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생3239

초발심(初發心) -총림(叢林) 초발심(初發心) : 처음으로 보살의 마음을 발하여 구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① 처음으로 깨달음을 구하는 마음을 일으키는 것이라는 뜻. ② 처음으로 대승의 도에 나아가려고 하는 마음. 초승(超昇) : 초월적으로 향상하는 것. 미망세계를 초월하여 깨달음에 오르는 것. 생사의 바다를 넘어서 더 이상 위가 없는 열반의 불과에 오르는 것. 사바왕 악취(惡趣)를 뛰어넘어 불과에 오르는 것. 초열지옥(焦熱地獄) : 팔대지옥의 제6. 살생죄.투도죄.사음죄.음주죄.망어죄를 범한 자가 떨어져서, 끊임없는 화열로 고통을 받는 지옥. 염열(炎熱)지옥. 초일명삼매경(超日明三昧經) : 서진의 섭승원이 번역한 책으로 전2권이다. 부처가 보명보살의 물음에 따라 초일명정을 설한 것. 또한 여러 보살의 물음에 따라 여러 가지 법을 .. 2018. 7. 4.
총림+(叢林)-축난제(竺難提) 총림+(叢林) : 빈다바나(貧陀婆那), 전단림( 檀林), 단림(檀林). ①출가 스님과 재가 신도가 함께 한 곳에 머무는 것을 가리키는 말. 출가자와 재가자가 서로 화합하여 함께 어우러진 모습이 마치 많은 나무들이 울창하여 숲을 이룬 것과 같다는 뜻. 본래 인도의 빈디야 산맥의 울창한 삼림을 가리키는 말이었던 빈디야바나는 전단나무가 우거진 숲으로 전의되었고, 그 말이 다시 또 전의되어 많은 수행자들이 모여 있는 곳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네 가지 구성 요소를 모두 갖춘 가람의 경우를 말함. 즉 강원(講院), 율원(律院), 선원(禪院), 염불원(念佛院)을 모두 갖춘 종합 수도원의 성격을 띤 사찰을 가리키는 말. 총상(總相) : 별상(別相). ①사물의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양상을 통칭한 것. 예컨대 무상(無常.. 2018. 7. 4.
축담무란(竺曇無蘭)-출가자(出家者) 축담무란(竺曇無蘭) : 서역 사람의 이름이며, 법정이라 한역된다. 중국에 건너와 동진 효무제 태원 6년(381) 양도사 진서사에서 찬한 《대비구이백육십계삼부합이》(2권)를 비롯하여, 20년 동안 불경번역에 종사하였다. 축도생(竺道生) : 중국의 승려이며 거록 사람으로서, 성은 위씨이다. 어려서 출가하였으며, 청원사에 있으면서 교법을 선양하고 동진의 안제 융안 연간부터 려산의 혜원 아래서 7년 동안 생활하였으며, 뒤에는 구마라십의 문하에도 있었다. 동진 의희 5년(409)에는 다시 청원사에 돌아와 생활하였고, 원가. 11년(434)에 려산에서 입적하였다. 저서로는 《이제론》·《불성당유론》·《불무정토론》·《법신무색론》·《응유연록》·《니원경의소》·《소품반야경의소》 등이 있다. 축법란(竺法蘭) : 후한시대에 처.. 2018. 7. 4.
출삼장기집(出三藏記集) -칠각지(七覺支) 출삼장기집(出三藏記集) : 한문으로 번역한 경·론의 연기·목록·서문·발문과 번역한 이의 전기 등을 수록하여, 양나라의 승우가 엮은 책으로 전15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안의 《종리중경목록》이 없어진 지금, 경론의 목록으로는 가장 권위 있는 책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한역 경전의 유래와 서문·발문 등을 모아 기록하였기 때문에 역경사 연구에 많은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출세(出世) : 불교에서 말하는 출세(出世)는 부처님이 이 세상에 나타남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하면 불, 보살이 세상에 출현하여 중생을 교화하는 것입니다. 지도론(智道論)에 1인이 출세하여 많은 사람이 경행을 입는다고 함을 의미하고 있으며, 선종에서는 지적을 겸비하여 학행(學行)을 일단 마친 후에 인가(印可)를 받아 보임(保任)하는 사람을 가리.. 2018. 7. 4.
칠견(七見)-칠변(七辯) 칠견(七見) : 7가지 잘못된 견해. 사견: 선악. 인과. 윤리를 부정함. 아견: 내가 있다고 생각하는 견해. 常견: 몸과 마음이 항상 존재한다 고 생각하는 견해. 단견: 심신의 단멸과 다시 태어남을 믿지 않는 견해. 계도견: 잘못된 계에 집착하는 견해. 과도견: 바른 인과를 알지 못한 채로 닦아서 얻는 결과를 올바른 증과라고 잘못 아는 견해. 의견: 바른 도리를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의심하는 잘못된 견해. 칠구지불모(七仇 佛母) : 7구지는 7억을 뜻함. 관세음보살의 자비 공덕 이 7 억 부처님을 길러 낸 것과 같은 뜻. 칠당가람(七堂伽藍) : 큰 사찰에 갖추고 있는 7종의 건물. 탑. 대웅전. 승 방. 강당(선원. 강원. 율원). 종각. 요사채. 삼문 등. 그러나 여기 에는 여러 설이 있음. 칠대.. 2018. 7. 4.
칠보(七寶)-칠유(七有) 칠보(七寶) : 금(金), 은(銀), 유리(琉璃), 파려(頗黎), 차거( ), 적주(赤珠), 마노(瑪瑙) 등의 일곱 가지 보배. 금(金), 은(銀), 산호(珊瑚), 진주(眞珠), 차거( ), 명월주(明月珠), 마니주(摩尼珠) 등의 일곱 가지. 전륜성왕(轉輪聖王)이 지니고 있는 금륜보(金輪寶), 백상보(白象寶), 감색마보(紺色馬寶), 명월주보(明月珠寶), 옥녀보(玉女寶), 장성신보(藏聖臣寶), 도도신보(導道臣寶) 등의 일곱 가지 보배. 칠불(七佛) : 과거 시대의 일곱 부처들. ⇒ 과거칠불(過去七佛). 약사(藥師) 7불(佛). ⇒ 칠불약사(七佛藥師). 칠사(七事) : 욕계의 탐욕을 말하는 욕애, 화를 내는 에, 색계와 무색계의 탐욕을 말하는 유애, 만번뇌, 어리석은 의혹을 말하는 무명, 다섯 가지의 사특함.. 2018. 7. 4.
칠조(七祖)-타력(他力) 칠조(七祖) : 화엄칠조(華嚴七祖)를 말함. 마명보살, 용수보살, 중국의 두 순, 운화 존자 지엄, 현수대사 법장, 청량대사 증관, 규봉대사 종 밀. 칠종무상(七種無上) : 부처님에게 갖추어진 7가지의 무상. 신무상(身無 上): 32상 80종호을 갖춤. 도무상(道無上): 대자대비하신 도로 모든 중생을 이롭게 함. 견무상(見無上): 8정도로 그 몸을 성취 하심. 지무상(智無上): 모든 사리에 통달하심. 신력무상(神力無 上): 불가사의한 6신통력을 지니심. 단장무상(斷障無上): 어리석 음, 업력, 고통의 3가지 장애가 끊어짐. 주무상(住無上): 대적멸 정에 머무심. 칠중 : 불제자들을 승속(僧俗)과 남녀, 수계의 내용 등을 기준으로 하여 일곱 집단으로 나눈 것. 즉 비구, 비구니, 식차마나, 사미, 사미니,.. 2018. 7. 4.
타리(利他)-탄지경(彈指頃) 타리(利他) : 다른 사람의 이익을 위하여 행동하는 타수용(他受用) : 부처님이 그 깨달음의 기쁨을 중생과 함께 즐기는 일. 타심지(他心智) : 10지(智) 중 하나. 타인의 현재의 마음을 아는 지혜. 6통(通) 중의 타심통(他心通)과 같음. 타심통(他心通) : 신통(通) 중의 하나. 타인의 마음이나 생각을 알 수 있는 신통. 타심지통(他心智通), 타심지(他心智), 지타심통(知他心通). 타초 : 단청 기법의 하나로 가칠된 부재에 초지본을 건축물의 부재 모양에 맞게 밀착시켜 타분주머니로 두드리면 뚫어진 침공으로 백분이 들어가 출초된 문양의 윤곽이 백분점선으로 부재에 나타나게 된다.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 6욕천의 최상인 여섯째 세계. 욕계의 최고 위치. 다른 세계에서 만들어 낸 욕망의 대상을 자유 자재.. 2018. 7. 4.
탐(貪) -탱화(幀畵) 탐(貪) : 3독의 하나. 탐욕. 격렬한 욕망. 좋아하는 대상에 대한 애착. 자기의 감정에 적합한 사물을 애착하게 하는 심리 작용. 진(瞋)과 함께 정적(情的)인 번뇌. 탐심(貪心) : 3독심(毒心)의 하나. 탐욕스러운 마음. 탑(塔) : 스투파의 음역. 사리를 보관해 두는 곳을 총칭하는 말. 본래 석가모니의 사리를 묻고 그 위에 돌이나 흙을 높이 쌓은 무덤을 가리킴. 원래 사리(舍利)가 들어 있는 것은 탑파, 사리가 없는 것을 지제라고 구분하였으나, 후대에 이르러 그 구분이 없어짐. 탑파(塔婆), 두파(兜婆), 솔도파( 都婆), 고현(高顯), 방분(方墳), 부도(浮圖), 탑묘(塔廟). 탑사(塔司) : 탑에 관련된 일을 총괄하여 감독하는 직책 이름. 탑주(塔主). 탑에 관한 일을 처리하는 사람들이 머무는.. 2018. 7. 4.
토화라(吐火羅)-파사현정 토화라(吐火羅) : 투카라의 음역. 지명 또는 나라 이름. 총령( 嶺)의 서남쪽, 박추(縛 , Bhak u) 강의 상류에 자리했던 고대 국가 이름. 통명혜(通明慧) : 六신통(神通)과 三명(明)과 三혜(慧)를 말함. 三명…숙명통.천안통.누진통. 六신통…천안통.천이통.숙명통.타심통.신족통.누진통. 三혜(慧)…들어서 얻은 문혜(聞慧)생각해서 얻은 사혜(思慧)닦아서 얻은 수혜(修慧). 통찰(洞察) : 환히 살펴서 온통 밝힘. 퇴굴(退屈) : 보살 수행을 할 때 어려움에 봉착하여 수행을 하려는 마 음이 쇠퇴되는 현상. 파계(破戒) : 수계(受戒)한 이후에 그 계법(戒法)을 위배하는 것. 파리어(巴里語) : 남방 불교의 성전 용어. 2천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많 은 발전 단계를 거쳤다. 파마(破魔) : 마군을 격.. 2018. 7. 4.
파순(波旬)-팔관재(八關齋) 파순(波旬) : 파피야의 음역. 파순유(波旬喩), 파비연(波卑 ), 파비(播裨), 파비야(波卑夜), 악자(惡者), 악물(惡物), 악애(惡愛), 살자(殺者). 욕계(欲界)의 제6천(天)을 주재하는 왕. 불보살, 또는 불제자(佛弟子)의 마음을 교란시키고 악으로 유혹하는 마왕(魔王). 파승(破僧) : 5역죄 가운데 하나이다. 제바달다가 세운 다섯 종류의 사법과 부처의 법륜이 대립하여 부처의 법륜을 청문하는 승중과 분리되는 파법륜승, 동일한 경계 내에서 별종의 갈마를 지어 갈마승의 화합을 파하는 파갈마승 등 두 가지가 있다. 앞의 파법륜승은 그 죄가 무거우나 부처가 재세할 때에 그치고, 뒤의 파갈마승은 그 죄가 가벼우나 재세와 불멸 후에도 통용된다고 한다. 파재(破齋) : 하루 낮 하루 밤의 계법이 되는 팔재계.. 2018. 7. 4.
팔난(八難)-팔복전(八福田) 팔난(八難) : 부처를 볼 수 없고 불법을 들을 수 없는 8가지 곤란. 곧 지옥, 축생, 아귀, 장수천, 귀머거리와 장님, 정토의 변지, 사 견, 불전 불후. 팔대명왕(八大明王) : 8방을 수호하는 여덟 명왕. 곧 부동명왕, 항삼세존, 군다리명왕, 육족존, 금강야차, 예적금강, 무승, 마두관음. 팔대용왕(八大龍王) : 불법을 수호하는 여덟 용왕. 곧 난타(難陀) 발난타 (跋難陀), 시기리(娑伽羅) 화수길(和修吉) 덕차가(德叉迦) 아나발 다(阿那婆達多) 마나사(摩那斯) 우발라(優鉢羅)의 8용왕. 팔대지옥(八大地獄) : 열기로 고통을 받는 8종의 지옥. ⑴*등활(等活), ⑵*흑승(黑繩), ⑶*중합(衆合), ⑷*규환(叫喚) 또는 호규(號叫), ⑸*대규환(大叫喚), ⑹*초열(焦熱) 또는 염열(炎熱), ⑺*대초열.. 2018. 7. 4.
팔부정견(八不正見) -팔양경(八陽經) 팔부정견(八不正見) : 8가지의 잘못 보는 견해. 아견(我見): 참으로 나라 는 실체가 있다고 보는 것. 중생견(衆生見): 오온(五蘊)이 화합 하여 중생이 된다고 보는 것. 수명견(壽命見): 수명에 길고 짧 음이 있다고 보는 는 것. 사부견(士夫見): 중생에게 참으로 남 자다운 능력이 있어 모든 것을 지닌다는 견해. 상견(常見): 이 목숨은 다음 세상으로 이어져 끝이 없다는 것. 단견(斷見): 이 목숨은 죽으면 끝이라는 것. 유견(有見): 모든 것은 참으로 존 재한다는 것. 무견(無見): 모든 것은 자성과 실체가 없어서 공 하고 무하다는 것. 팔부중(八部衆) : 인도재래의 여덟 신들이 불교화되어 불법을 보호하는 제신(諸神)이 된 것으로 그 격은 사천왕보다 낮습니다. 신의 이름과 모습이 일정하지 않지만 보.. 2018. 7. 4.
팔열지옥(八熱地獄)-팔해탈(八解脫) 팔열지옥(八熱地獄) : 8가지의 몹시 뜨거운 지옥. 등활지옥, 흑승지옥, 중합지옥, 규환지옥, 대규환지옥, 초열지옥, 대초열지옥, 무간지 옥 들임. 팔음(音) : 부처님 음성의 8가지 특색. 1) 극호음(極好音): 목소리가 맑고 아름다워 듣는 사람이 즐겁고, 모두 도에 들어가게 함. 2) 유 난음(柔軟音): 대자대비심으로 설법하여 듣는 사람이 기뻐하며 계율을 지키게 함. 3)화적음(和適音): 듣는 이의 마음을 편안하 게 하여 이치를 알게 함. 4) 존혜음(尊慧音): 듣는 이를 존중하므 로, 지혜를 얻게 함. 5) 불녀음(不女音): 악한 사람이 들으면 두 려움을 느끼고, 착한 사람은 공경심을 느끼며, 천마. 외도를 항 복함. 6) 불오음(不誤音): 잘못된 말을 하지 않고, 듣는 사람들 이 바른 견해를 얻어.. 2018. 7. 4.
패엽경(貝葉經)-포교당(布敎堂) 패엽경(貝葉經) : 패다라수(貝多羅樹)라는 활엽수 잎에 바늘로 새긴 불경. 편단(偏袒) : 옷을 입는 법식의 하나. 한쪽 어깨를 드러내고 다른 쪽 어깨에만 옷을 덮는 예법. 편단우견(偏袒右肩) : 오른쪽 어깨는 덮지 있지 않고 드러내며, 왼쪽 어깨에만 옷자락을 걸쳐서 입는 방법. 인도에서 고래로부터 전해오던 예법의 하나이며, 성자나 존자에 대한 존경을 나타내는 방법의 하나이다. 양 어깨를 모두 덮는 경우에는 통견(通肩) 형식이라 한다. 편지(遍知) : 知라고도 함. 두루 널리 아는 것. 4제(諦)의 이치를 투철히 아는 것. 편행(遍行) : 대상을 한정하지 않고 어느 것에나 널리 작용하는 것. 모든 곳에 두루 미치는 마음 작용. 평등성지(平等性智) : 자타(自他)의 유정(有情) 모두가 평등하다는 것을 깨닫.. 2018. 7. 4.
포살(布薩) -필정(必定) 포살(布薩) : 포살(布薩)은 동일 지역내의 스님들이 보름마다 모여서 지나간 반달 동안의 행동을 반성하고 죄가 있으면 고백 참회하는 행사로 만월(滿月)과 신월(新月) 즉 음력 보름(15일)과 그믐(30일)에 행한는 불교의식입니다. 범어로는 Upavasatha이며,출가한 법에는 보름마다15일과 29일(또는30일)에 스님네가 모여 <계경(戒經)>을 설하여 들리며,보름 동안에 지은 죄가 있으면 참회하여 선을 기르고 악을 없이하는 의식입니다.재가한 이의 법에는6재일(齋日)에8계(戒)를지니며,선을 기르고 악을 없이 하는의식입니다. 포외시(怖畏施) : 여덟 가지의 시 가운데 하나이다. 재난이 일어날 것을 두려워하여 이것을 가라 앉히려고 보시하는 것을 말한다. 또 재물이 없어지거나 못 쓰게 될 것을 걱정하여 차라리 .. 2018. 7. 4.
필파라(畢波羅)-하리티(Hariti) 필파라(畢波羅) : 핏팔라의 음역. 석가모니가 자리를 펴고 앉아서 성도했던 곳에 있던 나무 이름. 필파라수(畢波羅樹). ⇒ 보리수(菩提樹). 필파라(畢波羅) : 핏팔라의 음역. 석가모니가 자리를 펴고 앉아서 성도했던 곳에 있던 나무 이름. 필파라수(畢波羅樹). 보리수(菩提樹). 하경 : 하안거를 마치는 날. ⇒ 안거경(安居竟). 하경(夏經) : 바르샤의 번역. ⇒ 안거(安居). 하근 : 도를 닦을 힘이 적은 사람. 하누만(Hanuman) : [인도] 원숭이 신. 바유의 아들. 몸을 마음대로 크거나 작게 만들 수 있었으며 하늘을? 날 수도 있었다. 라마가 라바나와 싸울 때 라마를 도왔다. 하누만이 스리랑카로 바다를 넘어 날아갈? 때 여자마귀 수라사가 그를 삼키려고 했다. 하누만이 몸을 크게 하자 수라사도 .. 2018. 7. 4.
하리하라(Hari-Hara) -하야그리바(Hayagriva) 하리하라(Hari-Hara) : [인도, 캄보디아] 비슈누의?민중적인 이름. 뜻은 "키우고 제거하는 자". 식물의? 부활과 생육을 관장한다. 오른쪽은?시바이고 왼쪽은 비슈누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하사(何事) : 킹카라의 번역. 사람 이름. ⇒ 길가야(吉迦夜). 하생(下生) : 불. 보살 등이 천상계로부터 하계로 탄생하는 것. 하서(夏書) : 바르샤의 번역. 안거(安居). 하승(下乘) : 히나야나의 번역. 소승(小乘). 하안거 : 음력 4월 15일부터 7월 15일까지 3개월 동안 스님들께서 외출을 금하고 참선을 중심으로 수행에만 전념하는 제도. 하안거 : 불교에서 승려들이 여름동안 한곳에 머물러 수행하는 일. 음력 4월 보름부터 7월 보름까지다. 동안거에 대척되는 말이다. 원래 안거는 범어의 바르샤를 의역.. 2018. 7. 4.
하욕경(何欲經)-하행(夏行) 하욕경(何欲經) : 무엇을 어떻게 행할 것인가에 대해 묻는 생문범지와 찰리거사 등에게 부처가 낱낱이 답한 것을 내용으로 하는 책명이다. 하의갈마 : ① 응추억갈마. 비구가 재가인에 대하여 법에 없는 일을 하였을 때 사죄시키는 갈마. ② 차불지백의가갈마. 비구가 재가인에게 불리한 일을 하였을 때 이를 사죄하는 갈마. 하택선사(荷澤禪師) : 神會禪師(신회선사)를 이른다. 湖北省 襄陽府 高氏(호북성 양양부 고씨)의 집에서 낳다. 어려서 儒敎(유교)와 道敎(도교)에 通達(통달)하였는데「後漢西(후한서)」를 보다가 佛敎에 奧妙(오묘)한 理致(이치)를 터득하고 出家하여 經典(경전)을 많이 硏究(연구)하였다. 처음에는 玉泉寺(옥천사)에서 3년 동안 神秀大師(신수대사)를 모시고 있다가 則天武后(칙천무후)의 청을 받고 서.. 2018. 7. 4.
학-한거(閑居) 학 : 최일체마보살의 종자가 되며, 일체법이 본래 나지 않는다는 뜻과 인·인아·법아 등 네 가지의 뜻이 있다. 이 보살의 진언 한자를 생각하여 일체법 본불생문에 들어가면 일체의 번뇌를 제거하고, 번뇌를 제거하고 나면 인아·법아 등 두 종류의 무아를 증거하여 진여항사의 공덕을 드러내며, 곧 3계와 9지에 망심이 일어나는 여러 의혹과 잡념을 초월한다. 학계녀(學戒女) : 쉬크샤마나의 번역. 식차마나(式叉摩那). 학림(學林) : 불법을 강의하고 연구 하는 곳. 즉 승려의 학교. 학림(鶴林) : 중인도 구시나가라 밖 니련선하가에 있던 사라쌍수의 숲. 학법녀(學法女) : 쉬크샤마나에 대한 구역어(舊譯語). 식차마나(式叉摩那). 학수(鶴樹) : 부처님께서 북인도의 拘尸羅(구시라)성 서북쪽으로 흐르는 跋提河(발제하).. 2018. 7. 4.
한국불교태고종(韓國佛敎太古宗)-함령(含靈) 한국불교태고종(韓國佛敎太古宗) : 해방전까지는 한국불교의 모든 불제자는 태고문손이었는데 1954년 시작된 법란(절뺏기)은 환부역조(종조를 바꿈)를 정당화 시키고 전통가사의 색상까지 바꿔 전통을 변조하기에 이르므로 물질적재산은 포기하더라도 종조를 계속이어 받들고 정통을 유지하기위해 종조이신 태고보우 국사의 명호를 따서 1970년에 다시 등록하고 산중불교에서 대중불교로 출발하며 세운 종단명칭입니다. (종래의 한국불교조계종과 통합) 종지(宗旨) 종지(宗旨)란 종단이 근본으로 삼고 있는 교의와 취지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이르는데 한국불교태고종은 (태고종종헌 제3조) 석가세존의 자각각타(自覺覺他),각행원만(覺行圓滿)한근본교리를 봉체하고 태고종조의 종풍을 선양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 전법도생(傳法度生)을 종지로 삼.. 2018. 7. 4.
함사(Hamsa)-항가달(恒伽達) 함사(Hamsa) : [인도] 브라흐마가 타고 다니는 기러기. 함사(hamsa) : [인도] 요가수행자들의 호흡법. 생명의 호흡. 함은 날숨, 사는 들숨의 소리라고 한다. 함식(含識) : 衆生(중생)의 표현으로 : 참 성품을 잃어 버리고 망령된 온갖 생각들이 분주하게 일어났다 꺼졌다 하기 때문에 六途(육도)를 輪廻(윤회)하면서 낳다 죽었다 하는 무리들로 유정, 함령, 함식, 군생, 군맹, 군품등 여러 가지 말로 표현된다. 합리관음(蛤利觀音) : 1269년 중국에서 편찬된 [불조통기]에 나오는 얘기다. 당나라의 문종이 대합을 먹으려 할 즈음 대합이 돌연 대사의 모습으로 변해 버렸다. 너무 놀란 나머지 황제는 종남산의 유정선사를 초빙해서 그 이유를 묻고, 선사의 법화(法話)에 감복하여 천하의 사원에 관음상을.. 2018. 7. 4.
항갈(恒竭)-항성일 항갈(恒竭) : 경전에 나오는 재가 여신도의 이름. 전생부터 쌓아온 믿음으로 인해서 장차 내세에는 부처가 될 것이라는 수기를 받음 항마 : 악마의 유혹을 물리 친다는 뜻. 경전에 의하면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기 위해 보리수 아래에서 수행을 하고 있을 때, 여러 악마가 나타나 유혹하고 협박하며 수행을 방해했으나 부처님께서 그것을 모조리 물리치셨다. 이것을 항마라고 한다. 항마(降魔) : 악마를 항복시키는 것. 부처가 보리도량에 앉아 정각을 이루려 할 때 악마의 상을 드러내어 온갖 방법으로 방해하고 시험한 욕계의 제6천을 항복시킨 것을 말한다. 항마인 : 악마를 항복받는 손의 모습. 오른손을 펴서 무릎위에 드리우고 온손으로 옷을 잡은 인상(印相)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 왼손 손바닥을 위로 향하여 결가부좌한.. 2018. 7. 4.
항염마존(降焰摩尊)-해운비구(海雲比丘) 항염마존(降焰摩尊) : 대명왕 중 하나. 대위덕명왕(大威德明王). 항하(恒河) : 인도의 강 이름. 히말라야 산맥에서 발원하여 인도의 동쪽 벵골(Bengal) 만으로 흐르는 큰 강으로서 인도의 3대하(大河) 중 하나로 꼽힌다. 지금은 갠지스(Ganges) 강이라 부른다. 항수(恒水), 항가(恒伽), 강가( 迦), 긍가( 伽), 긍가하( 伽河), 천당래(天堂來), 복수(福水). 항하사(恒河沙) : 인도의 강가 강의 모래. 모래알이 셀 수 없을 만큼 많다는 데서 무한한 것을 비유한 말 해간국(海澗國) : 《화엄경》 법계품에서 설한 것이며, 53선지식 가운데 미륵보살이 사는 나라의 이름으로 남천축에 있는 나라로서, 해안에 가깝기 때문에 이렇게 불렸다. 해안문국이라고도 한다 해동(海東) : 발해의 동쪽, 즉 우.. 2018. 7. 4.
해인삼매(海印三昧)-해탈(解脫) 해인삼매(海印三昧) : 부처님이 화엄경을 설할 때 들어간 선정. 번뇌가 끊어진 부처의 마음 가운데 삼세의 모든 법이 뚜렷이 나타났다 하여 일컫는다. 해저아귀 : 바다의 모래톱에 살고 있다. 그러나 낭만적인 금빛 모래톱이 아니다. 인간계의 여름보다 1천배나 뜨겁다. 나무도 강도 없다. 겨우 아침이슬 몇 방울로 연명해 간다. 불쌍한 행상인을 속여 헐값에 물건을 빼앗은 사람이 가는 아귀다. 바닷물이니 마실수도 없고 광염(狂炎)의 햇빛은 내리 쬐고. 지옥과 진배없는 아귀계다. 착하게 살자. 해제(解制) : 안거를 마치는 것. 우리 나라의 하안거 해제일은 음력 7월 15일, 동안거 해제일은 음력 1월 15일이다. 안거경(安居竟). 해조음(海潮音) : 중생이 나무관세음보살이라고 염불함에 대하여 관세음 보살이 때를 .. 2018. 7. 4.
해탈계-행(行) 해탈계 : 계를 받아 행위와 말로서 저지르는 허물이나 악을 방지하여 거기에서 벗어남. 해탈도(解脫道) : 4도(道) 중의 하나. *무간도(無間道)를 닦은 다음에, 진리를 깨닫고 해탈을 성취하는 것. 무루도(無漏道). 불도(佛道)를 총칭하여 가리키는 말 해탈문 : 모든 번뇌와 망상을 벗어나 깨달음을 얻는 문 해탈지견 : 나는 해탈했다라고 확인할수 있는 지혜로 혼자서 해탈했다고 하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오분법신(五分法身)의 다섯번째에 해당되는 것으로 계(戒)로부터 정(定)을 만들고 정에 의해 지혜를 얻으며, 지혜에 의해 해탈에 도달하고 해달에 의해 해탈지견을 안다. 부처님은 이공덕에 의해 불신(佛身)이 형성되었기에 이것을 오분법신이라고한다. 해탈처(解脫處) : 고대 중인도 가비라위성(迦毘羅衛城)에 있었던.. 2018. 7. 4.
행각(行脚) -행입 행각(行脚) : 선종의 승려가 수행하기 위하여 여러 지방을 여행하는 것 을 말함. 행걸(行乞) : 비구가 바루를 가지고 마을로 돌아다니면서 집집마다 먹을 것을 얻는것. 행모(行母) : 마트리카의 번역. 계법(戒法)의 요의로서 율모(律母)를 뜻함. 마득륵가(摩得勒伽). 행상(行相) : 모습이 드러나게 하는 마음의 작용. 마음이 인지되는 대상에 대해 발생하는 작용의 어떤 상태. *구사론에서는 마음에 비추어지는 영상, 유식학에서는 영상을 인식하는 주관의 작용. 행은 마음이 향하여 가는 것, 상은 그것을 파악하는 것. 모양, 형상, 상태. 행선축원 : 나라와 백성의 안녕을 위해 부처에게 비는 일. 행온(行蘊) : 온의 하나. 잠재적 형성력의 집합. 의지작용의 집합. 인연에 의해 조작되어 시간적으로 변천하는 것 .. 2018. 7. 4.
행자(行者)-허공장보살문칠불다라니경(虛空藏菩薩問七佛陀羅尼經) 행자(行者) : 아직 승려가 되지 않고 사원에 있으면서 여러 소임 밑에서 일을 돕고 있는 사람. 아직 계를 받지 못한 불교 수행자. 행주좌와(行住坐臥) : 다니고, 머물고, 앉고, 눕고 하는 사람의 일상적인 움직임. 향상향하(向上.向下) : 끝에서 시작하여 위로 올라가는 것을 향상, 위에 서 끝으로 가는 것을 향하라 한다. 향취산(香醉山) : 수미산을 중심으로 한 불교의 우주관에서, 염부제의 가장 북쪽에 있다는 산 이름. 곤륜산(崑崙山). 향산(香山). 향화(香華) : 6종 공양 가운데 하나. 향과 꽃과 다 등을 부처님께 공양하 는 것. 허공(虛空) : 허와 공은 무의 별칭이다. 허는 형질이 없고 공은 장애가 없으므로 허공이라고 한다. 이 허공은 체도 있고 상도 있는데, 체는 평등하게 두루 돌아 다니는 .. 2018. 7. 4.
허무주의(虛無主義)-현불(懸佛) 허무주의(虛無主義) : 무나 공을 주장하는 사상. 모든 진리를 무시하여 보편적 표준을 부정하는 주의. 현(現) : ① 나타나는 것. ② 감정을 드러내는 것. ③ 현량의 약칭. 심식 3량 가운데 하나. 현실을 헤아려 아는 것. 색 등 여러 법을 향하여 현실로 그 자상을 아는 것. ④ 현재. ⑤ 현세의 약칭. 현재의 세상. 사람의 생명이 있는 사이를 말함. ⑥ 현재의 업. ⑦ 현행. 아뢰야식이 일체의 법을 만들어 내는 공능을 종자라 하고, 이 종자로부터 생심의 법을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함. 또는 소생하는 법. 현겁(賢劫) : 우주적인 시간을 구분하여 부르는 3겁 중의 하나로서 현재의 *주겁(住劫)을 말함. 현재의 주겁이 20회 거듭하여 증감하는 중에 구류손불, 구나함모니불, 가섭불, 석가모니불 등의 천 불(.. 2018. 7. 4.
현사 사비(玄沙師備)-현응(玄應) 현사 사비(玄沙師備) : (835 ~ 905) 속성은 謝(사)씨이며 복건성 복주부 민현에서 출생하였다. 젊어서 낚시질을 좋아하고 설흔 살에 출가하여 공부하는 길을 얻어 가지고 다시 고향에 돌아가, 겨우 목숨이 붙어 있을 정도로 음식을 먹어 가면서 바위 밑과 산 꼭대기에서 늘 좌선만하였다. 설봉화상이 그에게 선지식을 찾아보라고 권하였다. 듣지 않고 혼자 공부하여 깨친 바 있었고, 또「능엄경」을 보다가 크게 깨쳤다. 설봉(雪峰)의 법을 이은 뒤 普應院(보응원)에서 교화하다가 복주의 玄沙院(현사원)으로 옮겼다. 後梁(후양) 太祖 開平(태조 개평) 2년에 74세로 입적하였다. 저서로는「玄沙語錄(현사어록)」3권,「玄沙廣錄(현사광록)」3권이 있다. 그의 제자 天龍重機(천룡중기)에게서 고려의 雪岳令光(설악영광)선사가.. 2018. 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