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도재2899

육근청정(六根淸淨)-육도사생(六道四生) 육근청정(六根淸淨) : 안(眼), 이(耳), 비(鼻), 설(舌), 신(身), 의(意)의 6근이 더러움을 버리고 맑게 되는 것입니다. 인간의 심신(心身)이 갖가지의 공덕에 가득차 청정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육난(六難) : 6종의 난사(難事)입니다. 부처님의 출현을 만나기 어렵고, 정법(正法)을 듣기가 어렵고, 선심(善心)이 생기기가 어렵고, 중국(간지즈강 중류지역)에 태어나기 어렵고, 인신(人身)을 얻기가 어려우며, 제근(諸根 : 5근)이 갖추어지기가 어려운 것을 뜻하는 말입니다. 육념(六念) : 6가지의 염. 1)염불(念佛): 부처님은 여래10호를 갖추시고, 무량 광명으로 중생을 구제하시므로 부처님과 같기를 염원함. 2) 염법( 念法): 불경은 큰 공덕을 갖추고 일체 중생의 묘약이 되므로, 불법을 널.. 2018. 7. 5.
육도윤회-육성취(六成就) 육도윤회 : 1. 지옥 2. 아귀 3.축생 4. 아수라 5.인간 6.천상도로 돌고 돌아 태어나고 죽음을 반복함을 말함 육도중생(六道衆生) : 6도 즉 미혹의 세계에서 태어나고 죽는 것을 거듭하는 모든 생류(生類)를 가리킴. 육력(六力) : 6가지의 가가 다른 힘. 아이는 울음으로 힘을 삼고, 여인 은 분노로 힘을 삼고, 국왕은 교활함과 큰소리로 힘을 삼고, 아 라한은 정진으로 힘을 삼고, 비구는 인욕으로 힘을 삼고, 부 처님은 대자대비로 힘을 삼는다. 육문(六門) : 육근(六根)의 문. 육식(六識) 즉 안식(眼識), 이식(耳識), 비식(鼻識), 설식(舌識), 신식(身識), 의식(意識)이 육경(六境) 즉 안경(眼境), 이경(耳境), 비경(鼻境), 설경(境舌), 신경(身境), 의 경(意境)을 인식하는 경우 .. 2018. 7. 5.
육시관음(六時觀音)-육종고행외도(六種苦行外道) 육시관음(六時觀音) : 6시란 하루를 의미한다. 주야로 항상 중생을 수호하는 관음이다. 33신 중 거사신의 모습으로 범협(경전)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범협관음이라고도 불린다. 육식(六識) : 여섯 가지 인식 작용. 안(眼), 이(耳), 비(鼻), 설(舌), 신(身), 의(意)이라는 *6근(根)에 의존하여 각각 색(色), 성(聲), 향(香), 미(味), 촉(觸), 법(法)이라는 *6경(境)을 지각하는 안식(眼識), 이식(耳識), 비식(鼻識), 설식(舌識), 신식(身識), 의식(意識). 인식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감관인 *근(根)과 대상인 *경(境)과 인식 주체인 *식(識)이 동시에 존재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아비달마에서는 6식이 마음 작용의 활동이고 그 본체가 유일한 마음이므로 6식이 동시에 작용하는 .. 2018. 7. 5.
육지장(六地藏)-음입처계(陰入處界) 육지장(六地藏) : 6도를 모두 교화한다는 여섯 지장. 나투는 곳에 따라 각각 이름이 다르다. 곧 지옥도에 단타지장, 아귀도에 보주지 장, 축생도에 보인지장. 수라도에 지지지장. 인간도에 제개장 지장 천상도에 일광지장. 육처(六處) : 육처는 명색이 있게 되면 명색을 따라 발생하는 것입니다. 육처는 육근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개념으로 인간 실존의 근저를 이루고 있습니다 육통(六通) : 아라한이 갖춘 능력. 3명(明) 즉 숙명통(宿命通), 천안통(天眼通), 누진통(漏盡通) 등에 천이통(天耳通), 타심통(他心通), 신족통(神足通) 등 세 가지를 더한 것. 육화경행이란 무엇입니까? : 1. 몸으로 부처님 행을 하여 화합하고 2. 입으로 부처님 말을 하여 화합하고 3. 뜻으로 부처님과 같은 생각을 하며 화합하고,.. 2018. 7. 5.
음향인(音響忍)-의상(義湘) 음향인(音響忍) : 불.보살의 음성(가르침) 또는 극락세계의 미묘한 음악을 듣고 깨닫는 것. 응공 : 세상의 존경과 공양을 받을 만한 분 응공(應供) : 석가여래의 열 가지 칭호 가운데 하나. 온갖 번뇌를 끊어서 인간 천상의 모든 중생으로부터 공양을 받을 만한 사람이라는 뜻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 : 금강반야경의 유명한 구. 응당 주 (住)할 곳 없이하여 그 마음을 일으키게 하라. 즉 어느 곳에도 마음을 멈추지 않게 하여 마음을 일으키라고 하는 것. 응신(應身) : 중생 교화를 위해서 사람과 같은 모습으로 나타난 부처님의 몸. 응진전 : 부처님의 제자 16나한을 모신 전각-500나한을 모신 나한전 의력(意力) : 서방 극락의 보살이 갖추고 있는 13종의 힘 중 하나. 사량(思量)과 의식(意識).. 2018. 7. 4.
의정-이빈(二貧) 의정 : 사람 이름. 635∼713년 생존. 중국 범양(范洋) 출신. 성은 장(張)씨, 자는 문명(文明)이다. 어린 나이에 출가하였으며, 일찍이 법현(法顯)과 현장(玄 ) 스님을 마음 깊이 흠모하였던 의정 스님은 인도에 유학하기를 뜻하였다. 27세 때인 671년부터 695년(또는 698년)까지 남해(南海), 인도(印度) 등의 30여 개국을 순방하였다. 특히 인도 나란다사에서는 대승과 소승의 깊은 뜻을 연구한 뒤 20여 년을 머물다가 산스크리트 어 본의 경, 율, 논서 400부를 비롯하여 사리 300과 등을 가지고 낙양으로 돌아온 뒤 무후(武后)의 존경을 받았다. 귀국한 뒤로 불수기사(佛授記寺)에 머물면서 역경에 종사하였다. 700년부터 711년까지는 금광명최승왕경(金光明最勝王經), 승광천자경(勝光天子經).. 2018. 7. 4.
이사나(伊舍那)-이십오보살(二十五菩薩) 이사나(伊舍那) : 12천 중의 하나로 마혜수라천이나 자재천 이라고도 하 는데, 새계의 정상에 살고 있다는 천신. 3개의 눈과 8 개의 팔 을 가졌으며 흰 소를 타고 흰 총채를 들고 있고 큰 위엄과 덕 망을 지녔다고 이사무애관(理事無碍觀) : 평등한 진리의 본체인 이(理)는 물과 같고, 사 (事)는 변화하는 형상으로 파도와 같다. 평등한 이법과 차별 있 는 사법은 보기에는 서로 다르면서도 그 근본은 하나인 것을 관하는 것. 이세오사(異世5師) : 부처님 입멸 뒤 100년 사이에 불교를 전승한 5대 제자. 대가섭 아난다 말전지 상나화수 우파국다 등의 5존자를 말함. 분파에 따라 이설이 있음. 이숙(異熟) : 행위의 결과. 업이 성숙하여 결과를 낳는 것. 업력이 그 원인과는 성질과 기능이 다른 결과로 성숙하.. 2018. 7. 4.
이십오유(二十五有)-이체(理體) 이십오유(二十五有) : 3계 6도에 유정으로 존재하는 중생이 25종이 있음 1) 4악도: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2) 4주: 동불바제. 남염부 주. 서구야니. 북울단월. 3) 6욕계 하늘: 사왕천. 도리천. 야마천. 도솔천. 화락천. 타화재천. 4) 색계: 초선천. 범왕천. 제2선천. 제3선천. 제4선천. 무상천. 5나함천 5)무색계: 공무변처전. 식무 변처전. 무소유처전. 비상비비상처전. 이십종유법(二十種喩法) : 중생 제도의 방편 20종을 가족에 비유한 것임. 지혜를 어머니로, 방편을 아버지로, 보시를 유모로, 계율을 양모로, 참는 것(인욕)을 장엄구로, 정진을 양육자로, 선을 세 탁하는 것으로, 선지식을 교수로, 일체 지혜를 아내로, 모든 착 한 법을 친척으로, 모든 보살을 형제로, 보리심을.. 2018. 7. 4.
이타행(利他行)-인다라(因陀羅) 이타행(利他行) : 남에게 공덕과 이익을 베풀어주며 중생을 구제하기 위 해 노력하는 것. 이행이라고도 함. 이판사판(理判事判) : 이판사판(理判事判)은 이판(理判)과 사판(事判)의 합성어입니다. 이판은 참선, 경전 공부, 포교 등 불교의 교리를 연구하는 스님을 말하고, 사판이란 절의 산림(山林)을 맡아 하는 스님을 말합니다. 산림이란 절의 재산관리를 맡아 하는 것이고 산림(産林)이라고 쓰기도 했습니다. 살림이라는 말이 이 산림에서 유래된 것으로 오늘날에 산림이란 수계산림(受戒山林), 법화산림(法華山林), 화엄산림(華嚴山林)처럼 일정한 기간 동안 어느 한 분야를 집중적으로 공부해서 지혜와 공덕을 쌓는 일을 산림이라고 합니다 이행도(易行道) : 성불하는 길에는 난행도와 이행도의 두 가지 길이 있습니다. 난행.. 2018. 7. 4.
인도(人道)-인왕(仁王) 인도(人道) : ①6도(道) 중의 하나. 인간 세계를 말함. 인계(人界), 인취(人趣). 사람이 지키는 도덕. 인로왕보살(引路王菩薩) : 망자를 극락정토로 인도하는 영계(靈界)의 안내자를 인로왕보살이라 한다. 한국 사찰의 불전 하단에는 죽은이의 영가를 천도하기 위한 영가단이 있으며 그 뒤편으로는 감로탱화(甘露幀畵; 망자나 아귀에게 감로수를 베풀어 구제하기에 감로탱화라 한 것이다)가 걸려 있다. 거기에는 화면 아래에서부터 위로 망자들이 생존시 속세에서의 생활상과 아귀, 의식승,7여래상이 차례대로 그려져있으며 그 7여래상 좌우측에 망자들을 이끌고 정토로 인도하는 인로왕보살과 관세음보살 및 지장보살이 보인다. 그러나 인로왕보살이 따로 있는지 아니면 망자들을 정토로 이끄는 관세음보살이나 대세지보살, 지장보살을 .. 2018. 7. 4.
인욕(忍辱)-일기일경(一機一境) 인욕(忍辱) : 어떠한 고통이나 원한, 모욕도 참고 견디며, 모든 번뇌를 떨쳐 버리고 불법을 꾸준히 닦아가는 것. 인욕바라밀(忍辱波羅蜜) : 6도(度), 10바라밀의 하나. 어떠한 고통이나 원한, 모욕도 참고 견디며, 모든 번뇌를 떨쳐 버리고 불법을 꾸준히 닦아가는 수행. 다른 모든 계행을 더욱 더 북돋워 주는 바라밀로서 가장 중요시된다. 인중진액득상미상(咽中津液得上味相) : 부처님의 신체적인 특징인 *32상(相)의 하나. 인후에 항상 고여 있는 침으로 음식에서 최상의 맛을 얻는다는 특징. 인허(隣虛) : 색법(色法) 즉 물질 중 가장 미세한 것 일겁(一劫) : 겁은 도저히 헤아릴 수 없는 무한히 긴 시간을 말함. 1)둘 레 사방 40리 되는 바위 위에 백년마다 한 번씩 하늘에 선녀가 내려와, 그 위에서.. 2018. 7. 4.
일념불생(一念不生)-일상관(日想觀) 일념불생(一念不生) : 한 생각에 몰입하여 망상과 사된 마음이 생기지 않는 것. 불도를 생각하는 일념에 망심이 생기지 않는 경계. 일념왕생(一念往生) : 단 한 번의 칭명(부처님의 명호를 부름)으로 극락 왕생 할 수 있다고 믿는 사상. 일대사(一大事) : 가장 중요한 일. 부처님이 이 세상에 출현하는 일대 목 적. 법화경에 [모든 부처님은 일대사 인연으로 이 세상에 오신 다.}고 하였는데 서 유래된 말 일도일례(一刀三禮) : 불상을 조각하는데, 칼을 한 번 댈 때마다 세 번 삼보께 예배하는 것 일래과(一來果) : 아라한의 지위에 이르는 단계를 나타내는 4과(果) 중의 제2과. 사후에 천계(天界)에 태어났다가 다시 한 번 인간계에 태어난 후에 깨달음을 얻어 열반에 들 수 있는 경지. 수행으로 소멸시켜야 할.. 2018. 7. 4.
일상삼매(一相三昧)-일원상(一圓相) 일상삼매(一相三昧) : 진여의 세계는 평등하여 한결같고 차별이 없는 한 모양이라고 보는 삼매. 일생보처(一生補處) : 바로 다음 생에서는 부처의 지위를 얻게 되는 위치. 보살의 지위 중에서 가장 높은 위치. 일승(一乘) : 불교의 참다운 가르침은 오직 하나로, 그 가르침에 의하여 모든 중생들이 부처님이 된다는 가르침. 일승보살(一乘菩薩) : 수행이 많이 쌓여져서 8지 이상의 경지에 이른 보살. 일시(一時) : 경전 서두에 그 시기를 구체적으로 지적하지 않고 일반적 인 시기를 말한다. 어느 때, 일찍이 한 때로 해석함. 일심정례(一心頂禮) : 지극 정성, 한마음으로 머리가 부처님 발에 닿도 록 절함. 일여관음(一如觀音) : 구름을 타고 번개를 정복하고 있는 모습으로, [보문품]에 관음을 염하면 운뢰(雲雷).. 2018. 7. 4.
일자불설(一字不說)-일체종지(一切種智) 일자불설(一字不說) : 부처님의 경지는 문자로써는 표현할 수 없다는 말. 일종(一種) : 일종자(一種子)의 준말이며, 일생 동안이나 끌어갈 만큼 큰 번뇌의 종자. 일주문 : 사찰 입구에 양쪽 하나씩의 기둥으로 세워진 건물, 일주문을 경계로 문밖을 속계, 문안을 진계라 부른다. 일주문(一柱門) : 절 입구에 세우는 문. 기둥이 한 줄로 된 문. 일즉일체(一卽一切) : 만물은 각각 모양이 다른 차별이 있는 것 같지만, 그 실체는 하나임. 일천제(一闡提) : 잇찬티카의 음역. 욕구를 끊지 못한 이라는 뜻. 성불(成佛)하지 못하는 원인을 가진 이를 가리킴. 일체개공(一切皆空) : 모든 현상은 실체가 텅빈 것. 이 세계가 없어질 때 모든 물질이 사라지는 현상. 일체법(一切法) : 일체의 사물, 모든 현상, 정신적.. 2018. 7. 4.
일체중생(一切衆生)-입아아인(入我我入) 일체중생(一切衆生) : 이 세상에 살아 있는 모든 것들. 사람을 말하기도 하는데 일체유정(一切有情)과 같은 뜻. 일초직입(一超直入) :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 단번에 미혹의 세계를 뛰어넘어 깨달음에 들어감. 일초직입여래지(一超直入如來地) : 사람은 태어나기 전부터 본래 부처임 을 스스로 깨달아 절대의 경지에 들어가는 것. 일할(一喝) : 선종에서 말이나 글로 나타낼 수 없는 도리를 보일 때 큰 소리를 질러 법을 나타내는 것. 일합상(一合相) : 여러 가지 법이 합쳐서 한 개의 상이 만들어지는 것. 모든 법은 다 일합상임. 일행삼매(一行三昧) : 마음을 한가지 방법으로 닦는 삼매로 일상삼매, 진 여삼매라고도 함. 진여법계의 평등한 모습을 진실 그대로 관 상하는 삼매. 일향전념(一向專念) : 오직 한마음.. 2018. 7. 4.
입적(入寂)-자성청정(自性淸淨) 입적(入寂) : 적멸의 경지에 들어감. 성자 또는 스님이 세상을 떠난 것을 말함. 불도 수행을 끝마쳤다는 니르바나의 의미를 채용하여 적멸에 들었다고 함. 자관심경(自觀心經) : 상·하 2권인데, 상권에는 지관(止觀)을 얻고 얻지 못한 것을 간략하게 4구로 표현했으며, 하권에는 틈을 보는 것 성내는 것 나쁜 지혜 등의 다소와 유무를 설하여 악이 있으면 꼭 끊고 선이 있으면 꼭 열반을 구하게 한 것에 다해 다루고 있다. 자등명법등명(自燈明.法燈明) : 자시 스스로 마음의 등불을 밝히고, 부 처님이 설하신 법의 등불을 밝혀서 사바세계를 수행하며 살라 는 가르침. 자력왕(慈力王) : 과거세에 열 가지 선을 행하여 모든 사람이 계율을 지니게 하고 귀신의 음식을 없앴던 왕이다. 그는 자신을 찾아온 다섯 야차에게 자.. 2018. 7. 4.
자수법락(自受法樂)-잡상관(雜想觀) 자수법락(自受法樂) : 불타가 그 광대한 깨달음의 경지에서 스스로 법의 즐거움을 향수(亨受)하는 것. 자씨(慈氏) : 현겁(賢劫)에 출현하는 제5불(佛)의 이름. ⇒ 미륵보살(彌勒菩薩). 미륵의 제자를 가리키는 자연(自然) : 자연법이(自然法爾), 법자연(法自然). 다른 어떤 힘도 빌리지 않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스스로의 법칙에 의해서 본래적으로 그러함을 뜻함. 불교에서는 불법 그 자체의 진리를 표현하는 경우에 쓰고 있다. 예컨대 생멸의 변화가 없는 진여(眞如)의 법성(法性)을 가리켜서 자연이라고 하며, 각자 자신의 업에 따라 인과의 지배를 받는 것을 업도(業道) 자연이라고 하며, 아미타불의 원력에 따라 정토에 나게 되는 것을 원력 자연이라 하고, 극락에 태어나는 것을 극락 자연이라고 한다. 불교 문헌에.. 2018. 7. 4.
잡상관(雜想觀)-장엄겁(莊嚴劫) 잡상관(雜想觀) : 대불신(大佛身)과 소불신(小佛身), 진불(眞佛)과 화불(化佛) 등을 섞어 관조하는 것. 잡아비담심론(雜阿毘曇心論) : 법구(法救)가 법승(法勝)의 아비담심론을 해석하여 지은 책으로 전11권이며 승가발마(僧伽跋摩)의 한역본이 있다. 잡심론(雜心論)· 잡아비담경·잡아비담비바사(雜阿毘曇毘婆沙) 등으로도 불린다. 잡아함경(雜阿含經) : 4 아함경 가운데 하나이다. 산스크리트 원전에서 한역된 것이 분명하나 한역 아함의 원본은 전해지지 않는다. 한역 아함경에 해당하는 팔리어 니카야와 한역 아함경도 구성 자체로 보면 유사성이 있으나 완전한 일치는 없다고 한다. 그리고 한역의 아함은 원래 한 부파의 소의경전(所依經典)이 아니라, 다른 부파의 것들을 중국인들이 모아 체제를 갖춘 것으로 보인다. 장로(.. 2018. 7. 4.
장엄불법제의경(莊嚴佛法諸義經)-저사(底沙) 장엄불법제의경(莊嚴佛法諸義經) : 《지심범천소문경(持心梵天所門經)》의 다른 이름으로 전4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진의 축법호(竺法護)가 한역하였다. 장자(長者) : ① 재산을 축적하고 덕을 갖춘 자의 통칭. ② 나이가 많은 자. ③ 현달하여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 ④ 관대하고 근후한 사람. 장자(長者) : 호족(豪族)이나 부귀한 사람, 덕행이 뛰어나고 나이가 많은 이에 대한 존칭. 일반적으로 고대 인도에서 가문이 좋은 집안 출신으로서 재산이 많으며, 덕이 높은 이를 가리키는 대명사로 쓰였던 말이다. 재가 신도 가운데 불교 교단에 많은 재물을 헌납하고 불법을 증장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였던 계층이 바로 장자 계급이었기 때문에 경전에 많이 등장한다. 장자궁자유(長者窮子喩) : 법화경 신행품에, 아버지(佛).. 2018. 7. 4.
적멸도량(寂滅道場)-전륜성왕(轉輪聖王) 적멸도량(寂滅道場) :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었던 장소, 즉 니련선하의 보리도량을 가리킴. 화엄경에 나오는 설처(說處) 중의 하나로서 마갈다국의 가야성 남쪽에 자리한 보리수 아래를 가리킴 적멸락(寂滅樂) : 미혹(迷惑)의 세계를 영원히 벗어난 경계로서 열반에 드는 즐거움 적적대의(嫡嫡大意) : 석가세존으로부터 역대의 조사들에 의해 바르게 계승되어 온 불법의 근본 정신을 말한다 적정(寂靜) : 번뇌가 끊어진 것을 적(寂), 고통이 끊어진 것을 정(靜)이라 함. 즉 열반의 상태를 가리킴. 전다라 : 범어 Candala 포악(暴惡).도살(屠殺)이라 번역. 인도 사성급(姓級)밖의 가장 천한 족속으로서 도살 등에 종사하였음. 전다라( 陀羅) : 찬달라의 음역. 茶羅라고도 함. 인도의 종성(種姓) 중의 하나. 어로.. 2018. 7. 4.
전미개오(轉迷開悟) -점교(漸敎) 전미개오(轉迷開悟) : 삼계에 윤회생사(輪廻生死)하는 미혹을 버리고 전 향(轉向)하여 열반의 깨달음을 여는 것. 전법관정(傳法灌頂) : 비밀교(秘密敎)의 학습을 성취하였을 때 대아도리 (大阿 利)의 직계를 받고 밀법을 다른 이에게 전해 주는 지위 에 오르는 관정(灌頂). 전법륜(轉法輪) : 법의 바퀴를 굴리는 것. 부처님이 설법하는 것을 바퀴가 굴러가는 것에 비유한 말. 인도에서는 옛부터 태양이 뜨고 지는 모습이 마치 바퀴가 굴러다니는 것과 같다고 여겼으며, 태양이 지니고 있는 강력한 힘을 비롯하여 우주적인 섭리까지 내포한 상징물로서 바퀴는 매우 중요시되던 소재였다. 불교에서도 다양한 의미로서 바퀴가 묘사되었는데, 특히 법과 결합한 법륜이라는 말은 석가모니 당시의 초기 불교에서부터 사용되었다. 석가모니가.. 2018. 7. 4.
정거천(淨居天)-정변지(正遍知) 정거천(淨居天) : 색계(色界)의 제사선천(禪天)에 있는 천상으로서 성자만이 거처하는 곳. 정근(正勤) : 선법을 더욱 자라게 하고 악법을 멀리 여의려고 부지런히 수행하는 법을 말함. 정등각자(正等覺者) : 석가모니를 부르는 열 가지 호칭 중 하나. 정등각을 얻은 이, 즉 바르고 참된 깨달음을 얻은 이를 뜻함. 정력(定力) : 선정력(禪定力). ①*5역(力) 중 하나. 산란한 마음을 그치고 평등하게 유지하는 *선정(禪定)의 힘. 서방 극락의 보살이 갖추고 있는 13종의 힘 중 하나. 선정을 닦아서 성취하는 힘. 정매 : 사람 이름. 당(唐) 나라 때의 학승. 사천성(四川城) 면주( 州) 출신. 그의 속성과 생존 연대는 미상. 경론(經論)에 정통하였으며, 매우 깊고 온후한 품성을 지녔었다고 함. 사천성에 .. 2018. 7. 4.
정사(正士)-정취보살(正趣菩薩) 정사(正士) : 대사(大士)라고도 하는데 보살을 말함 정사(精舍) : 수행 정진하는 스님들이 계시는 곳 - 범어 “비하라=寺=머무는 집 정사(精舍) : 본래 우기(雨期) 동안 수행자들이 안거했던 주거지를 가리키는 말. 점차 발전하여 수행자들의 상주처이자 의지처가 되는 절을 가리킴. 정성육계상(頂成肉 相) : 부처님의 신체적인 특징인 *32상(相)의 하나. 머리 정수리의 살이 상투처럼 솟아 있다는 특징. 정수상번뇌(正受上煩惱) : 고요히 생각하고 있을 때 일어나는 번뇌입니다 정유리세계(淨瑠璃世界) : 유리와 같은 칠보로 이룩된 청정한 세계란 뜻 으로 곧 약사여래의 정토를 뜻함. 정전백수자(庭前柏樹子) : 선종의 화두로 어떤 승이 조주에게 물었다 [조사가 서쪽으로부터 오신 뜻이 무엇입니까?] 조주[뜰 앞에 .. 2018. 7. 4.
정토(淨土)-제법무아(諸法無我) 정토(淨土) : 중생이 머무는 세계는 탐, 진, 치 삼독에 의한 예토(穢土)이지만 불타가 머무르는 세계는 오직 깨달음에 의한 거룩한 청정광명각(淸淨光明覺)의 세계이므로 정토(淨土)라고 하는 것입니다. 정토를 정리(淨利), 정계(淨界), 정국(淨國)이라고도 합니다. 대승불교에서는 열반의 적극적인 활동을 인정하여 열반을 성취한 무수한 불(佛)이 각각 무량한 중생들을 제도하기 위하여 전법활동을 전개하는데 그 불(佛)이 머무르는 세계를 불국정토라고 하는 것입니다. 유마경 불국품에서는 마음이 청정하면 국토(國土) 또는 청정하다고 했으며, 깨달음을 열면 이 사바세계가 그대로 정토가 된다고 했습니다. 또 다른 경에서는 미래에 건설된 정토가 있다고도 했고, 이러한 정토는 보살이 본원에 의해 구상하고 무량한 수행을 통하.. 2018. 7. 4.
제법실상(諸法實相)-제운반야(提雲般若) 제법실상(諸法實相) : 모든 존재, 즉 제법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 진실의 상태. 제법이란 인연에 따라 발생하고 존재하는 차별의 현상, *실상이란 그 진실의 본래 상태로서 평등한 불변의 이치. *연기하는 것, 즉 *공인 만물이 어떠한 순간에도 진실한 것임을 적극적으로 나타내는 개념. 대승불교에서는 기존의 *삼법인에 이것을 더하여 사법인(四法印)으로 삼는다. 세계의 참모습을 무상.무아라고 표현하는 것과 일치하지만, 그 강조되는 면에 차이가 있다. 인간을 포함하여 만물은 항상 변해 가지만, 순간마다 변해 가면서도 그것은 다른 것이 대신할 수 없는 존귀한 것으로서 항상 진실한 것이라는 생각을 대승불교에서는 제법실상이라는 말로 표현한다. 이 말이 의미하는 내용은 종파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저마다의 입장에서 가.. 2018. 7. 4.
제육천(第六天)-제자품(弟子品) 제육천(第六天) : 욕계 육천 중 여섯 번째 하늘로 욕계의 가장 높은 곳. 이곳에 태어난 사람은 다른 것의 즐거움도 자기의 낙으로 할 수 있으므로 타화자재천 이라고도 함. 제이능변(第二能變) : 유식(唯識)에서, 3능변(能變) 중 하나. 8식(識) 중에서 제7 말나식(末那識). 제이정려(第二靜慮) : 색계 4선천 가운데 제2의 하늘이다. 3기 말겁의 대수재가 여기에 달려있다고 한다. 사려분별의 작용을 제거하고 기쁘고 즐거운 정만 있는 정신상태이며, 여기에는 소광천·무량광천·광음천의 3천이 있다고 하며 제2선이라고도 한다. 제일선(第一禪) : 색계 4선천 가운데 첫 선천이다. 정신이 통일되어 안정을 얻었으나 오히려 사려분별하는 심(尋)· 사(伺)와 정(定)을 즐기려는 작용이 있는 정신상태를 말한다. 여기에.. 2018. 7. 4.
제취(諸趣)-조달(調達) 제취(諸趣) : 중생들이 윤회하는 육도(육도) 즉 「천상, 인간, 아수라, 지옥, 아귀, 축생」을 말한다. 나아가서는 정신상의 온갖 분별을 이름이다. 제팔식(第八識) : 아뢰야식의 별명. *8식 중에서 제일 끝에 자리하므로 제8식이라 함. 제행(諸行) : ① 행은 옮겨 흐른다는 뜻으로서, 인연으로부터 만들어져 3세의 유위법에 흘러가는 것을 말한다. 즉 행은 태어나고 사라지고 변화하는 사물과 마음의 현상이며, 그 법이 수없이 많기 때문에 제행이라고 한다. ② 여러 가지의 행업. 우리의 몸·입·뜻의 세 가지 업으로 나타나는 여러 가지의 동작을 말한다. ③ 입으로 부르는 염불 이외의, 이상의 경지에 이르기 위해 부지런히 힘써 수행하는 모든 행업. 제행무상(諸行無常) : 삼법인(三法印)의 하나. 형성된 모든 것.. 2018. 7. 4.
조동종(曹洞宗)-존자(尊者) 조동종(曹洞宗) : 이 이름이 어느 때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자세히 알 수 없으나, 法眼文益(법안문익)선사의「宗門十規論(종문십규론)」에 있는 것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洞」은 洞山良价(동산양개)에서,「曹」는 洞山의 제자 曹山本寂(조산 본적)이 그 宗旨(종지)를 크게 밝혀 완성한 때문이라고 한다. 중국의 문법에 앞뒤를 거꾸로 붙이는 예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제자의 이름을 스승의 이름 위에 놓는 것은 당연한 일은 아니다. 그러므로 송나라 이후에는 曹溪山(조계산)의「曹」로서 六祖의 正統(정통)이라 해석하여 왔다. 또한 조산본적의 조산(曹山)도 조계산을 사모하는 뜻에서 지은 이름인 것이다. 그 家風(가풍)은「말과 행동이 일치하고, 理와 事가 부합하여 본래면목으로써 종지를 삼는다」조동종은 육조의 아래에서 곁 갈.. 2018. 7. 4.
종교 -좌탈입망(坐脫立亡) 종교 : 우주 인생의 근본을 밝혀 삶의 보람과 영광을 가르치는 교육 종문지일관(宗門之一關) : "종문"이란 불교의 정통인 선종을 일컫는 말이다. "관문"이란 옛날 국방이나, 경제적으로 중요한 곳에 군대를 두어 지키게 하고 오가는 사람과 드나드는 물건을 검사하던 곳이다. 「화두를 통과해야만 견성 성불하게 되므로 종문의 관문이라 한 것이다」이래서 이를 "조사관"이라 한다. 종송(鍾頌) : 사찰에서 아침과 저녁, 염불하기 직전에 종이나 금고(金鼓)를 치면서 외우는 경문, 또는 그러한 의식을 가리킴. 종자(種子) : 어떤 것을 낳는 가능성. *아뢰야식에 일체의 현상을 낳는 능력이 있음을 식물의 씨앗에 비유한 것. 현재 존재하고 있는 사물의 세력을 남겨 다시 사물이 존재할 수 있게 하는 원인. 아뢰야식이 발휘하는.. 2018. 7. 4.
죄(罪)-주장(柱杖) 죄(罪) : 고난을 받게 되는 악업을 초래하는 행위, 또는 금계(禁戒)를 범한 경우. 죄과(罪過). 죄업(罪業) : 죄가 되는 행위, 또는 금계를 범하는 악업을 행함으로써 미래에 받게 되는 고과(苦果)의 원인을 가리킴 주겁(住劫) : 4중겁 가운데 하나이다. 성겁에서부터 회겁에 이르는 사이인 이 계에 유정이 머무는 1기를 말한다. 그 사이에 20증감이 있어 사람의 목숨이 84,000세부터 100세에 1세씩 감하여 10세에 이르는 것을 1감이라 하고, 10세부터 다시 100년마다 1세씩 더하여 84,000에 이르는 것을 1증이 된다고 한다. 주련(柱聯) : 사찰의 일주문, 전각, 요사채 등의 기둥에 걸려 있는 판목을 가리킴. 해당 건물과 조화를 이루는 내용의 경문이나, 스님들의 게송 등을 담고 있다. 주리.. 2018. 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