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법과 동행을/💕법문의도량969

기로국 이야기 부처님께서 사위국의 기원정사에 계실 때의 일입니다. 노인이 되면 무조건 내다버리는 풍습이 있는 기로국(棄老國)에 한 대신이 있었는데, 이 대신은 늙으신 아버님을 모시고 있었습니다. 늙은 아버지는 당연히 국법에 따라 버려야 할 운명에 놓여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평소 효심이 깊.. 2018. 7. 9.
살생을 피할 수 없을 때 옛날 인도에서는 크게 한 몫 잡으려는 사람들이 떼를 지어서 멀리 외국으로 나가거나 바다로 나가서 보물을 찾아 돈을 벌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 일은 워낙에 위험한 일이므로 한 두 사람으로는 엄두도 못 냈던 것입니다. 그래서 수십 명 혹은 수백 명이 무리를 지어서 떠나곤 했는데, .. 2018. 7. 9.
가장 큰 죄 《범망경(梵網經)》 <보살계본>에 제일 첫 번째 계율이 불살생계(不殺生戒)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길, "불자야, 만일 스스로 죽이거나 다른 사람을 시켜서 죽이거나 어떤 방편으로 죽이거나 찬탄하여 죽이거나 살생하는 것을 보고 따라 기뻐하거나 내지 주문으로 죽여서 살생의.. 2018. 7. 9.
낮이나 밤이나 제 목숨 스스로 깎으며 가나니 부처님께서 왕사성의 죽림정사에 계실 때였습니다. 부처님은 여러 제자들과 함께 성안에 들어가 어떤 사람의 공양을 받고 설법하신 뒤에 해질녘이 되어 성을 나오셨습니다. 그때 길에서 많은 소떼들을 놓아 성안으로 몰고 돌아가는 어떤 사람을 만났습니다. 소들은 모두 살찌고 배불러 .. 2018. 7. 9.
신도 영원하지 않다네 옛날 제석천은 다섯 가지 덕이 그 몸을 떠나기 때문에 목숨을 마치면 장차 인간 세상에 내려가 질그릇 만드는 집에서 나귀의 태(胎)를 받으리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다섯 가지 덕이란, 첫째는 몸의 광명이 사라지는 것이요, 둘째는 머리 위의 꽃이 시드는 것이며, 셋째는 본래의 자리를 싫.. 2018. 7. 9.
라훌라 존자 부처님의 아들이신 '라훌라'존자가 나이 많은 사리불존자와 함께 수행정진을 하고 있을 때의 일입니다. 사리불과 함께 왕사성으로 들어가 걸식을 하고 있는데, 어떤 키 큰 사내가 길 한 복판에 서서, "야, 내가 주는 공양을 고맙게 받아라."하고 큰 소리로 외치면서 사리불의 발우에 큰 돌.. 2018. 7. 9.
도로 아미타불 금강산 장안사에 만송(滿松)이라는 스님이 계셨습니다. 만송스님 문하에 젊은 행자가 한분 있었는데, 머리가 나빠서 경학(經學)공부는 가망이 없는지라 석두(石頭)라는 별명으로 허드렛일을 하고 있었습니다. 만송 스님은 석두 행자를 달리 가르칠 방법이 없다고 생각하고 왕생극락의 원.. 2018. 7. 9.
수행의 다섯가지 문 <대승기신론>에 보면 수행에 다섯 가지 문이 있다고 했습니다. 다섯 가지란, 베풀어 주는 시문(施門), 계를 지키는 계문(戒門), 참고 견디는 인문(忍門), 게으름이나 물러남이 없이 닦아 나가는 진문(進門), 선정을 닦는 지관문(止觀門)을 말합니다. 시문이란 무엇이나 필요한 것을 구하.. 2018. 7. 9.
한 발자욱 내 딛으면 《중아함경》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북인도 사밧티성에는 많은 사람들이 부처님의 설법을 듣기 위해 찾아오는 큰 수행처가 있었습니다. 그 곳에 한 젊은 사람이 매일 저녁 부처님의 설법을 듣기 위해 찾아왔습니다. 그는 여러 해 동안 부처님의 가르침을 들었으나 그 가르침을 실천하.. 2018. 7. 9.
행복은 쉰 살이 되도록 독신으로 사는 남자가 있었습니다. 그는 돈이 많았기 때문에 어느 것 하나라도 부족함을 느끼지 못할 만큼 제대로 갖추고 살았습니다. 그러나 정작 본인은 행복을 느끼기는커녕 매일 매일이 외로움의 연속이었습니다. 결국 그는 외로움을 조금이나마 달래기 위해 남아도.. 2018. 7. 9.
출가 정신 부처님은 출가에 대해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부모형제와 이별하고 출가한 사문은 욕망을 쉬고 애욕을 끊어 자기 마음의 근원과 법의 깊은 이치를 알아서 열반의 경지에 이르러야 한다. 안으로 얻을 것이 없고 밖으로 구할 것이 없어 마음은 진리에도 매이지 않고 업도 짓지 않는다... 2018. 7. 9.
마음의 눈으로 보는 세상 조선 선조 때 판릉추 부사를 지낸 서약봉이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의 어머니는 앞을 보지 못하는 맹인이었는데, 그녀의 아버지는 눈 먼 딸을 불쌍히 여겨 어떻게 해서든지 시집을 보내려고 하였으나 아무도 그녀를 아내로 맞이하려는 사람이 없었습니다. 그러자 아버지는 매파를 놓.. 2018. 7. 9.
네 종류의 보시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원정사에 계실 때였습니다. 그 당시 한 바라문의 장자가 있었는데 이름을 남달(藍達)이라고 하였습니다. 그는 큰 부자로 많은 재산을 갖고 있었습니다. '바라문의 법에 따라 큰 시주가 되어 이름을 드날려야겠다.' 이렇게 생각한 바라문은 5년 동안 무차대회(無遮大.. 2018. 7. 9.
가난한 자는 항상 부족함을 괴로워한다 "가난한 자는 항상 부족함을 괴로워하고 집을 갖고 싶다, 논밭을 갖고 싶다 하며 <갖고 싶다>는 생각이 불타서 몸과 마음을 함께 지쳐 버리게 한다. 이 때문에 자기 수명을 다하지 못하고 중도에 죽어 버리는 수도 있다." 《무량수경》에 나오는 한 구절입니다. 이 세상에서 어떤 사람.. 2018. 7. 9.
거북이의 교훈 "비구들아 거북이 한 마리가 저녁때가 되어 물을 마시러 물가에 갔다. 때마침 하루 종일 먹이를 구하러 쏘다니던 늑대도 목이 말라서 물을 마시러 왔다가 거북을 보고 '옳거니. 저기 느림보 거북이 있구나. 이제 허기를 면하게 됐구나.'하고 거북에게 달려들었다. 거북은 물을 마시려다 느.. 2018. 7. 9.
지식보다 지혜를 《장자(莊子)》외편 천도(天道)에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군주인 환공(桓公)이 방안에서 열심히 책을 읽고 있었습니다. 그때 수레를 만드는 목수(輪扁)가 뜰에서 수레바퀴를 깎고 있다가 망치와 끌을 놓고 일어나더니 환공에게 와서 물었습니다. "좀 여쭈어보겠습니다. 왕께서 지금 읽.. 2018. 7. 9.
12연기법 "비구들이여, 무명(無明)이란 무엇인가. 과거를 알지 못하고, 미래를 알지 못하고, 안(六根)을 알지 못하고, 밖(六境)을 알지 못하고, 업(業)을 알지 못하고, 보(果報)를 알지 못하고, 불. 법. 승 삼보(三寶)를 알지 못하고, 고. 집. 멸. 도 사성제를 알지 못하고, 인(因)을 알지 못하고, 인을 일.. 2018. 7. 9.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8정도 "비구들이여, 정견이란 무엇인가. 인생은 고라는 것을 알고 고의 원인을 알고 고의 멸함을 알고 고의 멸진에 이르는 길을 아는 것 이것을 정견이라 한다. 비구들이여, 정사란 무엇인가. 미망의 세간에서 떠나려고 생각하고 나쁜 마음(惡業)을 지니지 않겠다고 생각하고 남을 헤치지 않겠.. 2018. 7. 9.
오온에 대해서 "비구들아, 색이란 무엇인가? 아픔을 느끼는 것을 색이라고 한다. 무엇이 아픔을 느끼게 하는가. 추위가 아픔을 느끼게 하며, 더위가 아픔을 느끼게 하며, 배고픔이 아픔을 느끼게 하며, 목마름이 아픔을 느끼게 하며, 모기. 등에. 뱀. 바람. 열 따위가 아픔을 느끼게 한다. 이렇게 아픔을 .. 2018. 7. 9.
믿음의 힘 어느 날 부처님께서 갠지스 강변에서 설법을 하고 계셨습니다. 그런데 어떤 신도가 부처님께서 강 건너 쪽에서 설법을 하신다는 소식을 듣고 강변까지 걸어왔습니다. 강을 건너려고 하니 물은 세차게 흐르고 배도 없었습니다. 그는 흐르는 강을 보며 발을 동동거리고 있었습니다. 그 때 .. 2018. 7. 9.
향싼 종이엔 향내음이 나고 부처님께서 제자들과 함께 길을 가시는데 낡은 종이가 떨어져 있었습니다. "이것을 주워라." 제자는 부처님이 시키는 대로 종이를 주웠습니다. "그래 무엇에 쓰던 종이 같으냐?" "이것은 향을 쌌던 종이 같습니다. 지금은 버려져 있지만 향내가 아직도 남아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길을 가.. 2018. 7. 9.
우리가 의지 해야 할 것은 부처님께서 열반에 드시려고 하자 아난존자가 이런 질문을 하였습니다. "부처님이시여, 이제 부처님께서 열반에 드시면 저희들은 무엇에 의지하여 수행을 해야 합니까?" 그러자 부처님께서는 이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비구들아, 내가 열반에 든 뒤에는 계율을 존중하되, 어둠 속에서 빛.. 2018. 7. 9.
늦게 출가한 비구니 소나의 서원 부처님 당시 사밧티에 소나라는 여인이 있었습니다. 그녀는 결혼해서 열 명의 아들을 두었기 때문에 '자식 부자 소나'라고 불렸습니다. 그녀의 아이들이 모두 성장해 자립하게 되었을 무렵에 소나의 남편은 출가 수행자가 되어 버렸고 그녀는 자식에게 의지해 사는 힘없는 노파로 변해가.. 2018. 7. 9.
새해 인사는 소작인이 설날에 지주영감을 찾아갔습니다. 세배를 드리면서 "영감님, 올해도 건강하시고 백수(白壽)를 누리십시오." 하고 덕담을 하였습니다. 소작인이 가고 나서 지주영감은 아들을 불렀습니다. "얘야, 올해 소작 주는 것 있지, 방금 왔다 간 저놈에게는 주지 마라." 아들은 영문을 몰라 .. 2018. 7. 9.
여종에서 왕후로 부처님께서 기수급고독원에 계실 때 사위성에 야야달이라고 하는 부자가 살고 있었습니다. 전답과 곡식이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았고 보물과 코끼리, 말은 말할 것도 없고 하인 또한 많았습니다. 그는 황두라는 여인을 보내서 말리라는 동산을 지키게 하였는데, 황두는 언제나 이런 생.. 2018. 7. 9.
바보 판다카의 깨달음 어느 때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기원정사를 나서려는데, 한 청년이 큰 소리로 울고 있었습니다. 그는 다름 아닌 대중 가운데서 가장 어리석다고 알려진 판다카라는 수행자였습니다. 부처님께서 그에게 다가가 물으셨습니다. "판다카야, 너는 왜 울고 있느냐?" "부처님, 저는 형이 가르쳐 준 .. 2018. 7. 9.
정암 스님 이야기 정암 스님은 조선 후기의 스님이신데, 많은 대중을 거느리고 경론을 강설하시긴 하셨지만 스님의 마음은 오로지 자비로써 힘쓰고, 베푸는 것으로써 하루하루를 일삼았습니다. 즉 자기 자신을 위하기보다는 이웃들을 위하여 마음을 내고 소유물을 베푸는 자비희사(慈悲喜捨)의 정신을 몸.. 2018. 7. 9.
어떤 연하장 일본에서는 새해가 되면 스님들이 신도 집을 찾아가는 풍습이 있습니다. 새해 첫 손님으로 존경하는 스님이 찾아오면 액운이 사라지고 복이 찾아온다는 믿음 때문입니다. 일본 무로마찌(室町)시대 임제종의 고승인 잇큐(일(一休:1394-1481)화상도 어느 해 설날 신도 집을 찾아 갔습니다. 큰.. 2018. 7. 9.
부처님 성도일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이루기 위해 좌선을 하고 계셨습니다. 그때 부처님의 성불을 방해하려고 기회만 엿보던 마왕이 부처님을 유혹하였습니다. "당신은 쇠약하여 얼굴빛이 좋지 않소. 당신은 죽음이 가까웠소. 세상에 생명만큼 소중한 것은 없소. 살아 있고서 수행도 있는 것이 아니겠소.. 2018. 7. 9.
열 가지 악업 보살은 열 가지 선한 법(十善業)을 항상 끊임없이 행한다. 수행자여, 열 가지 나쁜 업은 위로는 지옥, 축생, 아귀의 세계에 태어날 원인이 된다. 첫째로, 살생한 죄로는 지옥 축생 아귀에 떨어지고, 다시 인간에 태어나더라도 두 가지 과보를 받나니 하나는 단명(短命)하는 것이고 둘은 병.. 2018. 7. 9.