰절의 마지막번째 절을 .. 2018. 6. 29.
도량에서의 몸가짐 卍-도량에서의 몸가짐-卍 ① 도량 안에서는 집에 들어갈 때까지 엄숙 단정하게 정진해야 한다. ② 신을 꺾어 신거나 소리를 내어 끌지 말고 조용히 다녀야 한다. ③ 세속적인 화제로 신성한 도량을 시끄럽게 하거나 소란을 피워서는 안 된다. ④ 스님을 뵙거나 불자끼리 만났을 경우 합장.. 2018. 6. 29.
스님에 대한 예절* 卍-스님에 대한 예절-卍 우리가 귀의하고 존경하는 삼보 중에서 가장 가까이 대화하고 가르침을 받고 친근할 수 있는 대상이 스님이다. 그래서 일상생활에서 가벼이 생각하여 결례를 범하는 경우가 있다. 스님이 사회의 연령으로 자신보다 나이가 어리다 하더라도 삼보이기 때문에 공경.. 2018. 6. 29.
경전(經典)을 대하는 태도 * 卍-경전(經典)을 대하는 태도-卍 경전은 삼보 가운데 하나인 법보(法寶)이며 부처님의 진리가 담긴 책으로 항상 소중히 간직해야 한다. 경전에 먼지나 더러운 것이 묻어 있을 경우 입으로 불어 털지 말고 깨끗한 수건으로 잘 닦아내야 하며 더러운 손으로 만져서는 안 된다. 또한 경전 위.. 2018. 6. 29.
법회에 임하는 자세 卍-법회에 임하는 자세-卍 불교의식을 예불의식, 헌공의식, 법회의식, 천도의식으로 구분하여 법사의 법문을 듣는 일반법회나 5계법회 등을 법회의식이라 하기도 하나 어떤 의미로는 불교의 모든 의식을 통칭하여 법회라 한다. 법회는 법당에서 봉행하기도 하는데 이를 야외법회라 한다... 2018. 6. 29.
공양(供養)의 의의(意義) 卍-공양(供養)의 의의(意義)-卍 식사하는 것을 공양이라 하는데 불자는 공양의 의미를 일반과 달리 생각하여야 한다. 특히 공양을 하는 것은 배를 채우고 맛을 돋우기 위해서가 아니라 삼보와 사중의 은혜를 갚고 삼도중생의 고통을 건지기 위하여 먹고 마신다는 생각을 갖는다. 주간으로.. 2018. 6. 29.
반배하는 법 卍-반배하는 법-卍 합장은 고대(古代)인도에서 행하던 인사법으로 산란한 마음을 한데 모아 부처님의 마음에 합일(合一)시킨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불자가 삼보께 예경 올리는 절은 오체투지의 큰절이 원칙이지만 장소와 사정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반배를 한다. ① 절의 입구에서 법.. 2018. 6. 29.
합장하는 법 卍-합장하는 법-卍 합장은 일심을 뜻하고 예배는 공경의 표시로서 아상(我想)과 교만심을 극복하는 수행이기도 하다. 합장은 두 손바닥을 마주 합하는 자세인데 두 손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밀착시켜야 한다. 그리고 두 손 각각 다섯 개의 손가락이 연꽃잎처럼 서로 밀착되어야 하고.. 2018. 6. 29.
법당 출입법 卍-법당 출입법-卍 사원에 들어서면 먼저 법당에 들어가서 부처님전에 참배를 드려야 한다. 법당에 올라가는 계단은 되도록 좌우계단을 이용하며 법당 중앙문을 어간문(御間門)이라 하는데 법당에 들어갈 때에는 법당 중앙 문을 피하여 좌, 우측 문을 이용하여야 한다. 언제나 공손히 문.. 2018. 6. 29.
불교의 우주관 卍-불교의 우주관-卍 불교의 우주관으로는 하나의 세계가 성립되고(成) 지속되고(住) 파괴되고(壞) 사라진(空) 후, 또 다른 하나의 세계가 성립되고, 지속되고, 파괴되고, 사라지는 과정을 成(성), 住(주), 壞(괴), 空(공) 이라는 네시기(4時期)를 나누어 4겁(劫)으로써 우주의 생멸 변화를 시.. 2018. 6. 29.
풍경 卍-풍경-卍 풍경은 불탑의 처마 또는 지붕 부분에 매달아 소리를 나게 하는 장업불구의 하나입니다. 풍령(風鈴)또는 풍탁(風鐸)이라고도 합니다. 요령이 손으로 흔들어서 소리를 내는 데 반하여 풍경은 바람에 흔들려서 소리를 내는 것이 다릅니다. 특히 풍경은 경세(警世)의 의미를 지닌 .. 2018. 6. 29.
목탁과 염주의 유래 卍-목탁과 염주의 유래-卍 우리 나라 사찰(寺刹)마다 사용하는 목탁(木鐸)을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목어(木魚)라 합니다. 목탁이란 말은 불교에서 유래 된 것이 아니라 본시(本始) 유교(儒敎)에서 전래(傳來)된 것입니다. 그러나 중국의 목탁은 우리 나라 사찰에서 사용하는 요령처럼 생기.. 2018. 6. 29.
백팔배의 의미 * 卍-백팔배의 의미-卍 (1)108 번뇌란? 중생의 번뇌 수효가 108개라는 데에서 유래한 것으로 번뇌의 수를 많이 잡으면 8만 4천 번뇌이고, 적게 잡으면 3독 등 다양하다. 이 중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이 108번뇌이며 이것을 계산하는 방법에는 두 종류가 있다. (2)계산 방법 卍 첫번째 방법 ①6진(塵) .. 2018. 6. 29.
비로자나 부처님은* 卍-비로자나 부처님은-卍 비로자나 부처님(毘盧蔗那佛)은 달리 비로사나불(毘盧舍那佛)이라고도 쓰고 줄여서 노사나불(盧舍那佛) 또는 자나불(蔗那佛)이라고도 하는데, 비로자나란 인도의 옛말 바이로차나를 소리나는대로 옮긴 것으로 본래는 태양을 의미하던 말이었습니다. 그러므로 .. 2018. 6. 29.
미륵불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셔야 하나* 卍-미륵불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셔야 하나-卍 미륵부처님(彌勒佛)은 먼 훗날 이 땅에 출현하셔서 중생들을 제도하실 미래세의 부처님으로, 지금은 도솔천에서 천인들을 위해 설법하고 계시는 분입니다. 그러므로 미륵부처님이라고도 하고 아직은 부처님이 아니므로 미륵보살이라고.. 2018. 6. 29.
십이 연기에 대해서* 卍-십이 연기에 대해서-卍 불교는 인간이 죽음을 포함한 모든 고뇌에서 벗어나는 문제에 대해 명백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즉 인간의 근본적인 고뇌(八苦)는 숙명적이거나 우연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무지가 원인이 되어 받게 되는 필연적인 결과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연기에 .. 2018. 6. 29.
허공장보살(虛空藏菩薩) 卍-허공장보살(虛空藏菩薩)-卍 산스크리트명은 아카샤가르바(Akasagarbha)로 아카샤란 허공을, 가르바란 창고를 의미한다. 이 보살에게는 일체중생을 이익케하는 광대한 덕이 가득차 있으므로 허공장이라 부른 것이다. 무량한 공덕을 갖춘 보살로서 인도나 중국에서는 단독으로 신앙될 정.. 2018. 6. 29.
풍재보살(豊材菩薩) 卍-풍재보살(豊材菩薩)-卍 산스크리스트명은 보가바티(Bhogavati)이며 자재주보살(資財主菩薩)이라고도 부른다. 지혜와 복덕을 골고루 나누어주는 보살이다. 풍재보살에게 귀의하고 항상 염하며 그를 조성하고 풍재보살의 종자를 관하는 자는 영원히 기갈에서 벗어나며 헐벗음에서 시달리.. 2018.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